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

10.1 Km    25188     2023-11-23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219번길 40-1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충남 논산시 강경읍내에 있는 문화재이다. 초기 선교 과정에서의 토착화 현상에 의해 기독교 건축의 형태는 한옥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당시 신부 및 목사가 대부분 서양인이었기에 한옥의 불편함을 느꼈고, 서양식 건물을 동경하는 일부 신도들로 인해 점차 서양식 예배당이 지어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초기 한옥교회가 대부분 소멸되거나, 개축 또는 신축되어 원형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옥 형태로 남아있는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희소적 가치가 높다. 특히 내부 구조는 기독교의 토착화 과정에 나타난 한옥교회의 건축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는 흔히 칸막고교회라고 하여 제단을 중심으로 천을 설치하여 남녀를 구분하기 위한 초기 교회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내부의 벽돌 위의 회반죽 마감과 서까래를 그대로 노출한 연등천장은 단순한 목조건축의 구조적인 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목재의 치목수법과 가구기법은 전통적 기법에서 근대화에 따른 기술적 변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2년에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지금은 강경성결교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구 강경성결교회 예배당은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 799호선에서 옥녀봉로를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

되재성당

10.2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화산면 승치로 477

1895년 건립된 되재성당은 한국 천주교회 중 서울 약현성당 다음으로 두번째로 완공된 성당이며, 최초의 한옥성당으로 알려져 있다. 6.25전쟁 때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어 2008년 다시 복원 되었다. '되재(升峙)'라는 명칭은 완주군 화사면 승치리에 위치한 고개를 가리킨다. 되재성당은 특이하게도 툇마루마다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좌측이 남자출입문, 우측이 여자출입문이다. 또한 장유유서에 따라 어린이, 중년, 노인의 문도 구분 해놓았다.

태평식당

태평식당

10.2 Km    1     2024-03-26

충청남도 논산시 옥녀봉로35번길 9

태평식당은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태평리에 있는 복어 요리 전문점이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 정보통에 소개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깔끔하고 시원한 맛이 일품인 복 매운탕이며, 복 맑은탕도 인기가 많다. 이 밖에 복찜, 복껍데기무침, 아귀탕, 아귀찜, 우어회 등 다양한 별미를 맛볼 수 있다.

죽림서원

죽림서원

10.2 Km    30126     2023-07-26

충청남도 논산시 금백로 20-8

1626년(인조 4)에 이이(李珥)·성혼(成渾)·김장생(金長生)을 추모하기 위해 지방 유림들이 세운 황산사(黃山祠)가 그 기원으로, 1665년(현종 6) ‘죽림’이라 사액되어 서원으로 승격하였다. 이때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까지 배향하였다. 이어 1695년(숙종 21)에는 송시열(宋時烈)을 추가 배향하였다. 이곳은 1653년(효종4년) 송시열과 윤선거((尹宣擧)가 만나 주희(朱熹)의 사상을 비판하고 개혁적 사상을 가진 윤휴를 두고 논쟁을 벌였던 곳이다. 윤휴는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사서의 경전을 주희와는 다르게 해석을 내렸는데 주희의 해석만을 절대적으로 신봉하던 송시열은 이를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때문에 송시열은 윤휴를 사문난적으로 몰았지만 윤선거는 경전의 새로운 해석을 내놓은 윤휴의 학문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때문에 두사람은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지는 계기가 되었다.

소나무한정식

소나무한정식

10.2 Km    25797     2023-08-29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대로 357
041-735-7191

전통한옥에서 맛보는 임금님 수라상 같은 푸짐한 맛과 멋을 자랑하는 곳이다. 전통 한옥의 고풍스러운 외관과 아늑한 실내 분위기 속에서 궁중식 탕평채, 소 불고기, 솔잎 보쌈, 활어회, 낙지볶음 등 계절별, 가격별로 다양한 종류의 음식과 맛깔스러운 밑반찬, 구수한 된장찌개 등을 맛볼 수 있다.

강경역사문화안내소(구 강경노동조합)

10.3 Km    23546     2023-12-21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옥녀봉로27번길 30-5

강경역사문화안내소(구 강경노동조합)는 논산시 강경읍내에 위치한 관광안내소이자 문화재이다. 강경 지역은 1920년대 당시 금강 수운과 호남선 철도가 만나는 요지로서 유통업이 발달하여 노동조합의 규모가 컸다. 이러한 강경노동조합의 조합 사무실이었던 본 건물은 1925년에 신축되었다. 건축 당시 2층 규모의 목조 한옥 건물로 지어졌던 건물이 현재는 1층만이 남아 있다. 준공 당시 1층은 전체를 개방하여 사무공간으로 사용되었고, 2층은 2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후 이 건물은 1953년 가을에 개축되면서 일부 증축되었고, 젓갈 창고로 활용되다가 지금은 강경역사문화안내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이곳에서는 강경 지역의 옛 사진, 전시물, 서적 등을 관람할 수 있으며, 강경역사문화연구원 해설사의 해설을 들을 수 있다. 강경역사문화안내소(구 강경노동조합)는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에서 지방도 799호선을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

