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용상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동 용상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안동 용상시장

안동 용상시장

4.5Km    2025-08-04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62 (용상동)
054-821-8989

용상시장은 안동시 용상동에 위치한 상설시장이다. 각종 신선한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 과채류, 곡물 등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생활용품과 다양한 분식, 간편식 등도 판매하고 있다. 지붕에 아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눈이나 비가 와도 편하게 장을 볼 수 있다. 용상시장은 실용성과 정겨움을 함께 갖춘 안동의 생활시장이다.

석송가든

석송가든

4.5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제비원로 539-23
054-841-7000

단체석과 개별 실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 매운 양념장과 콩나물을 함께 찐 잉어찜이 유명한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잉어찜이다.

교동쌈밥

교동쌈밥

4.5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59-4
054-858-2990

직접 키운 신선한 쌈 채소와 돼지고기를 맛볼 수 있다. 대표메뉴는 쌈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홍기와쭈꾸미

홍기와쭈꾸미

4.6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 450
054-853-8538

매운 한국식 해물 볶음을 판매하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주꾸미 볶음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경광서원

경광서원

4.7Km    2025-06-27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3길 131-24

금계리 동편 사천 위에는 예로부터 ‘유정사’라는 절이 있었으며, 선조 1년(1568)에 사림에 의해 경광서원이 세워졌다. 이후 현종 3년(1662)에는 이름을 ‘경광정사’로 바꾸고, 백죽당 배상지와 용재 이종준 두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인조 27년(1649)에는 ‘춘파이사’를 창건하여 용재 이종준과 경당 장흥효 두 선생을 모셨다. 숙종 12년(1687)에는 서원으로 승격되어 경당 선생의 위패를 경광정사로 옮기고, 백죽당과 용재 두 선생과 함께 제향 하였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873년 단소를 마련하여 향사를 이어왔다. 이후 1978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설 되어, 매년 9월 중정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거북골안동국시

거북골안동국시

4.7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거북골길 21-7
054-843-6799

안동 지역만의 국수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안동국시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킴스하우스인안동(Kim's House in Andong)

4.7Km    2020-03-18

경상북도 안동시 중들1길 15
010-9490-1262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안동역에서 2km, 안동 버스터미널에서 8km 거리에 있는 한옥 숙박 업소이다.

마뜰애

4.7Km    2024-07-31

경상북도 안동시 중들2길 5 (용상동)
010-3548-6336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마뜰)에 위치한 마뜰애는 용이 승천한다는 뜻과 고즈넉한 분위기가 가득 담긴 한옥 독채 공간이다. 내부는 침대방과 온돌방, 주방, 거실, 화장실 2개로 구성되어 있고, 블루투스 LP판, 일리커피포트, 마샬스피커 등 전자제품이 비치되어 있어 편리함을 더한다. 실내 자쿠지에서는 족욕이나 반신욕을 즐기며 여행의 피로를 풀기에도 좋고, 야외 바베큐장에서 바비큐를 하며 맛있는 음식을 즐기기에도 좋다.

세영쌈밥

세영쌈밥

4.9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중평길 8
054-821-8223

푸짐한 양과 든든한 한끼 식사가 일품인 곳이다. 대표메뉴는 칼국수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원주변씨간재종택 및 간재정

4.9Km    2025-03-18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720-30

* 간재 선생의 혼이 묻어있는 곳, 원주변씨 간재종택 *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위치한 간재종택은 16~18세기에 걸쳐 창건 및 중수된 건물로서 원형이 잘 보전되고 있다. 그리고 관련 인물이 고려 충신의 후예이자 임진왜란의 공신이었다는 역사적 측면과 건물들의 독특한 공간 배치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작은 산이 병풍처럼 골짜기를 이룬 자리에 정침 및 별당, 사당, 정자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자연지형에 순응하면서 각각 적합한 곳에 터를 잡았다. 사대부 가의 공간 영역을 갖춘 단독 종택은 동성마을의 유형으로 발전한 한국 종가사에 흔치 않은 곳으로서 조선 선비들의 입지 및 정주관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 가거지로 써 가치가 있으며 현재 이곳에는 30가구 90여 명이 살고 있다. 전통문화 보고,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러지는 안동문화권, 그중에서도 간재종택과 정자는 하회, 내앞마을 등과 함께 또 하나의 작은 문화권을 이루며 양반 유림의 문화를 잘 간직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