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무형문화재 주말 상설공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밀양 무형문화재 주말 상설공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밀양 무형문화재 주말 상설공연

밀양 무형문화재 주말 상설공연

0m    2     2023-04-26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중앙2길 19
055-354-3767

삼한시대부터 농경문화(3대 수리시설 중 하나인 수산제)가 발달한 밀양시의 국가 및 경상남도 지정 무형문화재인 5개 민속공연을, 밀양시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이자 우리나라 3개누각의 하나인 영남루 마당에서 매 주말(토, 일) 개최함으로써 밀양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할 목적으로 매년 실시하며, 관람객 참여이벤트를 마련하여 코로나 퇴치 기원 복주머니 등 기념품도 제공하고 있음. (5개 공연 중 1개만 순번제로 개최)

청도군 자전거공원 캠핑장

청도군 자전거공원 캠핑장

10.1 Km    1     2024-05-28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유호리 39-5

자전거공원 캠핑장은 경북 청도군 청도읍에 자리 잡고 있다. 청도군청에서 약 12km 떨어진 거리이다. 이곳은 MTB 자전거와 레일바이크, 미니열차 등 캠핑 이외의 즐길 거리가 다양하다. 캠핑장 가까이 청도천이 흐르고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경관도 뛰어난 곳이다. 캠핑장 사이트는 데크로 18면을 갖췄는데 크기는 가로 3.5m 세로 6.5m로 데크 설치 간격은 넓고 여유롭다. 화로대 사용은 불가능하고 전기는 이용할 수 있다. 캠핑장은 연중 쉬지 않고 운영하며, 예약은 온라인 실시간으로만 받는다. 반려견은 크기 상관없이 동반 입장이 불가능하다. 캠핑장 주변으로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 청도역 철도체험학습장 등 들러볼 만한 곳이 많다.

청도 레일바이크

10.4 Km    1     2024-02-26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신도리

청도 레일바이크는 왕복 5km의 순환형 선로로, 레일바이크에 페달이 모두 있어 4인이 함께 페달을 밟을 수 있으며, 청도천의 물길을 따라 이어지는 철로에서 LED 터널, 은하수다리, 테마산책로, 장미터널 등 수려한 자연환경과 아름다운 조형물을 볼 수 있다. 약간의 오르막은 자동화 견인 시스템으로 편안하게 남녀노소 즐길 수 있다. 레일바이크와 더불어 미니기차 그리고 MTB와 같은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어 아이를 동반한 가족여행지로 좋다.

밀양알프스캠핑장

밀양알프스캠핑장

10.4 Km    0     2023-09-20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밀양대로 3468-7

밀양알프스캠핑장은 강가에 위치하고 있어 여름철 물놀이 장소로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는 캠핑장이다. 40여 개의 파쇄석 사이트를 가지고 있으며, 텐트와 타프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넉넉한 사이트를 가지고 있다. 사이트 전면에 바로 주차가 가능해 무거운 짐을 옮기는 수고로움을 덜어주고 있으며, 15년생이 넘은 느티나무와 벚나무들이 식재되어 있어 무성한 나무들이 주는 자연 그늘이 많은 캠핑장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트램펄린이 설치되어 있다. 온수 샤워가 가능하며, 곳곳에 전기 배전함이 있어 전기 사용이 편리하며 와이파이 사용도 가능하다. 모든 시설물들의 관리가 청결하여 기분마저 좋은 곳이다. 산책로가 있어 가벼운 산책이나 등산도 가능하다.

산여울오토캠핑장

산여울오토캠핑장

10.5 Km    1     2023-10-31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밀양대로 3480

산여울캠핑장은 산세가 아름답고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캠핑장이다. 얼음골 인근에 있는 곳으로 시원하고 맑은 물의 계곡이 있어 언제든지 물놀이를 할 수 있으며 여름 휴가지로 추천할 만한 곳이다. 이곳은 캠퍼들을 위한 사이트와 커플 객실부터 가족 객실, 단체가 머물기 좋은 카라반 객실까지 다양한 객실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사이트 공간이 넓어 여유롭게 텐트를 설치할 수 있어 이웃과도 편하게 지내다 올 수 있어 좋다. 사이트 앞으로 바로 주차가 가능해 캠핑을 즐기기에 편하다. 전기사용이 가능하며 릴선은 10~20M 정도면 충분하다. 샤워장 및 화장실 온수사용이 가능하며, 개수대 시설은 깔끔하다. 화로대 세척장까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편리하다. 매점은 밤 11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 어린이들에게 인기 좋은 트램펄린이 개수대와 관리동 사이에 있어서 오며 가며 자녀들이 안전하게 노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동계 사이트할인이 12월 1일부터 시작되어 이듬해 2월 28일까지 진행되고 있다.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

10.6 Km    0     2024-01-19

경상북도 청도군 양지길 173

굽은소나무와오리도둑한재미나리는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평양리 한재 마을에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한재 미나리는 청도의 대표 특산물로 이름 높은데 이 음식점은 한재 미나리를 육류에 곁들여 먹는 요리가 별미다. 대표 메뉴는 생오리이며, 이 밖에 생삼겹살, 미나리 비빔밥, 미나리 전, 촌두부 등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청도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공원, 청도 레일바이크가 있어서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춘천집

춘천집

10.7 Km    4607     2023-01-09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한재로 380
054-373-4730

※ 영업시간 11:00 ~ 17:00 청도 한재마을에서 재배하는 무농약 미나리와 수육을 함께 맛볼 수 있는 음식점이다. 한재마을에서 유일하게 수육으로만 20여 년간 영업 중인 식당으로, 12월 초부터 4월 중순까지 쉬는 날 없이 점심시간에만 영업하고 4월 말이면 문을 닫아 12월에나 다시 문을 연다. 한재미나리가 가장 연하고 맛있을 때만 영업을 하는 주인장은 5월부터는 산으로 들로 다니며 산나물을 캐다가 장아찌를 만들어 둔다. 연근, 돼지감자, 생강, 마늘, 달래, 깻잎, 취나물, 감, 토마토, 양파, 다시마, 양배추 등 수십 가지장아찌를 담가 그때그때 밥상에 함께 내어 미나리와 함께 풍족한 한상이 차려진다.

