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Km 2024-02-13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38
센도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위치한 바닷가재요리 전문점이다. 갤러리를 연상케 하는 모던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공간에서 싱싱한 랍스터를 코스요리로 즐길 수 있다. 아늑한 개별룸에서 식사가 가능하여 각종 기념일 및 행사, 모임에 인기가 있는 식당이다. 센도리의 대표메뉴는 랍스터 오븐구이와 찹쌀수제비 또는 보리굴비를 선택할 수 있는 일반코스요리이다. 이외에도 커플코스, 패밀리코스도 있으며, 점심에만 즐길 수 있는 런치특선도 준비되어 있다. 또한 랍스터를 회를 즐길 수 있는 센토리 회코스도 있다.
3.8Km 2025-03-18
대구광역시 중구 동성로 6-1 (동성로3가)
053-431-1120
대구 동성로에 자리한 미진분식은 40년이 넘게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온 대구 분식계의 터줏대감이다. 메뉴는 김밥, 우동, 쫄면, 비빔우동 네 가지가 전부지만, 네 가지가 모두 인기 메뉴다. ‘미진분식’이 정식으로 간판을 단 것은 78년이지만 장사를 시작한 것은 그 이전부터라니 40여 년이 훌쩍 넘은 역사를 자랑한다. 지금은 본점은 아들이, 2.28 공원 옆 직영점은 막내딸이 대를 이어 영업 중이다. 전 메뉴 포장이 가능해 포장해 가는 손님들도 많다.
3.8Km 2024-07-31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446길 28-8 (대봉동)
010-8919-1484
대구 중구에 위치한 퍼센트게스트하우스는 도심 속에서 옛 한옥의 미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마당은 미니 정원과 돌담으로 옛 정취를 살렸고, 실내는 서까래와 대들보를 원형 느낌 그대로 유지하였다. 객실은 총 4개로, 본채와 별채에 각각 2개씩 있다. 모든 객실은 온돌로 구성되었고 화장실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다. 공용거실 및 주방은 본채에 있다. 인근에 김광성다시그리기길 골목이 있어 밤 풍경을 즐기기에 제격이다.
3.8Km 2025-07-29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93길 6
서문시장 인근에 위치한 54년 된 돈가스 집이다. 유명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되어 줄을 서지 않으면 먹기 힘들 정도이다. 도톰하고 큰 옛날 돈가스가 대표 메뉴이다. 이 식당은 전통방식 그대로 돈가스를 만들어 더욱 인기가 좋다. 고기를 다지는 기계가 있지만 여전히 소주병으로 고기를 다지고, 옥수수 식빵을 채에 쳐서 고운 빵가루를 내린다. 소스도 54년 전 방식으로 만든다. 소스의 기본이 되는 루는 흔히 버터로 볶지만 이 집 소스에는 버터가 들어가지 않는다. 느끼하지 않고 한국 사람들 입에 잘 맞는 이유다. 소스 마지막에는 아버지가 처음 만들었던 씨소스를 넣는다.
3.8Km 2024-12-12
대구광역시 수성구 들안로 8-5
대구 수성구 두산동에 있는 서민갈비는 제주 흑돼지구이 전문점이다. 흑돼지를 사용함에도 저렴한 가격으로 인기가 많다. 이곳의 대표 메뉴인 '김재동갈비(한돈삼겹돼지갈비)'를 비롯해 제주 흑돼지 갈비, 제주 흑돼지 생구이 등의 고기 메뉴와 전복구이, 전복 뚝배기, 막국수, 냉면 등의 사이드 메뉴가 있다. 갈비는 직원이 직접 참숯에 구워 준다. 부드러운 식감의 갈비를 먹은 뒤에는 전복과 된장을 넣고 끓인 '전복 뚝배기'를 밥과 함께 먹으면 든든하다. 인근에 수성못이 있어 식사 후에 산책하며 둘러보기 좋다.
3.8Km 2024-04-08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492
국일생갈비는 대구 서문시장역 인근에 위치한 한우 생갈비 전문점이다. 1975년부터 시작한 이곳은 갈비가 생각날 때마다 찾아준 손님들 덕분에 반백 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식당이 되었다. 대표메뉴는 최상급 부위만 엄선한 한우 특생갈비로, 육질과 식감이 부드럽다. 또, 살아있는 신선한 생갈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한우 생갈비도 인기가 많다. 이외에도 기름기가 없어 담백한 안창살과 국일생갈비만의 특제 비법소스 양념이 더해진 양념갈비, 그리고 점심식사 메뉴, 이곳의 또 다른 시그니처 메뉴인 한우 육개장 등도 판매하고 있다.
3.8Km 2024-11-06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곡로26길 17-39
상인 중·고등학교 인근에 있는 첨모재는 손극룡과 아들인 손경방을 추모하기 위하여 밀양손씨 문중에서 건립한 재실이다. 손경방은 1678년(숙종 4) 무과에 급제하여 절충장군부호군을 지냈다. 면 3칸[방 2칸, 대청 1칸], 측면 2칸의 자연석 기단 위에 원주 기둥을 세운 골기와 팔작지붕 형태 기와집이다. 첨모재 부근에 인재 손경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사효당이 있다. 사효당에서 모시는 손경규는 부친이 병이 들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연명케 하였고, 부친이 사망하자 상례를 다하였다 한다. 이곳은 방 2칸·대청 1칸 구조의 건물이다. 박승동이 남긴 첨모재 건립에 대한 기록에 의하면 밀양손씨 집안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경 현재의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지역에서 현 위치인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으로 이주하였다. 그 후부터 후손들이 이곳에서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첨모재와 사효당은 밀양손씨 문중에서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