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Km 2025-03-17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597
향교는 조선조에 사문진작의 관학으로서 사학인 서원과 더불어 인재 양성의 산실로 지방 교육 문화의 거점이었다. 즉 서원이 지금의 사립학교라면 향교는 공립학교인 셈이다. 칠곡향교는 대구 신도시 칠곡지구 도심 가운데 자리하고 있으며 향교 정문 옆에는 하마비가 세워져 있다. 조선 태조 7년(1398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나 고증할 수 있는 문헌이 남아있지 않고 현 위치에는 조선 인조 임오년(1642년)에 창건된 것으로 기록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전학후묘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외삼문을 지나면 명륜당이 자리하고 뒤편으로 대성전, 동무, 서무가 위치하고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들에게 제사 지내는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도 봄, 가을 석전대제를 올리고 있으며 대성전에서 볼 수 있는 오래된 은행나무는 이곳이 대성전 공간임을 알려주듯이 오랜 세월을 지키고 있어 가을이면 노란 단풍과 함께 향교를 빛나게 하고 있다. 2013년 전통문화체험관인 양현당을 건립하여 기로연, 전통혼례를 비롯한 전통행사와 지역 청소년들과 지역민을 대상으로 서예교실, 충효교실 등의 교양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13.9Km 2024-11-01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23길 30 (황상동)
경상북도 구미시 황상동에 위치한 현암서원은 조선 중종 때 유학자인 죽정 장잠을 배향하는 서원이다. 정암 조광조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고, 1531년(중종 26)에 진사가 되었으며 도덕과 학문이 뛰어나 존경받았다. 현암서원은 1692년(숙종 18) 9월에 현암사우 2칸을 건립하고 위패를 봉안하였다. 그 후 1761년(영조 37)에 정당 4칸, 동서재 각 3칸, 정문 3칸 등을 건립하여 현암서원이라 하였다. 1692년(숙종 18) 9월에 인동 증봉산에 사우를 창건하였고, 1698년(숙종 24) 8월에 화동으로 이건 하였으며, 1739년(영조 15) 3월에 이현암의 동쪽으로 다시 이건하여 1761년(영조 37)에 사림의 공의에 따라 현암서원으로 승제되었다. 1871년(고종 8)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어 그 유지만 남아 있었다가 1993년 5월에 숭도사와 강당 5칸, 정문 3칸을 그 유지에 복원하였다.
14.0Km 2024-12-12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109길 142-13
053-582-2559
대구 문양역 근처의 교외에 있는 메기 요리 전문점이다. 매운탕과 메기찜이 가장 인기이다. 요리 재료로는 논에서 자란 국내산 메기와 인근 밭에서 재배한 쑥갓, 부추 등의 야채를 사용한다. 매운탕 이외에도 직접 재배한 채소와 직접 만든 양념과 어우른 메기 불고기와 찜 등도 맛볼 수 있다.
14.0Km 2025-09-09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북로7길 8
엄마밥상 세천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에 있다. 세련된 느낌의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어린이를 위한 놀이방이 있고 그 옆에는 놀이방에 있는 어린이를 관찰하며 식사할 수 있는 룸이 있어서 가족들이 식사하기에 좋다. 단체석도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곤드레밥상, 소갈비찜, 흑태찜 등 다양한 메뉴와 함께 정갈한 반찬이 준비되어 있다. 북다사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마천산산림욕장, 대한불교조계종 불은사가 있다.
