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원사(양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계원사(양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계원사(양산)

계원사(양산)

17.3Km    2025-03-17

경상남도 양산시 중앙우회로 66-64 (중부동)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 소속 사찰인 계원사는 사찰의 역사를 알 수 있는 문헌 기록은 전하지 않으나, 구전에 따르면 가야시대에 창건되었으며,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다가 1924년에 중건된 것으로 파악된다. 사찰의 유래와 관련하여 옛날부터 흥미 있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계원사에서 양산시가지를 향해 서서 왼쪽을 바라다보면 가까운 능선 끝에 바위가 보인다. 이 바위의 이름은 닭바위라고 한다. 옛날에 계원사 아래 삼동리 마을사람들이 새벽이면 닭바위 위에서 나는 닭의 울음소리를 듣고 새벽을 열었다고 한다. 또한 이곳에는 그 닭들이 물을 마셨다는 닭우물도 있다. 계원사 대웅전은 낮은 기단 위에 세워져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식 겹처마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에는 창호문을 달았으며, 중앙 어칸에는 3분합문, 좌·우 협칸에는 2분합문을 달았다. 측면에는 한 짝의 문을 달아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나머지는 벽체로 처리하였다. 중앙 어칸과 협칸은 모두 격자 문양의 살창이다. 기둥머리에 결구된 창방 위에는 2익공의 비교적 간결한 공포를 마련하여 지붕의 하중을 받도록 하였다. 2003년에 요사채 옆의 절개지 작업 도중 신라시대 토기가 다수 출토되었다. 출토된 7점의 완형 토기들은 현재 국립김해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기장 앞바다를 보며 힐링

17.3Km    2023-08-08

부산 외곽에 자리한 기장. 내륙에서 부산으로 들어서는 관문이자 멸치의 고장이기도 한 기장에서 해안을 따라 맛기행을 떠나보자. 봄이면 은빛 물결을 이루는 멸치 군무가 기다리고 있다. 가까이 자리한 연화리 해물촌에서는 싱싱한 해산물과 진한 전복죽을 맛볼 수 있다. ‘부산 별미’로 첫손에 꼽히는 곰장어의 원조(?)로 알려진 기장 곰장어도 놓칠 수 없다. 바다와 용, 그리고 관음대불이 조화를 이루는 해동용궁사에서 소원을 빌어보는 것도 잊지 말자. 부른 배를 소화시키기에도 제격이다.

몰운대(부산)

몰운대(부산)

17.3Km    2025-07-18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몰운대는 낙동강하구와 바다가 맞닿는 곳에 자리한 명승지로 16세기까지 몰운도라는 섬이었으나, 낙동강 상류에서 밀려온 토사가 쌓여 다대포와 연결되면서 지금은 육계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육계도는 섬과 육지 사이의 얕은 바다에 모래가 퇴적되어 사주를 만들어 연결된 섬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는 제주도의 성산일출봉이 있다. 몰운대는 구름 속에 빠진 섬이라는 시화적인 이름으로 낙동강하구에 안개와 구름이 끼는 날이면 섬이 구름에 잠겨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몰운대에서는 백악기 말의 하부다대포층과 그 후 부산의 지각변형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단층, 단층암, 암맥, 광맥, 쳐트편, 사층리, 흔적화석 등의 다양한 지질특성을 간직한 지질학의 교과서라 불릴만한 곳이다.

기장향교

17.4Km    2025-03-05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417번길 35
051-721-3287

기장향교는 조선 광해군 9년(1617)에 처음 지었다. 철종 6년(1855)의 성묘중수기(聖廟重修記)가 남아 있는데, 지금 있는 대부분의 건물은 이때 지어진 것이다. 건물 배치는 교육 공간인 명륜당을 앞에 두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뒤로한 전학 후묘의 공간 구성을 이루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서재, 풍화루, 내삼문, 외삼문 등이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명륜당은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는 강당으로, 양쪽칸은 온돌방이고 가운데 3칸은 마루로 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대변어촌계해녀특산물판매장

대변어촌계해녀특산물판매장

17.4Km    2024-10-14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기장해안로 668