강경구락부

10.3 Km    1     2024-01-24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167번길 46-11

강경구락부는 강경근대역사문화거리에 위치한 곳으로 고풍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지는 건축물을 볼 수 있는 레트로한 복합공간이다. 강경구락부로 들어서면 고급스러운 유럽풍 건물로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이어지며 붉은 벽돌의 구 한일은행 건물과 옛 모습 그대로 재현된 강경호텔과 카페 커피하우스를 볼 수 있다. 호텔과 카페는 실제로 운영 중이며, 여행을 더욱 다채롭게 만들어 주는 공간이다.

깜뚜누들

10.3 Km    4     2022-12-14

충청남도 논산시 옥녀봉로 47-1

강경 근대역사문화거리에 위치한 베트남 쌀국수집이다. '깜뚜'는 사장님의 이름의 베트남 이름으로 베트남 전통음식인 쌀국수를 한국인들의 입맛에 재해석하고 있다. 가게 내부는 아담하다. 긴 바형 테이블이 주방앞에 있고 입구에 작은 바형 테이블이 있다. 보통 쌀국수들과는 다르게 투명한 국물이며 면은 넓은 면이다. 맑고 시원한 맛이 특징으로 특제 육수를 쓰며 동남아 음식 풍미가 많이 난다. 메뉴는 소고기 쌀국수, 비빔 쌀국수, 볶음밥 등이 있다.

팔괘정

팔괘정

10.3 Km    17349     2023-12-05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금강변에 있는 팔괘정은 조선 인조 대에 우암 송시열이 건립한 조선시대 정자로써 퇴계 이율곡을 추모하며 당대의 학자 및 제자들을 강학하였던 장소로 전해진다. 송시열의 스승인 사계 김장생이 임이정을 건립하고 강학을 시작하자 스승과 가까운 곳에서 있고 싶어 하는 마음에 팔괘정을 건립하게 되었다고 하며, 팔괘정에서 약 150m 거리 내에 임이정과 죽림서원이 있다. 건물은 금강을 전면에 두고, 서향으로 세워졌으며, 정면 3칸은 동일한 간격으로 그중 2칸은 넓은 대청을 만들고 1칸은 온돌방을 두고 있다. 기둥은 둥근 기둥을 세우고 기둥머리에 초익공식과 동일한 구성의 공포를 짜올렸고, 창방 위에는 기둥사이마다 5개의 소로 받침을 배치하고 처마는 겹처마에 팔작지붕의 한식 기와집이다. 1978년에는 가치를 인정받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주변에는 강경근대거리,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옥녀봉, 강경포구, 강경성당 등이 있다.

강경역사관

강경역사관

10.3 Km    24516     2024-01-16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계백로167번길 50

강경역사관(구 한일은행 강경지점)은 논산시 강경읍내에 위치한 전시관이자 문화재이다. 1905년 한호농공은행 강경지점으로 설립되어, 국권 침탈 후 일제에 의해 한호농공은행이 조선식산은행으로 개편되면서 조선식산은행 강경지점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해방과 더불어 한일은행 강경지점으로, 다시 충청은행 강경지점으로 바뀌면서 강경 지역의 근대 상업을 대변하는 대표적인 문화재이다. 건물의 외관은 전면부 및 금고실 부분을 제외한 측면이 모두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정(7.2m)이 높아 공간에 비해 내부 공간이 환하고 넓어 보인다. 코니스 부분의 화려한 장식과 규모에 비해 비교적 입구를 작게 하고, 또 이를 철문으로 하여 은행으로서의 권위와 기능적 고려를 엿볼 수 있는 이 건물은 6·25 전쟁 당시 폭격으로 지붕 부분이 파괴되었다가 그 후 원형을 살려 일부 다시 복구되었다. 그리고 2012년부터는 강경역사관으로 용도를 바꾸어 강경 지역의 옛 사진,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단체 관람 예약 시 강경역사문화연구원 해설사의 해설을 들을 수 있다. 강경역사관(구 한일은행 강경지점)은 국도 23호선, 지방도 68호선에서 지방도 799호선을 통해 방문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 연무IC와 호남고속도로 지선 논산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호남선 철도 강경역과 강경버스정류장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강경젓갈시장, 강경역사관, 강경근대거리, 강경포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