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서원(함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청계서원(함안)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청계서원(함안)

청계서원(함안)

10.2Km    2025-03-19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청계1길 116-12

함안군 칠서면 청계 1길 116-12번지에 소재하는 청계서당은 1670년(현종 11년)에 창건한 것으로 전하나, 이후 1918년에 다시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서당의 강당구조 및 창호 등에서 근대한옥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온돌방 앞의 띠살창과 청방간의 분합문은 전통건축에서 볼 수 없던 것으로 개화기 이후 외래 건축문화와 주의식의 변화가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전통건축의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소박한 건축물에서 근대성과 지역성을 잘 반영된 건물이다. (출처 : 함안군 문화관광)

고구려

10.2Km    2024-12-26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1길 27
055-232-6700

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30여 년 축산전문기업 (주)산에들 우리축산에서 직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한우전문점 고구려는 250여 평 규모에 250명을 동시에 행사를 치를 수 있으며 좋은 가격으로 프리미엄 육질의 맛을 볼 수 있는 한우전문점이다. 한우 외에도 인기메뉴인 영양왕갈비탕은 개운하고 깔끔한 국물과 질기지 않고 부드러운 갈비맛 또한 일품이다. 고구려는 최상급 한우는 물론이며, 직접 기른 각종 채소로 고객들에게 제공하며, 쌀, 김치, 모든 채소 들은 국내산만 사용한다. 철저한 한우 이력제를 통해 항상 바른 먹을거리를 제공하고 남은 음식 재사용 안 하기 공개업소로서 당당히 주방을 실시간 공개하여 고객들의 믿음을 주고 있다. 고구려는 무학산 둘레길을 끼고 있어 등산객들의 발걸음을 잡고 있다.

감천계곡

감천계곡

10.3Km    2025-08-04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창원 내서읍에 있은 자연계곡인 감천계곡은 물놀이장으로 유명한 곳이다. 감천계곡은 광려산(722.5m) 자락에서 흘려내려 오는 계곡물이 마을로 흘려내려 오는 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옥수골마을, 신목마을, 신감마을, 감천마을 등 자연부락이 위치하고 있는 풍광 좋은 곳이다. 계곡에 주변에 주차장은 구비되어 있지 않지만 워낙 알려진 물놀이장이라 갓길에 주차가 가능하도록 넓은 갓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안전요원 초소, 화장실, 구명환, 벤치, 손 씻는 곳 등이 구비되어 있다. 하류지역이라 물이 얕고 물살이 느린 편이라 어린아이들에게도 위험하지 않은 곳이며, 하천변에 나무그늘이 많아 휴식을 즐기기에도 좋은 곳이다.

자갈커피

10.3Km    2024-08-05

경상남도 창원시 북성로 (516, 한독상사)

마산 두척동에 있는 자갈커피는 특이한 컨셉으로 인기가 좋은 카페이다. 자갈로 꾸며진 카페 앞 풍경과 곳곳의 돌로 꾸며진 인테리어가 방문객의 눈을 사로잡고 커피와 베이커리들의 화려한 비주얼이 한번 더 눈길을 사로잡는다. 카페 자체 채광이 좋고 테이블간 간격도 넓어서 탁 트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매미궁뎅이

매미궁뎅이

10.4Km    2024-01-16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유성로 12-1

함안 매미궁뎅이는 100% 국산콩으로 매일 아침 직접 만드는 수제 두부가 고소하고 부드럽다. 수제 두부와 고기 위 다진 마늘이 올라가는 마늘보쌈이 이 집 대표 메뉴이다. 쌈 채소, 무생채, 묵은지, 무말랭이, 새우젓 등이 나와 함께 곁들여 먹으면 풍미가 가득하다. 두부 맛집으로 순두부의 종류도 다양하고 보양식으로 좋은 순두부 낙지전골도 있다. 오후 2시 30분까지 2인 이상 마늘보쌈, 청국장, 공깃밥이 나오는 점심 특선도 있어 근처 회사원들이 많이 찾는다. 청국장의 향으로 호불호가 갈리는데 매미궁뎅이에서는 들깨, 해물 등을 넣어서인지 청국장 특유의 냄새가 덜하여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또 비빔국수, 동치미, 고등어구이, 빈대떡 등 여러 종류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무학산

