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Km 2024-02-14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289
천연애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1동에 위치하고 있다. 세월이 흔적이 느껴지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다. 대표 메뉴는 오리고기와 부추가 어우러진 힐링불고기다. 이 밖에 예약해야만 맛볼 수 있는 능이백숙을 비롯해 들깨수제비, 메밀막국수, 볶음밥 등도 맛볼 수 있다.
18.7Km 2024-07-26
대구광역시 수성구 진밭길 112
개발제한구역 환경·문화사업에 공모·선정되어 조성한 진밭골야영장은 도신에서 접근성이 우수한 도심 야영장으로 약 4,900㎡규모로 2018년에 완공하였고 2019년 봄에 개장하여 사전 예약을 통해 카라반, 오토캠핑장, 데크사이트를 야영 취향에 맞춰 즐길 수 있으며 취사장, 샤워장, 화장실 등 각종 편의시설 또한 갖춰어져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8.7Km 2024-01-31
경상북도 경산시 펜타힐즈2로 65
소금빵(시오빵)으로 유명한 베이커리 가게이다. 소금빵은 버터를 섞은 빵반죽에 다시 버터를 넣고 말아 구워도 없어지지 않는 특제 소금을 뿌려 구워낸 빵이다. 바게트처럼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하고 쫄깃한 빵으로 가장 인기있는 메뉴이다.
18.7Km 2025-07-28
경상북도 경산시 둥지로10길 18-3 (조영동)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동·조영동·압량읍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돌무지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삼국시대 전기 무덤군으로 1982년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했으며 2011년 사적으로 지정됐다. 무덤의 형식은 널무넘(목관묘), 독무덤(옹관묘),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출토유물은 금·은제 각종 치레거리(장신구), 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을 비롯한 철기류와 토기류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출토 유물 상황으로 보아 당시 이 지역 지배자의 무덤으로 볼 수 있다. <삼국사기>에 파사왕 23년 압독국왕이 신라에 항복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압독국은 임당동 무덤들이 있는 압량면 근처로 추정되는데 이 무덤들을 통해 삼국시대 초기 소국의 관계를 볼 수 있다. 임당동 출토 유물과 무덤구조는 경주 초기 무덤의 유물과 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고, 가야문화와도 비슷해 서로 간의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적이다. 경산시 조영동 일대의 낮고 평평한 구릉지대에 약 10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무덤을 덮는 흙부분인 분구는 거의 사라지고 남아 있는 것들을 보면 원형으로 되어있다. 무덤 내부는 항아리에 시신을 넣는 독무덤(옹관묘),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곽묘),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구덩식 돌덧널무덤도 시신을 넣은 널만 있는 구조와 시신 넣는 널과 부장품을 넣는 널을 감싸는 덧널들로 다양하다. 유물은 다양한 토기류, 금동관이나 허리띠,귀걸이 등의 치레거리(장신구), 무기류, 말갖춤(마구류), 흙으로 만든 토제품 등이 출토되었다.
18.7Km 2024-11-07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호국로 605-42
세아휴양림수목원은 1,100여 종의 식물과 250여 점의 조형물이 전시되어 있다. 산책로가 잘 되어 있어 누구나 어렵지 않게 산책을 즐길 수 있다. 4가지 종류의 펜션 10개 동과 카라반 8개 동이 있어 숙박도 가능하다. 여름철 개장하는 수영장 덕분에 한여름 무더위를 날리기에도 그만이다.
18.9Km 2024-12-03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1길 19-22
053-653-5378
김바우삼겹살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에 위치한 돼지고기구이 전문점으로 17년 이상 된 노포 삼겹살집이다. 시내에 위치하여 송현동 주민들이 저녁 회식이나 가족들의 외식 등 각종 모임 장소로 찾는다. 이곳은 컨테이너로 된 외관을 볼 수 있고 내부는 꽤 넓은 편이다. 메뉴는 100% 국내산 생삼겹살을 참나무 장작에 초벌구이하여 제공한다. 식사류는 셀프로 볶아 먹는 볶음밥과 시골된장, 칼칼한 칼국수가 있다.
18.9Km 2025-03-19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277
이강서원은 다사읍 이천리에 소재하며 악재 서사원을 봉안한 서원으로 인조 17년(1639)에 창건하였다. 낙재의 본관은 달성이며 자는 행보, 호가 낙재인데 한강정구에게서 글을 배우고 여헌, 장현광, 정경세 등과 도의의 교분을 가졌다. 처음이 서원은 문창후, 고운, 최지원이 유강하던 이천동 선암 구지에 일실을 이루어 완막당, 동경재, 서의재 등의 명칭을 붙이고 항상 학도들과 더불어 주자의 성리학을 강독했다고 한다. 낙제는 선조 17년(1589) 익위(익위-세자익위사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를 거쳐 호조정랑에 올랐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임진왜란 중에 청안현감에 임명되어 문교를 진흥하고 구봉서원을 세웠다. 이 건물은 정면 4간, 측면 1간의 맞배지붕이다. (출처 : 대구광역시 달성군 문화관광)
18.9Km 2023-08-09
경산은 삼국시대 이전 신라의 지방 소국인 압독국이 있던 역사가 깊은 지역으로 고대 돌무덤이 많이 발견된 지역이다. 그 일대가 예쁜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고 가을풍경을 즐길만하다. 특히 신라의 유적연구가 잘 되어 있는 영남대학 박물관은 볼 것이 많다.
18.9Km 2025-07-18
경상북도 경산시 청운2로 29 (임당동)
경산 임당유적전시관은 경산지역의 고대국가인 압독국과 압독사람들의 삶과 죽음을 담아내어 생생한 고대문화를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압독국의 중심지였던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압량읍 부적리 일대에서 발굴조사된 유적과 유물을 통해 고대 압독사람들의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고대 압독국 시기의 문화유산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 보존하고 당시의 문화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평생학습 기능을 갖추고 있다. 2개의 상설전시실은 유적과 유물을 통해 보는 임당유적실과 359 개체의 사람뼈와 2만 5천여 점의 동식물 자료를 분석한 자연유물실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 기획전시실과 어린이체험실이 있다.
19.0Km 2025-03-24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산25-2
마천산산림욕장은 마천산, 성산 일대 숲길을 걸으며 산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숲 속 쉼터, 체력단련장, 전망대, 숲 해설판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그 외에도 걷다가 마주하는 마천산 산림욕장 야생화 생태원 안내판 뒤쪽으로는 20여 종의 야생화가 있어 자연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 곳곳에 있는 안내판을 읽으며 산책하는 재미가 있다. 인근 지역에 사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관광객들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