탐복미나리가든

탐복미나리가든

10.7 Km    4706     2023-09-15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한재로 382
054-371-7755

탐복미나리가든은 7월부터 9월은 쉬고 10월부터 6월까지는 쉬는 날 없이 한재 미나리와 삼겹살 밥상을 차려내고 있다. 삼겹살을 주문하면 한재 미나리가 한 다발 나오는데, 삼겹살을 불판에 구우면서 미나리를 한 줌 올려 가위로 툭툭 잘라 숨만 죽으면 삼겹살과 함께 먹으면 된다. 살짝 숨이 죽은 미나리의 맛은 매우 부드럽고 향긋하여 삼겹살보다도 인기가 좋다. 탐복미나리가든도 밥상 위에 짭조름한 장아찌 반찬이 수두룩하다. 화악산 자락에서 나는 갖가지 산나물과 꽃, 열매 들로 장아찌를 만들어 밥상에 올린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미나리 장아찌다. 아삭아삭 살아 있는 식감에 은은한 향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미나리 생채 무침을 밥에 넣고 비벼 먹는 미나리 비빔밥도 이 집의 별미다. 탐복미나리가든은 반찬이나 찌개에 들어가는 된장과 청국장, 고추장을 직접 담가서 쓰고 있으며, 짙은 초록빛이 먹음직스러운 생미나리 전은 99% 미나리만으로 부쳐내는데, 검은콩 가루를 넣어 반죽해서 구수한 맛이 일품이다. 한 조각 큼직하게 찢어서 초간장에 찍어 먹으면 쫀득하면서 달큼한 미나리 향이 입안에 가득하다.

바래미바네사

바래미바네사

10.7 Km    1     2024-02-13

경상남도 밀양시 만어로 440

밀양 삼랑진에 있는 바래미바네사는 대형 베이커리 카페이다. 특이한 이름의 바래미바네사는 함경 방언의 ‘바람’이라는 뜻의 바래미와 ‘큰 멋쟁이 나비’라는 뜻을 가진 바네사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나비 옆모습을 닮은 건축물로 탁 트인 언덕 위에 있어 산과 하늘을 볼 수 있어 인기가 좋다. 한적한 곳에 있는 바래미바네사는 넓은 주차장이 있고, 각 층에 천연 데크 바닥인 테라스가 있다. 또 야외 정원과 대형 풀, 야자수가 있어 이국적인 분위기가 난다. 3층 실내 공간 한쪽에는 책도 있어 독서가 가능하며 루프탑에 마련된 파라솔과 빈백, 작은 텐트 공간, 야외 테이블 등 다양한 좌석이 있어 골라 앉을 수 있다.

대운암(청도)

10.7 Km    17369     2023-08-08

경상북도 청도군 청매로 117-320 대운암

마을에서 대운암으로 가는 길이 시작되고, 이쪽 산봉우리에서 저쪽 산봉우리로 이어진 산길을 가는 동안 멀리 건너편 용각산 8부 능선에 대운암이 아스라이 보인다. 마치 용의 등을 타고 가듯 그 길 끝에 닿으면 대운암은 우리 땅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 가운데 하나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대운암에 서면 멀리 밀양이 바라다 보이고, 청도천과 운문천, 그리고 밀양천이 하나로 합수되는 한내가 바로 앞에서 마치 흰 비단을 두른 듯 흐르는 것을 볼 수가 있다. 그 모습이 주변의 높은 산들과 함께 어우러져 장관이다. 대운암이 자리 잡은 용각산은 청도읍의 북쪽에 위치해 있는데 용각산에 실비가 내려 운무에 덮이는 광경을 용각모우라고 해 청도팔경의 하나이다. 또한 대운암은 정확히 말해서 용각산의 지맥인 오례산 산정(山頂)에 위치해 있는데, 오례산(烏禮山)은『삼국사기』 잡지(雜誌) 제1 제사(祭祀) 조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천자는 천지와 천하의 명산대천에 제사하되 제후는 사직과 자기 영지 내에 있는 명산대천에서만 제사한다.”는 삼산(三山)·오악(五岳)으로 명산대천을 나누어 대·중·소사로 하였는데, 오례산은 임금(天子)이 제를 지내는 대사지(大祀地)라고 한다. 조선 말엽인 1868년(고종 5년) 때 창건된 대운암의 내력은 흥미롭다. 대운암은 1868년(고종 5년)에 부암선사가 범굴에서 좌선 수도하다가 현몽에 의하여 창건했다고 한다. 호랑이가 자주 출현했다는 용각산에 부암선사는 산을 오르내리며 수행을 했고 호랑이가 살았다는 범굴 위에 관음전이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 화재로 소실된 뒤에 경북 경산시 자인면에 위치한 반룡사에서 관세음보살상을 모셔와 다시 봉안했다고 한다. 1995년에 경북 문화재자료 309호로 지정된 이 관세음보살상은 은행나무로 조성된 목불로 아름다운 화관을 쓰고 손동작은 아홉 곳의 극락세계를 보여주는 아미타 구품인을 하고 있다. 그 뒤에는 관음보살의 상징인 천수천안의 모습이 탱화로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