14.0Km 2025-06-23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고산1길 27-3
성주 백세각은 조선 전기 사헌부 집의 등을 지냈던 송희규(1494~1558)가 1551년(명종 6)에 짓기 시작하여 다음 해에 완공한 건물이다. “비가 오는 날 자정에는 말발굽 소리가 요란스럽게 들려오기 때문에 종손이 아니면 무서워서 잠을 못 잔다”라는 전설이 전해진다. 건물은 백세각과 사당, 관리사, 화장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백세각의 평면은 ㅁ자 모양이며, 쇠못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구멍을 뚫어 싸리로 엮은 것과 대패를 쓰지 않고 손도끼(자귀)로만 다듬어 만든 것이 특징이다. 백세각은 독립운동과도 관련이 깊은 국가보훈처 현충 시설로서, 경북 유림단 파리장서 사건의 의논 장소로 사용되었다. 또한 유학자인 공산 송준필은 이곳에서 유림의 궐기를 독려하는 통고국내문을 작성하고, 제자들과 함께 1919년 4월 2일 성주 장날 만세 시위에 나누어 줄 태극기를 제작했다고 한다.
14.0Km 2025-03-24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부곡2길 7-9
053-583-0174
손중헌원조논메기매운탕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에 위치한 유명한 매운탕 전문 음식점이다. 이곳은 신선한 논메기를 사용한 매운탕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깊고 진한 국물 맛이 특징이다. 손중헌원조논메기매운탕은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곳으로, 특제 양념과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여 매운탕의 풍미를 극대화한다. 또한, 매운탕 외에도 다양한 한정식과 반찬이 함께 제공되어 더욱 풍성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식사 공간은 아늑하고 깔끔하여, 가족 단위 방문객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기기 좋은 장소이다.
14.1Km 2025-04-14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로 47
1999년 북구문화예술회관으로 시작한 어울아트센터는 북구의 발전 역사와 함께 해온 문화의 시작점이다. 리듬의 음율처럼 다채로운 높낮이를 가진 아트센터에는 425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과 60평의 전시장이 있다. 지난 2015년 생활문화센터를 개소하면서 작은 공연장과 야외공연장, 작은 전시장도 새롭게 마련되었다. 아트센터를 둘러싼 다양한 꽃과 나무들은 사계절마다 다른 모습으로 맞이하며, 사이사이 전시된 조각 작품과 어우러져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조각공원이 된다. 이처럼 여러분의 어울아트센터는 전문적인 공연, 전시를 비롯해 생활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작지만 강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지역의 문화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출처: 행복북구문화재단 어울아트센터)
14.1Km 2025-08-08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로 47 (관음동)
북구문화원은 1999년 설립되었으며 대구 북구의 지역문화행사와 사회문화활동, 향토문화발굴 및 조사연구, 청소년 문화의식 고취, 지역문화 교류사업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민들이 원하는 문화예술행사를 기획하고 지역민들이 자주 접하지 못하는 교육, 체험, 공연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미술교육형 전시, 전통문화체험, 전통주만들기체험, 명사초청강연 등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이 있다. 대표적인 행사로는 금호강 정월대보름축제, 대보름 전통공연, 역사문화탐방, 고택탐방 등이 있으며 문화 아카데미는 각종 낭독극, 백세시대 민간요법, 문화특강 등이 있다.
14.1Km 2025-08-01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중앙대로 526 (읍내동)
대구 칠곡시장은 칠곡 오일장에 뿌리를 둔다. 이후 현대화 사업을 거쳐 2014년 3월 재개장한 구립 공설시장이다. 시장 내에는 분식점과 반찬, 채소, 과일, 건어물, 수산물 등을 취급하는 상점이 자리하였다. 시장에는 자동차 48대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 고객 쉼터, 어린이 놀이터 등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14.2Km 2025-03-17
대구광역시 북구 동호길 96
서리지 수변생태공원은 도심 친수공간이자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힐링장소이다. 특색 있는 식물을 식재한 암석원, 가드닝 체험장, 어린이들이 놀 수 있는 놀이터, 팔각정자 등이 조성되었고, 녹지공간에는 소나무 등 수목 52종 3만 5천 그루와 수변공간에 어울리는 물억새 등 초화류 31종 11만 포기를 식재해 경관이 훌륭하다. 2km의 서리지 둘레길을 한 바퀴 돌아보면 생명력 가득한 생 태안에서 하는 걷기 운동은 효과가 배가 될 것이다. (출처 : 대구북구청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