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Km 2025-08-14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16길 10 (중앙로2가)
제천 소품샵 눈바래다는 충북 제천 시내 중앙동에 위치하고 있다. 넓고 쾌적한 공간에 다양한 상품 등을 판매하고 있어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이루고 있다. 현지인과 여행객들의 필수 방문 코스인 제천중앙시장, 내토전통시장, 동문전통시장과 인접해 있으며, 타 지역 방문객을 위한 마그넷 등 제천 기념품을 판매하고 있다. 제천 고속 터미널에서 도보 5분~10분 거리로 접근성이 용이하며, 매장 앞 주차가 가능하여 간편한 방문이 가능하다.
13.8Km 2025-07-18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고문골길 270
보문사는 신라 경순왕때 무착(無着)이 창건하였으며, 이후의 연혁이 전하지 않아 절의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다. 보문암창기(普門庵創記)에 따르면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가 중창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 중창하면서 관세음보살을 모시고 신행결사도량으로 삼아 절 이름을 보문련사(普門蓮社)라고 불렀으며, 국형사(아랫고문절)의 위쪽이 되므로 ‘웃고문절’이라고도 한다. 1930년에 강상준이 중건하고, 1971년 주지인 이백련화(李白蓮華)가 중창하여 오늘에 이른다. 주요 건물로는 대웅전과 약사전·산신각·용왕각·요사채 등이 있다.
13.8Km 2025-04-04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2길 14-1 (명동)
제천 엽연초 수납취급소는 우리나라 근대기 엽연초산업의 대표적인 시설물이다. 수납장과 저장 창고를 헐고 일식 단층 목구조 형식으로 지은 건물이다. 형태는 ‘ㄱ’자 평면형태이다. 엽연초 수납 작업을 할 있도록 하치장, 배열장, 경작자 대기실, 계산실, 감정실, 현품 대조실, 갱장장 순으로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당시 엽연초 생산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감정실에는 엽연초를 감정하기 위한 원형 레일과 갱장장 바닥에 물을 담아놓는 습도조절장치 등 당시의 시설이 잘 보관되어 있다. 현재 엽연초 수납취급소는 ‘엽연초 살롱’이라는 이름의 복합문화공간로 탈바꿈하였다. 엽연초 수납취급소의 갱장장(수납장) 공간을 2024년 제천국제음악영화제 20주년을 맞아 새롭게 리모델링했다. 이 건물은 목재트러스를 사용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인상을 주며, 지붕 골조를 그대로 노출하여 의장적으로는 보다 풍요로운 공간감을 제공한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는 이러한 역사적 가치가 있는 공간을 전시, 공연, 영화상영, 교육 프로그램, 지역협력사업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연중 상시 운영한다. 대표적으로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기간 JIMFF OST페어를 운영하였다.
13.8Km 2023-08-10
원주시는 치악산 국립공원을 비롯하여 도도한 섬강의 위용과 국난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찬란한 문화유적 등을 고루 지닌 유서 깊은 고장이다. 이러한 유서 깊은 유적지를 하루 만에 만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치악산의 보문사를 거치는 사찰 여행을 한 후 석경사 운곡 원천석선생묘역과 이은찬공 추모비, 충렬비 등 유적지를 지나면서 원주 문화 탐방 당일 여행을 마감한다.
13.8Km 2025-03-24
충청북도 제천시 탑안로8길 24
제천시내에 있는 모전석탑이다. 돌을 벽돌처럼 잘라서 7층으로 쌓은 형태이다. 1층 탑신에는 화강석을 끼워 넣었으며 벽돌탑의 형태지만 석탑의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기단은 여러 개의 자연석으로 짜서 탑신부를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점판암을 벽돌과 같이 잘게 끊어서 꼭대기까지 쌓아 올렸다. 1층탑신에는 남북면에 내부로 통하는 감실을 내어 놓았는데 여기에 문틀과 두 짝의 돌문을 달았다. 감실의 네 귀에 세운 귀기둥을 화강석을 끼워 맞춘 것으로 다른 모전석탑에서 볼 수 없는 특이한 방식이다. 모전석탑과 석탑의 양식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는 특이한 형태의 탑이다. 근처에 가볼 만한 곳으로는 제천향교와 제천시민회관 제천엽연초조합 사옥 등이 있다.
13.8Km 2021-03-11
충청북도 제천시 의림대로11길 14
043-645-1122
제천에서 맛있는 삼겹살을 먹을 수 있는 곳이다.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삼겹살이다.
