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Km 2025-08-07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0
고창읍성에 위치한 고창읍성 도예체험장은 유춘봉 명사와 그의 제자들이 운영하고 있다. 체험을 진행하는 유춘봉 명사는 전북 고창의 동곡요 3대 요장으로 집안 대대로 도예를 하였다고 한다. 체험장의 내부에는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다면 구매가 가능하다. 체험프로그램 신청을 방문 전 미리 문의하여 예약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곳은 체험학습뿐만 아니라 고창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체험과 함께 관광을 하며 도자기의 우수성을 알아볼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19.2Km 2024-12-2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월곡10길 24
063-564-4432
고창의 아우성회센터에서는 직접 어부들이 잡아온 생선들로 요리를 해주고 있다. 제철 재료와 함께 회를 모둠으로 파는 곳이다. 식당 내부는 대부분 룸으로 구성되어 있어 회식을 하거나 프라이빗하게 이용하기 좋다.
19.2Km 2024-12-04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063-580-4118
12월 6일 ~ 7일까지 이틀간 부안상설시장 공영주차장 일원에서 개최되는 '2024 부안 설(雪)숭어 축제'는 '겨울숭어 앉았다 나간 자리, 뻘만 훔쳐 먹어도 달다' 라는 주제로 개최하는 행사이다. 이번 설(雪)숭어 축제는 첫날 '와글와글 시장가요제',를 시작으로 '금숭어를 찾아라:흑백미식가','설숭어 트롯페스티벌', 숭어 염가 판매' 등 많은 볼거리와 체험거리, 먹거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겨울 제철 부안의 특산물인 숭어를 부안 설(雪)숭어 축제에서 즐긴다면 가족, 친구, 연인들과 좋은 추억을 만들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19.3Km 2024-11-2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동리로 128 한옥체험펜션
063-563-9977
고창군 한옥마을은 고창읍성 옆에 위치하고 있는 숙박시설이다. 기와집은 고창읍성 내에 있는 관아의 객사 등을 재현해놓아 전통한옥을 체험할 수 있다. 고창군 한옥마을은 대청마루와 마당 등이 딸려 있어 기품있는 운치 속에서 옛 선조들의 생활을 만끽할 수 있다. 각 객실내부에는 텔레비전과 에어컨, 냉장고, 와이파이 등을 구비했다. 단순 숙박뿐 아니라 도예체험장과 공예품전시관에서 체험이 가능하며 가까운 석정온천 이용이 가능하다.
19.3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덕천면 도계1길 34-13
이희맹·김제민·최안·김지수를 비롯하여 김제안·김흔·김섬·김습 등을 기리고 있는 서원이다. 이희맹은 조선 전기 문신이며 김종직의 제자로 성균관 재학시절부터 문장과 인품으로 인정을 받았다. 성종 23년(1492)에 장원 급제하여 등용되었으며 이후 여러 벼슬자리를 거쳤다. 김제민(1527∼1599)은 이항의 제자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을 모아 왜군과 싸워 공을 세웠다. 이 서원은 현종 14년(1673)에 이희맹, 김제민과 더불어 조선 중기 의병장 최안과 조선 중기 문신 김지수를 모시기 위해 세웠다. 그 뒤 숙종 23년(1697)에 김제안을, 헌종 6년(1840)에 김흔을 더하여 모셨다. 고종 5년(186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1962년에 고쳐 지었는데, 이때 김섬과 김습의 위패도 함께 모셨다. 현재 경내에는 위패를 모신 사우, 강당인 서당, 동재와 서재, 신문, 고사, 대문 등이 있다. 사우에서는 해마다 9월에 제사를 지낸다. (출처: 국가유산청)
19.3Km 2025-01-15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6-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에 위치한 우연은 고창의 유일한 일본식 화로구이 전문점이다. 갈빗살, 부챗살, 토시살, 꽃갈빗살, 채끝등심, 우설 등 신선한 소고기의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다. 야끼니꾸 외에도 스키야키, 한우 물회, 돈코츠라멘, 하이볼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매장은 넓은 편으로 4인석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찌석과 단체 모임이 가능한 넓은 테이블도 있다.
주변의 둘러볼만한 관광지로는 고창 청보리밭 축제, 고창 읍성, 선운사 등이 있다.
