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비언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엠비언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엠비언트

엠비언트

10.4Km    2024-02-20

경상북도 칠곡군 유학로 785-1

엠비언트는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에 있다. 현대적인 느낌의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일곱 가지 크로플이다. 커피, 그린티라테, 흑임자라테, 초코라테, 알밤라테, 미숫가루, 상하목장 아이스크림 등도 판다. 기계가 핸드드립을 해서 늘 일정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야외에 포토존이 있고, 주차장이 넓어 주차 걱정이 없다. 다부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국립칠곡숲체원, 다부동전적기념관, 팔공산금화자연휴양림이 있다.

도봉사

도봉사

10.8Km    2024-11-07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유학로 785-66

비구니들만 거주하는 사찰로, 경상북도 칠곡 유학산 쉰질바위 아래에 자리해 있다. 쉰 질 바위는 절벽의 높이가 어른 키의 50배 정도 된다고 하여 붙은 이름으로 웅장한 절벽과 소박한 절집이 그림처럼 어우러진다. 쉰질바위는 산악인들의 암벽등반 훈련장으로도 유명하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신라시대 고찰인 천수사가 있던 자리에 건립됐으며, 비구니 사찰답게 정갈하고 아기자기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곳곳에 천진한 표정의 동자승 조각품이 평화로운 분위기를 더한다. 유학산 정상의 팔각정에서 다부동 전적기념관으로 이어지는 6.25 전쟁 격전지 순례 코스에 속해 있으며, 도봉산 진입로에서 15분 정도 걸어 올라가거나 사찰 입구까지 자동차로도 이동도 가능하다. 도봉사 앞마당에서 바라보는 탁 트인 전망도 아름답다.

스시소담

스시소담

10.8Km    2024-12-24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14

스시소담은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 있는 초밥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평일과 주말 오전 11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주문할 수 있는 런치 세트다. 여러 가지 초밥과 샐러드, 장국, 우동 등이 함께 나온다. 식사를 마친 후에는 후식도 맛볼 수 있다. 이 밖에 모듬초밥, 소담초밥, 생연어초밥, 활광어초밥 등이 있다. 재료가 신선하고 맛이 좋아 웨이팅이 있는 곳이지만 포장 메뉴가 따로 준비돼 있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내부 인테리어가 깔끔하고 상차림이 세련돼 가족 식사나 회식은 물론 데이트 식사로도 추천할만하다. 구미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금오랜드, 금오산도립공원이 있다.

박정희 대통령 생가

박정희 대통령 생가

10.8Km    2025-05-07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07

1963년 제5대부터 제9대에 이르기까지 5대에 걸쳐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로 753.7㎡(228평)의 대지에 생가, 안채, 분향소, 관리사 등 4동의 건물이 있다. 박 전대통령 생가는 1900년 경에 지은 15평 규모의 초가집으로 전형적인 농촌 가옥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은 이 집에서 1917년에 태어나 1937년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20년을 살았다. 1964년 구미시가 안채 및 사랑채를 현재의 모습으로 개축하여 주거 및 사무실로 사용하고 있으며, 1979년 박대통령 서거 직후부터 응접실을 분향소로 이용하고 있다. 1993년 2월 25일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유족과 구미시에서 공동 관리하고 있으며 이 일대 대지 228평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고시되었다. 생가 옆에는 박대통령의 업적을 재조명하고 유품을 영구 보존하며, 역사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념관인 민족중흥관이 있다. 민족중흥관 전시실에는 박대통령 재임시 사용했던 각종 유품 50여 점 및 주요업적을 기록한 사진전시, 대통령의 모습과 주요 기록의 디지털영상물, 그리고 그래픽화한 대통령 휘호와 어록, 시민들의 얼굴로 대통령 상반신을 이미지화한 포토월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최초 천체투영 돔상영관은 박대통령의 생전 활동내용이 담긴 영상물을 상영한다.

경북 남부권을 여행하다

경북 남부권을 여행하다

10.8Km    2023-08-08

경북 구미지역은 산새가 아름다운 곳이다. 금오산도립공원은 소백산맥의 지맥에 솟은 산자락에 위치해 깊고도 깊다. 이곳의 도리사는 복숭아꽃이 아름다워 그리 명명되었다 한다. 깊은 첩첩 산중을 여행하며 고찰을 찾는 것은 가장 힐링하기 좋은 여행일거다. 깊은 산중의 오염되지 않은 청정함을 마음껏 들이 마셔보자.

