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피폴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호피폴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호피폴라

호피폴라

0m    1     2023-03-21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나사해안길 6

나사리 해변을 앞마당으로 갖고 있는 호피폴라는 아이슬란드의 가수 시규어 로스의 노래 제목으로 '물웅덩이에 뛰어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름처럼 햇살이 반짝이는 은빛 바다를 배경으로 야외 테라스와 어린이 물놀이장까지 갖추어 울산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다. 전체적인 외향은 노출 콘크리트로 지어진 3층 건물로, 내부 공간은 휴양지에 와 있는 듯한 느낌에 좌석의 종류도 다양하여 어디 앉을지 고르는 재미도 있다. 모든 층에 야외 테라스가 있어서 탁 트인 전망의 바다 뷰를 볼 수 있다. 1층은 어른, 아이 모두 이용할 수 있고 2층과 3층은 노키즈 존으로 운영한다. 루프탑은 음료 섭취가 불가하다. 매장에서 직접 추출하는 콜드 브루 비엔나는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이다.

척판암(부산)

척판암(부산)

10.0 Km    23720     2024-05-27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로 490-156

척판암은 원효대사가 장안사와 함께 창건한 토굴로 원효대사의 신통력으로 중국 당나라 운제산 태화사의 붕괴를 예측하고 원효대사께서 소반을 던져 천명의 대중을 구했다는 송고승전(宋高僧傳)의 기록이 남아있는 사찰이다. 창건 당시에는 [담운사]라 불렸으나 1938년 경허스님에 의해 중수된 후 장안사의 부속 암자로 유지되다 최근 독립된 사찰로 자리하고 있다. 보관하고 있는 주요 문화재로는 부산시지정 문화재자료 제41호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울산 옹기박물관

10.0 Km    1     2023-02-06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3길 36

울산옹기박물관은 장인들의 발자취와 옹기의 역사, 문화 그리고 미래를 전시하는 공간입니다. 전통 옹기장인들의 삶터와 일터가 어우러진 국내 유일의 옹기 집산촌인 외고산 옹기마을에 옹기와 함께 숨쉬며 살아온 장인들의 발자취와 옹기의 역사, 문화 그리고 미래를 전시합니다. 2003년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2007년 공사를 착공하고, 2009년 10월에 완공하여 2009년 11월 3일 울산옹기박물관을 개관하였습니다.

[출처 : 외고산옹기마을]

울산옹기축제

울산옹기축제

10.1 Km    50523     2024-04-26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3길 36
052-980-2232~6

울산옹기축제는 한민족과 천 년이 넘는 시간동안 함께 한 ‘옹기’를 주제로 특화시킨 국내 유일의 축제이다. 옹기를 전통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는 울주군 외고산 옹기마을에서 축제가 개최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지역 대표 특산물인 ‘옹기’를 홍보하고 생활 옹기의 보급과 전통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장인들의 옹기 만들기 시연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접 흙을 밟고, 옹기를 빚어 구워볼 수 있다. 옹기축제는 2000년 11월 외고산에 거주하던 옹기 장인들 주민 화합의 장으로 마련한 행사에서 시작한 울산옹기축제는 울산에서는 유일하게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2024∼2025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되고, 8년 연속 '대한민국 축제콘텐츠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외부 관광객 비율이 과반을 넘으면서 지역 대표 축제에서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울주문화원

울주문화원

10.1 Km    18110     2023-12-18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외고산1길 4-19

울주지역은 선사시대 반구대암각화, 천전리각석 등의 문화 유적과 간절곶 등의 관광 자원이 있는 유서 깊은 지역이다. 울주문화원은 울주의 지역문화를 계승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곳으로 조상의 얼과 지혜가 담긴 문화유산과 사라져 가는 옛 생활의 풍습 등을 기록하고 보존하고 있다. 문화원에서는 간절곶 해맞이 축제, 충렬공 박제상 문화제, 정월대보름 행사, 화전놀이, 간절곶 동요제 등을 연중 개최하고 있다. 이외에도 해파랑길 걷기 프로그램과 울주 대곡리 반구대암각화, 울주 천전리각석과 공룡 발자국, 언양읍성, 석남사, 서생포 왜성, 박제상 유적지, 옹기마을, 석계서원 및 울산학성이 씨 근재공 고택 8곳을 돌아보는 울주역사문화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울주역사 문화체험학습은 6세 이상의 어린이부터 초등학생을 동반한 가족이 참여할 수 있다.

울주민속박물관

울주민속박물관

10.1 Km    0     2024-05-23

울산광역시 울주군 외고산1길 4-19

울주민속박물관은 2001년 온양초등학교 삼광 분교에 울주향토사료관으로 처음 개관한 이후 2013년 울주민속박물관, 2018년 울주 민속 어린이 박물관까지 개관하게 되었으며 '울주 사람들'과 ‘세상’ 사이를 잇는 가교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울주의 민속 생활들을 잘 보존해 전시하고 있다. 울주 민속문화가 지니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문화적 가치를 재인식하여 미래 울주문화의 원천과 원동력으로 삼는다.