19.3Km 2024-05-2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상월1길 7
063-564-0101
'풍천장어'라 부를 때 '풍천'이라는 것은 지역의 지명이 아니라, 조수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이나 남해안과 접해진 강 중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을 이르는 말이다. 이런 곳은 흔히 물결이 회오리치고, 거센 바람이 일어나게 된다 하여 풍천(風川)이라 부르는데, 고창의 '갯벌풍천장어'는 그러한 풍천 중에 전라도에서 가장 유명한 곳으로 바다와 민물이 만나는 갯벌에서 사료를 주지 않고 기른 장어라 그런지 다른 장어에 비해 유난히 육질이 쫄깃쫄깃한 것이 특징이다. 달콤하고 짭조름한 간장 소스에 찍어 먹는 통통하고 담백한 갯벌풍천장어의 맛, 혀에 착착 감기는 것이 제대로 진맛이라 할 수 있겠다.
19.3Km 2024-06-14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고창읍에 조성된 오거리 당산은 동·서·남·북·중앙의 5방위에 당산을 조성한 것으로 자연 입석과 조형 입석으로 세웠다. 고창 오거리 당산은 1803년 3월에 고창현 중심지 세 곳에 동시에 조성되었다. 처음에는 오거리가 아니라 삼거리 당산이었다. 삼거리는 상, 중, 하 세 곳을 가리킨 말인데 세 곳에 화표석주의 당산을 세운 것이다. 현재는 기존의 삼거리 당산과 천북동과 교촌리의 자연 마을 당산을 포함하여 오거리 당산이라 한다. 상거리, 중거리, 하거리 당산은 조형 입석으로 당산을 삼았으며, 천북동과 교촌리 당산 은 자연 입석을 당산으로 삼았다. 조형 입석 가운데 하거리 당산은 진서화표의 명문이 있고, 중앙 당산은 미륵 당산으로 불교적 요소가 강하다. 반면에 자연 입석을 할아버지 당산, 할머니 당산의 당산 입석으로 삼은 것은 민간 신앙적 요소가 강하여 불교 신앙과 민간 신앙이 합쳐진 오거리 당산인 것이다. 오거리 당산은 화표를 당산 입석으로 삼은 유일한 당산이다. 정월 대보름날 줄다리기를 한 후 당산에 줄을 감아 놓는 전통이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19.3Km 2024-06-07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부풍로 47
063-584-3070 , 063-580-4224
부안터미널 인근에 있는 부안상설시장은 2015년 우수사례시장으로 선정된 곳으로 지역 특산품과 역사, 문화 등 부안지역만의 특성을 살려 시장 안에서 관광과 체험이 가능한 문화관광형 육성 사업이 활성화된 전통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삼면이 바다인 부안의 지역적 특성답게 싱싱한 수산물을 직접 보고, 골라서 맛볼 수 있는데, 취급되는 수산물은 주로 도미, 광어, 숭어, 민어, 백합, 대하 등의 싱싱한 생선과 어패류들이다. 서해안 칠산 앞바다에서 매일매일 올라오는 싱싱한 수산물이 넘쳐나는 부안 어시장은 인근 정읍, 김제에서도 찾아오는 시장이다. 또한, 부안 농민들이 수확한 채소나 과일을 이곳에 경매로 내놓기 때문에 신선한 채소를 만날 수 있어 관내 식당들이 즐겨 찾는 곳 중 하나다. 부안시장 골목 서남쪽으로 가면 팥죽집이 있어 맛 좋고 양도 많은 팥죽을 맛볼 수 있다.
19.3K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부안읍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는 당이라는 깃발을 걸어둔다. 이 깃발을 꽂아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 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게 당간이 남아있으나, 대개는 두 지주만 남아있다. 이 당간지주는 당간과 당간지주가 모두 남아 있는 경우로 네모난 받침돌 위에 당간지주를 세웠고, 그 사이에 놓인 당간은 몇 토막의 돌기둥을 철띠로 연결시킨 특이한 형태이다. 높이가 7.45m에 이르나 정상에 끊긴 흔적이 있어 원래는 훨씬 더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양 옆의 당간지주는 위쪽 바깥면을 둥글게 깎아 다듬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마을의 액운과 재난이 예상될 때는 이 당간에 기를 달고 제사를 지냈다 한다. 이러한 풍습은 사찰의 행사에 쓰이던 당간의 본래 목적과는 달리 통일신라를 거쳐 고려, 조선에 이르면서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생겨난 것이다. 당간 아랫부분에 새겨진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12년(1671)에 이 당간지주를 세웠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