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꿀맥 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칠곡 꿀맥 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칠곡 꿀맥 페스티벌

칠곡 꿀맥 페스티벌

15.2Km    2025-06-02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054-979-3215

칠곡 평화분수에서 열리는 칠곡 꿀맥 페스티벌은, 칠곡의 노란 벌꿀과 시원한 맥주가 어우러진 '칠곡 꿀맥'을 중심으로 다채로운 즐길거리를 선사한다. 오직 칠곡에서만 맛볼 수 있는 달콤한 벌꿀맥주는 물론, 맥주와 곁들이기 좋은 독일식 분도 소시지 등 다채로운 먹거리가 있고, 맥주를 테마로 한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까지 더해져 가족, 연인, 친구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풍성한 축제가 펼쳐진다.

엠비언트

엠비언트

15.3Km    2024-02-20

경상북도 칠곡군 유학로 785-1

엠비언트는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리에 있다. 현대적인 느낌의 외관과 차분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일곱 가지 크로플이다. 커피, 그린티라테, 흑임자라테, 초코라테, 알밤라테, 미숫가루, 상하목장 아이스크림 등도 판다. 기계가 핸드드립을 해서 늘 일정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야외에 포토존이 있고, 주차장이 넓어 주차 걱정이 없다. 다부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국립칠곡숲체원, 다부동전적기념관, 팔공산금화자연휴양림이 있다.

국조전(칠곡)

15.3Km    2024-12-06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로15길 20

국조전은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는 단군을 모시는 성전이다. 단군의 건국이념을 구현하고 민족정기를 고취시키기 위해 건립한 단군전으로, 단군의 위패와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이곳에서는 음력 3월 15일 춘향제, 10월 3일 개천절에 개천숭봉대제를 올린다. 단군왕검은 기원전 2333년 단군조선을 건국한 개국신이다. 단군에 대한 숭배 사상은 고려에 이르러 민족공동의 시조로 구체화하고 조선시대에는 더욱 대중화하여 세종 때부터 국조로 받들었다. 묘향산, 구월산, 평양, 강화도 등의 단군 사우와 단을 비롯해 전국 각지에 위패와 영정을 모신 곳이 있어 국왕이 친히 제례를 올렸다. 8.15 해방 후 10월 3일의 개천절은 국경일로 제정되고, 1961년까지는 단군기원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입구에서 오르면 외삼문인 홍익문이 나온다. 홍익문을 통과하면 맞배지붕 건물인 광리당이 있다. 이곳은 제사로 사용된다. 광리당 오른쪽에 있는 계단에 오르면 내삼문인 개천문을 통과하게 된다. 개천문 안쪽에 있는 건물이 단군의 위패를 모신 국조전으로, 국조전 내부를 보기 위해서는 관리를 맡고 있는 단민회에 미리 연락을 해야 한다.

만리궁

만리궁

15.3Km    2024-07-01

경상북도 칠곡군 석전로12길 7

만리궁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에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정겨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짜장면이다. 이 밖에 짜장밥, 짬뽕, 짬뽕밥, 삼선짬뽕, 야끼우동, 야끼밥 등이 준비되어 있다. 요리 종류는 판매하지 않고 면 종류와 밥 종류만 판다. 왜관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칠곡호국평화기념관과 송정자연휴양림이 있다.

한미식당

15.4Km    2025-01-03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전로 159

한미식당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미군부대 앞에 1980년부터 영업하고 있는 전통 경양식집이다. SBS 예능 프로그램 백종원의 3대 천왕에 출연한 바 있다. 음식점의 상호는 일반적인 식당 느낌이지만 햄버거와 치즈 시내소 같은 대중적인 메뉴부터 호텔 경양식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함박스테이크나 코던 블루 같은 메인 요리도 취급한다. 신선하고 올바른 식자재로 한결같은 맛을 내는 것이 이 식당의 자랑이고 장점이다.

문곡서원

문곡서원

15.6Km    2025-07-10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2길 13

문곡서원은 고려 때의 충신 산화 이견간을 주벽으로 하여 이대와 이군상을 봉향한 서원이다. 1750년(영조 26)에 사림이 건의하여 문곡사로 건립하였고,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문곡서당으로 이어 오다가 1983년에 후손들이 문곡서원으로 복원하였다. 본당과 동재인 근독재, 서재인 존성재, 대문간이 열린 口자형을 취하고 있다. 본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중앙 대청 2칸을 중심으로 양측에 1칸 반의 온돌방을 둔 중당 협실형이다. 본당의 좌측 후면의 별도 곽내에 사당인 현덕사가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다포 맞배집 구조이다. 문곡서원의 왼쪽 뒷마당에는 산화 이견간의 신도비가 있다. 이견간은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두견시를 잘 지어 산화 선생이라고 불릴 만큼 문장이 뛰어났으며, 또 유학의 도를 좇아 학문을 익히고 바른 성품을 지녔다고 알려져 있다.