아데초이

아데초이

10.3 Km    0     2024-01-22

부산광역시 기장군 문오성길 162-1

아데초이는 베이커리가 유명한 디저트 카페이다. 동경제과학교 출신인 사장님이 직접 만드는 케이크와 빵을 맛볼 수 있으며, 쫀득ㅎ산 식감의 마카롱이 인기가 많은 곳이다. 카페 입구로 들어가는 계단은 화분들이 빼곡히 있어 미니 정원을 연상케 한다. 카페 내부는 노랑, 빨강, 파랑 등 원색으로 포인트를 주었고, 화려한 샹들리에와 조명들이 곳곳에 있어 화려하고 고급스럽다. 낮에 방문하면 바다 뷰와 다양한 디저트를 즐길 수 있고, 저녁이면 앤틱 가구 사이사이 비치된 조명들이 켜져 색다른 느낌의 카페를 볼 수 있다.

내원암(울산)

내원암(울산)

10.4 Km    23533     2023-12-21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상대길 382

내원암은 울산12경 가운데 하나인 대운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신라시대의 고찰 가운데 하나이다. 석남사, 문수사, 신흥사와 함께 울산 지역의 4대 고찰 가운데 하나로, 신라시대 고봉 선사가 창건하였다는 대원사의 암자로 현재 대원사는 내원암 입구에 터로 남아있다. 주변은 울산12경 가운데 하나로 계곡물이 맑고 깨끗하기로 유명하여 울산과 주변 지역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는 곳이다. 내원암의 자랑인 팽나무 고목은 500여 년의 세월을 온몸으로 버티고 있는 터줏대감인데, 모습이 코끼리를 닮았다고 하여 보는 이의 눈길을 끌기도 한다. 근래 들어서는 종교 간에 얽힌 마음의 장벽을 허물고자 매년 울산지역 성직자들이 함께 참가하는 산사음악회를 개최하고 있어 지역사회에서 호응을 받고 있다.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내원암은 울산지역의 대표적인 기도처이면서, 종교를 초월하여 지역의 모든 이들을 포용하는 문화공간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고 있다.

내원암 계곡

내원암 계곡

10.4 Km    1     2023-12-04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상대길 382

울산 대운산의 내원암 계곡은 깊은 숲에 있는 청량한 계곡이어서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고,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이 곳엔 신라 중기에 세워진 내원암이 있는데 여기에서 원효대사가 마지막으로 수행하였다. 내원암 계곡은 대운산 정상에서 흘러내린 물이 크고 작은 바위를 거쳐 돌면서 만들어 낸 작은 웅덩이가 많아 한 여름 물놀이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수만 년의 세월이 빚어놓은 수려한 폭포와 깨끗하고 청량한 물줄기가 계곡 구석구석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어 보기만 해도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굴참나무를 비롯해 여러 수목들이 어우러지는 풍경도 계곡과 함께 한 여름의 더위를 날려줄 청량감을 선사한다. 이곳 대운산 일대는 매년 5월이면 진분홍 철쭉이 뒤덮여 장관을 이루며, 가을에는 울긋불긋한 단풍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만들어 낸다. 대운산 철쭉제와 내원암에서 주최하는 가을 산사음악회 등 계절별로 다양한 행사도 진행되니 방문 전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내원암 계곡을 따라 울산수목원이 조성되었는데 대나무원과 동백원 등 다양한 전시원이 있어 산림과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연계해서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목도

목도

10.4 Km    23654     2024-05-24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 당목길

묵도는 울주 앞바다에 있는 작은 섬으로 육지로부터 200m 떨어져 있다. 동물의 눈과 같은 형상이라 하여 목도라는 이름을 얻었고, 동백나무가 섬에 가득하여 동백도라고 불리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춘도(동백섬)라 하였다. 신라 때는 대나무를 많이 길렀다고 하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에는 주민들이 대나무 화살을 만들어 나라에 바치기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후 대나무는 점점 자취를 감추고 지금은 각종 상록수들이 무성하다. 동백나무, 후박나무, 곰솔나무, 사철나무, 후박나무, 다정큼나무 등이 흔하게 자라고 있으며 벚나무, 팽나무, 자귀나무, 두릅나무, 노린재나무, 칡, 멍석딸기, 인동덩굴, 등나무, 감나무, 구기자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섬 전체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목도의 상록수림은 우리나라 동해안 쪽에 있는 유일한 상록수림이며, 물고기가 서식하는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하여 물고기 떼를 해안으로 유인하는 어부림의 역할도 하고 있다. 현재 울주 목도는 상록수림의 보호를 위해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관리 및 학술 목적 등으로 출입하고자 할 때에는 문화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