13.8Km 2025-04-03
충청북도 제천시 탑안로8길 24
장락사의 우측 넓은 벌판은 옛날 통일신라시대 선덕여왕이 세웠다는 창락사가 있었던 곳으로, 이곳을 지나 태백선 철도를 건너면 높이 9.1m의 칠층 모전석탑과 만나게 된다. 이곳에 장락리 옛 절터가 한창 발굴 중에 있으며, 칠층 모전석탑 뒤로 장락사가 있다. 현재 장락사가 자리한 곳은 옛 문헌에 보이는 정거랭이 벌판으로 정거랭이 사방오리가 옛날 창락사(昌樂寺)가 있었던 절터라고 하니 이곳에 큰 사찰이 자리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 또 장락동 칠층 모전석탑과 그 주변에서 금동 불상, 금동 편, 그리고 백자 편이 발견되어 그 심증을 확인해 주고 있다. 하지만 모전석탑이 세워졌던 절이나 모전석탑 자체에 대한 문헌 기록은 전하는 바가 없어 사찰이 언제 창건되었고 언제 폐사되었는지 그 유래를 알 수 없다. 현재의 장락사는 송학산 강천사에서 수도하던 수도승 법해(法海) 스님이 1964년부터 상주하면서 불사를 일으켜 창건한 것으로, 탑 뒤에 초막을 짓고 주석한 후인 7년 후에 법당을 신축하여 지금의 장락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이후 법해 스님은 탑 주변을 정비하고 꾸준히 불사하였으나 노쇠하여 1973년 2월 9일에 열반하자, 그해에 성원(聖元) 스님이 주석하면서 관음전을 신축하고 석조 관음보살 입상을 봉안하여 지금의 가람을 이룩하였다.
13.8Km 2023-07-27
충청북도 제천시 탑안로8길 24
010-4151-4157
정부‘대한민국 공연예술제’에 선정된2023제천호숫가음악제가 올해 첫 공연으로‘산사 음악회’를 연다. ‘위대한 사찰, 천년의 메아리’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콘서트는 KBS 임성민 전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되며 소프라노 송난영, 장서영, 이경진, 테너 최원진, 구태환, 바리톤 정태준 등 국내 정상급 성악가들이 출연한다. 연주는 소리얼 오케스트라(지휘자 김기웅)가 맡아 아름다운 영상 스토리와 우리 가곡이 어우러지는 클래식의 향연을 펼친다. 재단법인 선학원(이사장 지광 스님)의 후원으로 열리는 이번 콘서트는 모처럼 열리는 산사 음악회인데다, 역사적인 문화유적의 의미가 더해지면서 장마와 무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힐링의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정부‘대한민국 공연예술제’에 선정된2023제천호숫가음악제가 올해 첫 공연으로‘산사 음악회’를 연다. 정부‘대한민국 공연예술제’에 선정된2023제천호숫가음악제가 올해 첫 공연으로‘산사 음악회’를 연다.
13.8Km 2024-12-26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박달로 256-46
제천카라반 더그린은 충북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에 자리 잡고 있다. 널찍한 부지 위에 다양한 시설이 들어차 있어 즐길거리가 많다. 제천시청을 기점으로 13km가량 떨어져 있다. 자동차를 타고 내토로, 북부로, 박달로를 차례로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15분 안팎이다. 캠핑장에는 카라반 14대가 마련되어 있다. 카라반 내부에는 침대, 개수대, 화장실 등 일상생활을 해도 불편함이 없을 물품이 갖추어져 있다. 파쇄석으로 이루어진 오토캠핑 사이트 32면도 운영 중인데, 4인이 머물 수 있는 숙소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부대시설로는 수영장, 펜션, 카페, 힐링숲, 텃밭, 산책로 등이 있다.
13.9Km 2025-03-26
충청북도 제천시 의병대로12길 8
충청북도 제천시 명동에 있는 제천 엽연초생산조합의 옛 사옥이다. 2003년 9월 27일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18년 제천 엽연초 경작 조합 설립 당시 사옥으로 지은 목조건축물로 아치형 현관 등에서 근대적인 분위기가 느껴진다. 현관 위쪽 창호는 기하학무늬가 특이하고 외부 장식과 평면 구성 등이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였던 근대화 시기의 과도기적인 건축양식과 업무 시설의 특징을 잘 알 수 있다. 근처에 같은 시기에 지어진 제천 엽연초 수납 취급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