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Km 2025-06-11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5길 103-8
1877-5942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는 국내 최장 거리, 최고 난이도를 자랑하는 9PEAKS(121km, 누적상승고도 9,190m) 코스를 가지고 있는 국내 최고의 트레일 러닝 대회이다. 매년 10월말 진행되는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에서는 금빛 억새 물결과 알록달록한 단풍이 펼쳐진 아름다운 영남알프스의 가을을 만끽할 수 있다. 산을 뛰면서 만나는 석양과 일출의 광경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동호인들 뿐만아니라 일반인들도 이 대회를 즐기기 위해 전국각지에서 세계에서 모이고 있다. 올해는 ITRA(국제트레일러닝협회)에서 첫번째로 개최하는 ‘아시아태평양 트레일러닝 챔피언십 대회’와 함께 개최되어 아시아 태평양 선수들이 모이는 트레일러닝 축제를 경험할 수 있다.
14.5Km 2025-06-20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추화산성은 경상남도 밀양시 주화산 산마루에 축조된 삼국시대의 퇴뫼식 산성으로, 밀양읍성으로부터 동쪽 지점에 있다. 화산성은 신라가 가야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대치하던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삼국시대 초기의 산성터로 추정된다. 성의 구조는 동, 서, 남에 문 터가 있고, 북쪽 계곡의 평지에는 우물, 연못 부속건물들이 있었던 것 같다. 성벽은 석축 부분이 많고, 토석혼축 부분은 적은 편이며, 축조수법이 경사면의 기단부는 내탁하고 상단부는 협축하는 순서를 취했다. 토석 혼축 부분은 기둥을 세우지 않고 양측에 석축을 쌓고, 그 속에 흙을 채워 다져 넣는 공법을 사용하였다. 성안에서 출토된 유물은 기와 조각, 토기 조각, 분청자기, 백자조각들이 발견되었는데, 추화산성은 처음에는 읍성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많으나, 읍성이 현재의 밀양시내에 쌓아지면서 산성으로서 기능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추화산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는데 적의 침입이 있을 때에는 군사적 고지이면서, 주변의 주민과 군사들에게 적의 침입을 알리는 기능을 하였던 곳이었다.
14.6Km 2025-01-21
경상남도 양산시 내원로 154 산마루
산마루식당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에 있는 닭볶음탕 맛집이다. 내원사 계곡 근처에 단독 건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창가 쪽에 자리를 잡으면 내원사 계곡이 바로 앞에 있어 계곡을 즐기며 음식을 먹을 수 있어 인기가 좋다. 대기가 발생할 땐 가게 앞 태블릿에 전화번호 입력 후 대기하면 된다. 이때 단독방, 실내 창가, 야외, 평상, 상관없음으로 좌석 선택도 미리 할 수 있다. 상관없음을 선택하면 대기 순서가 가장 빠르다. 산마루식당은 오리불고기, 백숙, 닭볶음탕이 대표 메뉴이며 특히 매콤 달콤한 양념에 미리 익힌 닭고기와 양배추, 떡, 감자, 당면 등이 나오는 닭볶음탕이 인기 메뉴이다. 산마루식당 근처 세계문화유산 통도사도 가까이 있으니 함께 방문해 보는 걸 추천한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
14.7Km 2025-07-03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로 197
등억온천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리 영남의 알프스인 신불산 자락에 있는 대규모 온천단지이다. 정식 명칭은 등억온천원보호지구이며 신불산온천이라고도 불린다. 온천수 수질은 지하 600~800m에서 용출된 알칼리성 중조천으로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피부염과 신경통 소화기질환, 기관지염, 고혈압,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고, 특히 음용수로 마실 수 있는 광천수의 역할도 하고 있다. 주위에 있는 자수정 동굴나라, 작천정, 신라 사찰 석남사, 통도사 등의 관광지를 비롯하여 영축산, 가지산, 재약산과 연계되어 산행과 휴식의 즐거움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온천단지 앞 큰길은 실제로는 내리막길인데, 눈의 착시현상으로 오르막길로 보이는 도깨비 도로이다. START 표지판이 있는 지점에서 기어를 중립으로 두고 차를 세워두면, 차가 미끄러지듯 이 오르막길을 올라가는 현상이 생긴다.
