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Km 2024-07-03
경상북도 청송군 중앙로 526
신동양식당은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소재 청송달기약수닭요리거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등 여러 방송에 소개된 바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로 이루어졌으며,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토종닭을 부위별로 요리한 토종닭 풀코스다. 이 밖에 토종닭달기약수백숙, 능이버섯백숙, 오리백숙, 오골계백숙 등이 준비되어 있다. 청송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외씨버선길1코스와 달기폭포가 있다.
14.2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14.2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542
054-873-2167
14.2Km 2025-03-28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6
14.3Km 2025-03-31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18-1
14.3Km 2025-07-31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국립경국대학교 박물관은 1979년 3월, 안동대학교 개교와 더불어 개관하였다. 단순히 대학박물관을 넘어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유일한 종합박물관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수장 유물은 역사·고고·미술·민속자료 등 전통문화의 전 분야를 망라하고 있으며 안동 지역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하여 학생과 교수의 교육·연구에 도움을 주는 한편 지역민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고 있다.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5천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주요한 것으로 안동 석사자(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임하사 전탑지 사리구, ‘원이엄마 편지’로 널리 알려진 이응태 묘 출토유물 등을 들 수 있다. (출처 : 국립경국대학교 박물관 홈페이지)
14.3Km 2024-10-25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송천동)
안동대학교 내에 위치한 역동서원은 1570년(선조 3)에 퇴계 이황 선생의 발의로 역동 우탁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상현사, 8칸의 명교당, 신문, 입도문, 1칸의 전사청, 1칸의 장서각, 10칸의 주소 등이 있으며 사우인 상현사에는 우탁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강당인 명교당은 중앙의 마루와 양쪽 협실로 되어 있는데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전사청은 제수를 장만하여 보관하는 곳이며, 주소는 서원을 수호하는 고자가 사용하고 있는 곳이다. 1684년(숙종 10)에 역동[易東]이라 사액되어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 오던 중,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9년 11월 현 위치에 이건 복원했다. 숙종이 사액한 현판은 유실되었으나 아직까지 퇴계 선생이 손수 써서 게판했던 역동서원, 광명실 등 현판들이 남아있다. 향사는 매년 2월 하정과 8월 하정에 지낸다. 안동대학교가 이곳으로 이전하면서 현재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 관리를 맡아 향사 의식 등 제반 서원 운영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4.3Km 2024-12-17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24
054-873-2078
경상북도 청송군에 있는 부산식당은 기력 회복에 좋다고 알려진 음나무, 두충나무를 재료로 사용하며 백숙, 닭 불고기로 유명한 식당이다. 청송군 향토 음식 지킴이의 집으로 선정되었으며, 향토 음식 아카데미를 수료한 주인장이 운영하는 곳이기도 하다. 손님들의 취향에 맞는 인삼, 황기, 녹두, 대추, 찹쌀 등을 이용하여 요리하고 있다.
14.4Km 2024-12-26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약수길 28
054-873-2183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에 위치한 봉산식당은 달기약수를 이용한 백숙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토종한방백숙, 토종옻닭백숙, 능이버섯백숙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14.4Km 2024-11-12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금곡리 1056-1
현비암은 청송읍내를 관통하는 용전천변에 있는 높이 20여 미터의 절벽으로, 기암절벽과 수목이 용전천에 비치어 기이하고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현비암이라는 명칭은 이 바위 뒷산 보광산에 청송심씨의 시조 묘가 있는데, 세종대왕 비인 소헌왕후 심씨 같은 어진 왕비가 태어났다고 해서 붙여졌다. 현비암에는 승천하지 못하고 떨어진 용의 전설이 있다. 이른 새벽 냇가에 빨래하러 나간 여인이 승천하는 용을 보고 놀라 소리를 질렀고 이에 수천 년 동안 승천의 꿈을 키워 온 용은 그만 승천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떨어져 바위가 되었다. 그리고 바위 밑에 흐르는 하천은 승천하지 못한 용이 원통해하며 흘린 눈물이라고 한다. 이 바위가 멀리서 보면 용머리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하여 일명 용비암이라고도 한다. 현비암 용전천변에는 해수욕장 못지않은 넓은 모래사장이 펼쳐져 현비암 강수욕장 유원지가 조성되어 있다. 현비암 절벽에서 흐르는 인공폭포의 눈물을 배경으로 여름에는 한시적인 물놀이 시설이 설치되어 이곳에서 피서를 즐기고, 겨울에는 빙벽을 보며 강가 얼음 썰매를 즐기는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