왜관시장

왜관시장

15.6Km    2024-12-02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시장2길 9

왜관시장은 조선시대에 왜관이 있던 칠곡군 왜관읍에 개설되어 있는 전통시장이다. 왜관시장은 칠곡 지역의 중심 시장으로 저녁이면 루체비스타가 아름답게 빛나는 시장이다. 농수산물을 비롯해 잡화와 반찬 등 다양한 물건들이 판매된다. 칠곡 지역은 호국의 고장이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예부터 전쟁이 많던 지역이었다. 지역의 중심에 낙동강이 흐르고, 영남대로에 속한 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에 극성을 부렸던 왜구들이 합법적인 무역을 통해 교류할 수 있도록 왜관이 설치되었다. 칠곡 지역은 시장이 일찍부터 개설되어 조선시대에는 5곳, 일제강점기 후반에는 7곳에 시장이 있었다. 20세기에 들어서도 1905년에 경부선, 1970년에 경부고속도로, 2006년에 중앙고속도로가 지나면서 시장이 활성화되었다. 왜관시장은 1981년 칠곡읍이 새롭게 탄생한 대구시에 편입되면서 칠곡군의 중심지로 부상, 중심 상권으로 발돋움했다. 왜관시장은 1976년에 상설시장이 되어 정기시장과 함께 열렸고, 2000년대에는 시설 현대화를 통해 시장을 정비했다. 시장의 상징이 된 루체비스타를 설치해 불을 밝혔지만 주변에 대형마트가 들어서고 인근의 구미와 대구라는 거대 상권에 잠식되면서 장세가 약화된 상태이다.

학수고대협동조합

15.7Km    2025-07-23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상6길 35

‘학수고대 런케이션’은 학상리의 전통과 정서, 그리고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어 기획하고 운영하는 인문·치유형 체류 프로그램이다. 숨, 쉼, 차에 삶을 더하는 스토리가 있는 농촌관광으로 치유 명상을 기반으로 학춤체험, 계절밥상 제험 등 다양한 체험과 즐길 거리가 준비되어 있다. 이곳에서의 머무름은 여행이 아니라, 하나의 ‘삶의 연습’이다. <체험 안내> - 야생차 처방전 : 1시간 동안 내 몸과 마음을 들여다보는 체험형 프로그램이다. 나의 현재의 몸과 마음의 상태를 체크하고, 나에게 맞는 야생 꽃차를 직접 블랜딩해 마신다. - 마음카드: 오늘의 나를 돌아보는 셀프체크 카드 - 야생꽃차: 5종(국화, 생강꽃차, 목련, 녹차, 홍차) - 다식: 쌀쿠키& 계절 디저트 - 오늘의 처방 노트 인당 25,000원 - 숙박 : 방2+거실+주방+화장실2 /단독운영/단체가능

도리사(구미)

도리사(구미)

15.7Km    2025-07-30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도리사로 526

도리사는 신라 제19대 눌지왕(417년) 때 고구려의 승려 아도화상이 불교가 없었던 신라에 포교를 위해 처음 세운 해동불교의 발상지이자 신라 최초의 가람으로 알려져 있다. 아도화상이 수행처를 찾기위해 다니던 중 겨울인데도 이 곳에 복숭아 꽃과 오얏꽃이 활짝 핀 모습을 보고 좋은 터임을 알고 이 곳에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짓고 이름을 복숭아와 오얏에서 이름을 따 도리사라 하였다. 신라불교 초전법륜지로 불교의 성지인 이곳에서 아도화상이 신라에 불교를 전하러 올 때에 모셔온 세존 진신사리가 1976년 세존 사리탑 보수 공사 중 금동육각사리함에 봉안되어 발견되었다.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는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며, 국보 제208호로 지정되어 현재 직지사 성보박물관에 위탁 소장되어 있다. 신라가 불교를 공인한 것이 514년(법흥왕 14)으로 이보다 보다 70여년이나 앞서 창건 된 도리사는 그 역사만큼이나 유형문화재로 보물인 화엄석탑이 있고, 아도화상 동상(2002년 새로 건립조성), 세존사리탑, 아도화상 사적비, 조선후기 탱화가 있으며 지정된 불교의 교리와 불교 문화 전파를 위한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

완정고택

완정고택

15.9Km    2025-03-06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1길 47

이 가옥은 벽진 이씨의 집성촌인 홈실 명곡(椧谷)마을 뒤쪽 야산을 배후 하여, 정방형에 가까운 토담 속에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옥으로 완석정(浣石亭) 이언영(李彦英, 1568~1639)의 종택이다. 종택은 이언영의 7 세손인 이존영(李存永, 1787~1849)이 건립하였다. 이언영은 선조 36년(1603)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광해군 5년(1613)에 정온(鄭蘊)이 영창대군의 원통한 죽음을 항의하다 역적으로 몰리자 이를 변호하다가 관직에서 물러났다. 인조반정으로 다시 관직에 나아가 승지를 거쳐 청주, 선산, 밀양부사를 역임했고 저서로 「완정집(浣亭集)」이 있다. 가옥은 사랑채, 안채, 대문간채, 사당, 내·외삼문 등 6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랑채는 처음 건축 시에는 초가 6칸이었던 것을 1947년에 종손 이영기가 철거하여 현재와 같이 고쳐 짓고, 이 건물과 맞잇대어 대문간채 3칸을 건립하였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5칸 반 규모로 중앙부에는 정면 3칸 대청마루가 있고, 좌우에는 직교(直交)한 익사(翼舍)가 한단 낮게 전후로 돌출하여 H자형에 가까운 배치를 하고 있다. 사당은 1984년에 기존건물이 노후하여 신축하였고 원래의 사당건물은 현재의 내삼문으로 개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