14.7Km 2024-12-04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로 1123
양산 원동면에 있는 카페 가마등은 자연 그대로의 풍경과 잘 어우러진 야외 테라스로 유명하다. 카페에서 내려다보이는 숲속 작은 마을과 강은 한 폭의 그림 같다. 깔끔하고 예쁜 주방에서 직접 만드는 베이커리와 수제청 음료들이 다양하다. 차를 마시며 편안하게 이야기 나누기 좋은 좌식으로 되어 있는 공간도 있어 인기가 좋다. 반려견 동반은 야외 테라스에서만 가능하고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석산 근린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14.7Km 2024-08-20
경상남도 밀양시 용평로 537-5
밀양 다강은 비빔밥과 감자옹심이로 유명한 곳이며 시인인 주인장의 아름다운 시를 예쁜 손글씨체로 감상할 수 있어 마치 작은 갤러리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곳이다. 대표 메뉴인 비빔밥은 투박한 멋이 살아있는 옹기에 밥과 계란, 고사리, 숙수 등 각종 채소를 얇게 썰어 고추장을 얹은 것으로 깻잎과 붉은 대추 고명으로 인해 더욱 정갈하고 맛깔스러운 느낌을 풍긴다. 또한 감자옹심이는 쫄깃한 옹심이와 깊은 국물 맛이 일품이다. 디포리, 황태, 표고버섯 등으로 육수를 낸 후, 팽이버섯과 애호박, 들깻가루 등으로 맛을 낸 감자옹심이는 시원하고 깔끔한 맛 때문에 속풀이로도 제격이다. 다강은 건강한 음식뿐 아니라 주인장이 정성스레 가꾼 정원도 인기다. 계절마다 아기자기한 꽃이 앞다투어 피어나고 연못, 쉼터가 있어 편안하고 아름다운 분위기에서 식사와 전통차를 즐길 수 있다.
14.7Km 2024-06-12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양산대로 1456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에 위치한 겟잇상북(GET IN SANGBHK)은 ‘상북으로 오라’는 뜻을 가진 감각적이고 세련된 느낌의 카페이다. 패브릭 소파, 모듈 가구, 그리너리로 트렌디하게 꾸며 놓았다. 또한 분기별로 카페 내부를 꾸미고, 계절이나 시간대에 맞게 음악을 틀어 방문객들이 편히 쉬어 갈 수 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카페 내부에 있는 큐브 모양 의자와 테이블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원하는 모양으로 인원에 맞게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카페 한편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인 작가들의 예술품을 전시해 놓아 문화생활도 즐길 수 있다. 커피 메뉴는 물론 크로플, 에그타르트, 스콘, 쿠키 등 다양한 종류의 디저트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14.7Km 2024-02-23
경상남도 양산시 충렬로 574-1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에 위치한 소토커피는 양산천이 보이는 전망 좋은 카페이다. 야외 잔디 정원과 1층, 2층으로 이루어져 넓고 쾌적하며, 특히 양산천이 보이는 자리에서는 울창한 나무들을 바라보며 커피를 마실 수 있다. 에스프레소에 우유가 들어가고 그 위에 크림이 올라간 소토커피가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이며, 아포가토와 드립커피, 에이드, 수제청차, 허브차 등의 다양한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14.7Km 2024-07-18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충렬로 541
경상남도 양산 숲속에 자리 잡고 있는 다이닝 숲은 파스타 맛집이다. 430㎡의 넓고 쾌적한 매장이 1, 2층으로 나누어져 있어 단체 모임이나, 데이트, 가족 식사하기 좋은 곳이다. 아이들 전용 의자와 포크, 수저가 준비되어 있으며 돼지고기 안심, 목살, 베이컨 스테이크, 샐러드, 파스타, 리소토, 피자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특히 각종 해산물과 채소를 넣어 맛을 낸 중화식 매콤 파스타와 게살과 굴 소스를 넣어 만든 로제 파스타는 이곳의 대표 메뉴이다. 주말에 손님이 많은 곳이라 대기할 수 있으니 조용하게 식사를 하고 싶다면 주중에 방문해 보는 것도 좋다.
14.8Km 2025-07-25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알프스온천4길 15
간월사는 신라시대 진덕여왕 때 자장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하는데 절터에서 나온 유물은 거의 모두 통일신라시대의 것들이다. 이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고쳐지었으나 조선 말기에 폐사되었다. 후에 사람들이 암자를 세워 노천에 방치되어 있던 여래 좌상을 봉안하였다. 발견 당시 광배는 결손 된 상태로 대좌 역시 완전한 상태는 아니었지만 불상에서 보이고 있는 인간의 모습을 재현한 듯한 얼굴과 신체적 비례는 8세기말에서 9세기에 즐겨 사용된 기법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로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자리 잡고 있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며 단정한 입과 긴 눈, 짧은 귀 등의 표현에서 온화하고 인간적인 느낌을 준다. 어깨는 좁아지고, 몸은 양감이 없이 펑퍼짐한 모습이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얇으며 U자형의 옷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얼굴과 신체의 풍만함과 좁아진 어깨 등에서 9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모습을 보여주며 역사적 기록과 남아 있는 유구가 거의 없는 간월사지의 창건 연대를 확인시켜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