10.7Km    2024-12-09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7길 3

옛 마산시 지역 뒤편을 병풍처럼 막아선 무학산은 산의 형상이 마치 학이 춤추듯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자세와 흡사해 무학산이라 불리며, 과거에는 두척산이라 하였다. 억새투성이인 주봉과 서마지기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길게 주릉을 펼치고 있는 이 산의 서쪽 사면은 광려산과 마주하면서 경사가 급하지만, 동쪽 사면은 산세를 열고 도시를 포용하고 있으며, 등산로가 수십 가닥으로 뻗어 있다. 무학산의 백미는 학의 머리에 해당하는 학봉으로, 그 암봉미와 학봉 주변에 피는 진달래 군락이 어우러져 봄철에는 장관을 연출한다. 진달래밭은 학의 머리에 해당하는 학봉과 양쪽 어깨 부분에 해당하는 능선 일대에 장관을 이루며 이곳의 진달래는 대개 4월 중순부터 산기슭을 물들이기 시작하여 하순이면 절정을 이룬다. 정상에 서면 가장 먼저 남해와 돝섬 유원지, 진해의 장복산이 시야에 들어온다. 붉은색 진달래와 대비되어 펼쳐지는 푸른 남해의 정취는 감탄사가 절로 나올 정도로 아름답다.

케빈의 정원

케빈의 정원

10.7Km    2024-07-02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쌀재길 689

마산에 있는 케빈의 정원은 정원이 잘 꾸며져 있는 카페다. 잘 가꾸어진 넓은 정원이 있어 여유를 즐기며 차 한잔 마시기에 좋은 공간이다. 넓은 정원이 관리가 잘 되어 있다. 어린이들 놀기도 좋고 야외 자리는 어른들도 힐링하기 좋다. 건물은 정원 가운데 둘러싸여 있고 분재형 고목과 독들이 한데 어울려 박물관 느낌이 난다. 카페 안 분위기는 전통미가 물씬 난다. 골동품과 소품 등 인테리어에 정성이 깃들어 있다. 카페는 2층에 있는데 이곳에서 야외를 바라보며, 차를 마시는 것도 운치가 있다. 넓은 전용 주차장이 있어 편리하다. 감천계곡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두곡서원(창원)

두곡서원(창원)

10.8Km    2025-04-14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곡길 54 (두척동)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에 위치한 두곡서원은 현종 12년(1864)에 창건하였고 고종 4년(1867에) 옮겨 세웠으며 통일신라시대 학자 최치원 선생을 배향하는 곳이다. 최치원 선생은 9세기 통일신라의 학자로 중국 당나라에서 토황소격문으로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으며 신라로 돌아온 뒤에는 진성여왕에게 시무책을 올려 정치 개혁을 추진하였다. 유교·불교·도교에 모두 이해가 깊었고, 유·불·선 통합 사상을 제시하였으며 수많은 시문을 남겨 한문학의 발달에도 기여하였다.

무산사

무산사

10.9Km    2024-06-13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무릉길 75

칠서면 무릉리에 있는 무산사는 조선시대의 유명한 유학자인 주세붕(1495~1544) 선생의 영정과 유품을 모신 곳이다. 선생은 중종 38년(1543)에 백운동 서원을 세워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으며, 이를 기리기 위하여 숙종 24년(1698)에 선생의 후손이 세웠다. 고종(1863~1907) 때 흥선대원군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유림들이 다시 세웠으나, 6.25전쟁으로 불탔다. 현재의 무산서당은 그 후에 세운 것이다. 무산사 내에 있는 무산서당은 앞면 5칸, 옆면 2칸의 1층 건물이며,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중앙 2칸의 대청을 사이에 두고 양옆에 각각 2칸과 1칸의 방을 꾸며 전형적인 서당의 공간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광풍각에는 주세붕 선생의 영정이 모셔져 있고, 장판각에는 『무릉잡고』·『수구집』·『귀봉집』책판 352매가 보관되어 있으며, 1976년 4월 15일 유형문화재 제143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다.

함안무기연당

10.9Km    2025-03-05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1길 33

무기연당은 주재성의 생가에 있는 조선 후기의 연못이다. 주재성은 조선 영조 4년(1728) 이인좌의 난 때 의병을 일으켜 관군과 함께 난을 진압한 인물이다. 관군들은 돌아가는 길에 그의 덕을 칭송하여 마을 입구에 ‘창의 사적비(倡義事蹟碑)’를 세우고 서당 앞 넓은 마당에 연못을 만들었다. 연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고 산의 모양을 본떠 놓았다. 이후 주재성은 연못의 이름을 ‘국담(菊潭)’이라 하고 호를 삼았으며, 연못가의 서당에서 학문에 전념하며 유유자적하였다. 연못의 서북쪽에는 오래된 정침한 채가 남아 있으나, 많은 부분을 고쳐서 그 가치를 잃고 말았다. 연못가에는 후대에 풍욕루(風浴樓)와하환정(何換亭)을 지었고, 최근에 충효사(忠孝祠)를 지었다. 연못 주위에는 담장을 쌓고 일각문을 내어 영귀문(詠歸門)이라 하였다. 비교적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연못으로, 정원문화(庭園文化) 연구에 좋은 자료이기도 한 이곳은 1984년 12월 24일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