부산 기장군 대변항 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대변어촌계해녀특산물판매장은 다양한 해산물과 장어, 전복죽이 유명하며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해산물 판매장이다. 모두 13곳의 판매점이 있으며, 전복죽은 대변항의 특산물로 매장마다 제일 많이 찾는 메뉴이며, 해산물 모듬도 많이 찾는 메뉴 중 하나이다. 해산물 모듬에는 게불, 낙지, 멍게, 소라, 전복 등 다양한 해산물이 나오며 모두 싱싱한 해산물로 바다향이 물씬 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장어구이는 연탄불에 직화로 구운 후 양념을 발라 다시 한 번 구워 먹는다, 불 향이 장어에서 느껴져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는 별미이다. 대변어촌계해녀특산물판매장 한켠에는 건어물을 판매하는 매장도 있어 해산물을 먹고 건어물도 구경하고 구입할 수 있는 곳이다.

올리브영 김해삼계

올리브영 김해삼계

17.5Km    2024-03-24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중앙로 47

-

분성산생태숲생태체험관

분성산생태숲생태체험관

17.5Km    2025-03-11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로 146

도심 내 다양한 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분성산 생태숲은 과거 육군공병학교가 있어 민간인의 출입이 50년 이상 통제되어 숲의 천이 단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다. 이러한 숲을 보존하고, 생태 체험 및 교육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분성산 생태숲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 분성산 생태숲 체험 프로그램은 생태체험관 관람과 생태숲 탐방으로 나뉜다. 생태체험관은 로비, 전시실, 자연관찰실, 유아 체험실이 있으며 분성산의 탐방길, 생태숲의 역사, 나무 만져보기, 숲 속 놀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분성산 탐방코스는 자유롭게 탐방하거나 숲길 등산 지도사의 안내에 따라 탐방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있다. 김해 관내 숲길을 걸으며 올바른 등산 방법과 안전교육을 해준다.

김해가야딸기테마파크

김해가야딸기테마파크

17.5Km    2025-08-11

경상남도 김해시 칠산로210번길 128-62 (이동)

김해 가야딸기테마파크는 김해시 장유롯데아울렛쇼핑몰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3대를 이어온 딸기의 명가로 자연과 사람이 하나 되는 체험 공간이며 테마가 있는 딸기농원이다. 딸기수확체험, 딸기케이크 만들기체험, 딸기퐁듀체험, 마카롱만들기체험 등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딸기 체험 외에도 닭장 속 계란 가져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체험활동은 딸기가 재배되는 12월~5월까지 가능하며 체험 시간은 오전 10시 30분, 오후 1시, 오후 3시 하루 세 차례 운영한다. 사전 예약 후 이용하면 편리하다.

대법륜사

17.6Km    2024-12-19

경상남도 김해시 금관대로 1088-28

대법륜사는 해발 165m의 나지막한 함박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김해에서 가장 큰 아미타불이 있는 사찰로 20m 높이의 거대한 불상이다. 또한, 이곳은 경상남도 문화재 2건을 보유하고 있다. 생전에 사후왕생을 기원하는 불사를 미리 행함으로써 죽은 후에 ‘명부십왕’의 심판을 받아 지옥에 떨어지는 것을 면할 수 있다는 ‘예수시왕생칠재’의 공덕을 설한 경전인 ‘불설예수시왕생칠경’과 불교의례서인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로 불교 경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인정되어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김해국제공항과 20분 거리에 있으며 주차 공간도 넉넉하고 버스 정류장이 30m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수리공원

수리공원

17.6Km    2025-08-20

경상남도 김해시 해반천로144번길 17-20

김해시 북부동 행정복지센터에 인접한 면적 5,551㎡ 정도의 도시 근린공원으로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접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공원 옆 도로 일부를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어 방문하기 용이하다. 상가 밀집지의 중앙에 위치하여 버스킹 공연, 아나바다 벼룩시장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공원 광장에서 진행되기도 한다. 영화관, 도서관 등의 문화시설과 식당, 카페 등의 편의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산책과 더불어 나들이하기에도 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