영암산(성주)

영암산(성주)

10.9Km    2025-03-19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용봉리

성주와 김천, 칠곡 3개 시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신령스러운 바위산이라 불리던 명산이다. 영암산의 주봉은 크게 북봉과 남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봉이 성주군에 위치하고 있다. 북봉은 나무가 많은 흙으로 된 봉우리로 별다른 특색이 없는 반면 남쪽 봉우리는 사방이 바위절벽으로 된 바위 봉우리로 경관과 조망이 좋다. 방울이라는 뜻의 령(鈴) 자로 되어 있는 영암산은 방울이나 종과 관련 있다는 전설 또는 방울이나 종모양의 바위가 있다고 하여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나 영암산을 성주 쪽에서 보면 방울모양으로 보여 ‘방울바위산’이라 칭하고 있다. 영암산은 성주의 명산 중 등산코스가 가장 짧은 코스로 알려져 있으며, 산행에 필요한 시간은 2시간이다. 주변 선석산과 함께 묶어 산행하는 것이 좋으며, 주변 세종대왕자태실이나 선석사를 돌아볼 수 있다.

동락공원

동락공원

10.9Km    2025-07-23

경상북도 구미시 3공단1로 191

낙동강을 따라 구미대교 아래 임수동에서 칠곡군 석적읍 중리까지 이르는 수변형 도시공원이다. 1998년 7월 8일 개관하였으며 338.201㎡(102,305평) 면적으로 산책로와 잔디밭, 각종 체육시설 및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주요시설로는 민속정원과 국궁장, 롤러스케이트장, 야구장, 축구장, 농구장, 배구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어린이 놀이시설, 바닥분수, 반려동물놀이터, 무료자전거대여소 등이 있다. 또한 이 공원에는 첨단 전자산업도시 구미의 기술을 결합한 세계 최초의 전자신종이 설치되어 있다. 성덕대왕신종(에밀레종)의 종소리 원음 그대로를 전자음향에 의해 재현했다.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

11.0Km    2025-07-08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23 (상모동)

구미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인 금오산을 비롯하여 낙동강이 도심 중앙을 흐르는 아름다운 도시로, 박정희대통령 생가와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산업단지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 9월 28일 개관한 박정희대통령역사자료관은 대통령의 유품과 구미공단 조성 당시 관련 자료 등을 수집·보관·관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근대화와 구미 산업발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전시한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162석의 세미나실, 자료검색을 위한 아카이브실로 구성되어 있다. 어르신들에게는 몸소 겪었던 시대의 향수를 느끼게 하고 미래세대에는 대한민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을 배울 수 있다. 역사자료관 주변은 박정희대통령 생가, 민족중흥관, 박대통령 동상, 새마을운동테마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영명사(칠곡)

영명사(칠곡)

11.0Km    2024-11-12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금오동천로 84

영명사는 금오산 아래에 자리한 사찰이다. 1926년에 창건한 영명사는 본래 인근에서 작은 주막거리를 하면서 배고프고 아픈 이들을 돕고 살던 신심 깊은 어느 불자가 아들이 없음이 안타까워 부처님께 귀의하는 의미로 사찰을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 불자는 결국 아들을 얻지 못했지만 현재 영명사는 득남기도처로 유명하다고 한다. 영명사는 법당, 요사채, 목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웅전은 인법당 형태의 전각으로 내부에는 최근 조성한 청동아미타삼존불상이 봉안되어 있다. 창건 당시 모셨던 삼존불상은 손상이 많아 경기도 여주의 목아박물관으로 이전했다. 이 밖에도 극락회상 후불탱화를 비롯하여 지장탱, 칠성탱, 신중탱, 산신탱이 봉안되어 있다.

새마을운동테마공원

새마을운동테마공원

11.2Km    2025-03-11

경상북도 구미시 박정희로 155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은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와 함께한 새마을운동의 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건립된 복합문화공간이다. 247,000㎡ 부지에 조성되어 있으며 태동관은 1960년대를 전후로 겪은 보릿고개의 굶주림과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변화된 모습을 생생하게 전시하고 있다. 역사관은 1980년대 이후 새마을 운동의 성장기를 그리고 세계화관은 도움받는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로 성장한 우리나라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체험시설을 통해 새마을 운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것도 의미 있다. 2021년 근현대사와 함께한 새마을 운동의 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건립된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마을운동 전시관을 비롯한 실내어린이놀이터, 북카페, 황토찜질방 등 다양한 복합 문화시설이 위치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