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Km 2024-12-10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부항로 109-38
경북 김천시 지례면, 부항댐 아래에 자리 잡고 있는 산내들 패밀리어드벤처파크는 `물`을 테마로한 자연 친화형 놀이공원으로 도심에서 접하기 어려운 카약, RC카 레이싱,드론, 물놀이 및 각종 체험 프로그램등을 온 가족이함께 글램핑을 즐기면서 접할 수 있는 테마형 놀이공원이다.부항댐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어우러진 최고시설의 글램핑장은 물론 국내최초로 약500미터 길이의 초대형 인공 수로에서 즐기는 카약 체험장, 국제규모의 F1 레이싱 코스를 본딴 R/C카 레이싱 서킷 및 드론 레이싱 코스를 갖추고 있다.또한 고가의 카약, GPS 장착 FPV드론 및 R/C카는 모두 대여가 가능 함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 온 가족이 부담없이 함께하는 더 없이 좋은 놀이와 체험의 장이 될 것이다.주변 시설로는 인조잔디 축구장, 농구코트, 게이트볼장 및 물놀이장을 갖추고 있어 어린이 뿐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즐거움을 선사해줄 최고의 공간이 될 것이다.
6.6Km 2024-12-04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 향교길 84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지례향교는 조선 세종 8년(1426)에 처음 지었고 임진왜란(1592) 때 불탄 것을 숙종 16년(1690)에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 지내는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다. 안에는 묵판음화(墨版陰畵)의 공자 영정이 보관되고 있었는데, 1978년 도난당하였고 지금 있는 공자상은 이것을 대체한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7.4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풍면 탄방로 181
경상북도 김천과 충청북도 영동과 접하는 금자 마을은 전라도의 포근함과 경상도의 매력, 충청도의 온순함이 함께 묻어나는 마을이다. 논농사를 지으며, 사과 과수원이 마을 중앙에 자리 잡고 있고 마을에 이쁜 집들이 곳곳에 있어 경관도 우수하다. 마을 뒷산에는 옥녀봉에서 길게 뻗어 내린 능선이 마치 금으로 만든 자(尺)처럼 생겼다고 하여 쇠자, 쇠 제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한문으로 표기되면서 마을명이 금척(金尺)이 되었다. 이런 전설을 토대로 테마를 금자(금 잣대로 비단옷을 재단하는 선녀 마을)로 정하고 50여 가구가 참여하고 있다.
8.4Km 2024-12-17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3길
도동서원은 충간공 이숭원을 제향하기 위해 조선 인조 26년(1648) 건립됐으며 이후 이숙기, 이호민, 이숙함, 이후백을 배향한 연안이씨의 문중서원이다. 이후 고종 8년(1871)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는데 1918년 도동서원 옛 강당터에 명례당을 재건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현재는 강당인 명례당 한 채와 외문만 남아있다. 충간공 이숭원은 병조판서, 이숙기는 호조판서, 이호민은 이조좌랑을 거쳐 예조판서와 좌찬성, 이숙함은 이조참판, 이후백은 양관 대제학과 호조판서를 지냈다.
9.5Km 2025-04-25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충청북도 영동, 경상북도 김천, 전라북도 무주의 3도에 걸쳐있는 삼도봉과 북으로 석기봉, 민주지산, 각호산 등 해발 1,100~1,200m의 고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깊은 골을 만들었는데 이곳이 바로 물한계곡이다. 물이 하도 차가워서 한천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마을 상류에서부터 시작해 무려 20㎞나 물줄기를 이어간다. 태고의 신비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황룡사에서부터 용소에 이르는 구간이 가장 아름답다. 여름이면 물한계곡은 많은 피서객이 찾아와 인산인해를 이룬다. 또, 민주지산, 삼도봉, 각호산은 사철 등산 애호가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정상을 잇는 능선에는 각종 잡목과 진달래, 철쭉 등이 자리 잡고 있어 어느 계절이든 장관을 이룬다. 물한리 종점에서 삼도봉을 향하다 보면 옥소폭포, 의용골폭포, 음주암폭포 등이 있고 장군바위를 비롯해 많은 소와 숲이 어우러져 더욱 시원하고 아름답다.
9.5Km 2024-06-05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
전라북도 최동북단에 위치하여 충청, 전라, 경상 삼도를 가르는 삼도봉을 거느린 명산이다. 민주지산(1,241.7m)은 추풍령 남서쪽 약 25km 지점에 있으며 산행의 기점은 정상의 동북쪽 방향인 한천마을과 남쪽 아래의 대불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삼도봉, 석기봉이 명소이며, 석기봉 동쪽에는 원시숲과 화전민터가 있어 옛 주민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고, 물한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1972년에 지은 황룡사가 있다. 석기봉과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은 봄이면 온통 산죽과 진달래가 군락을 이뤄 꽃산행을 즐기게 된다. 다른 산의 진달래가 무리지어 군락을 이루는데 반해 이 곳 진달래는 능선을 따라 도열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물한계곡을 끼고있어 심산유곡으로 아직도 때묻지 않은 계곡이 돋보이며, 각종 잡목과 진달래 철쭉 등이 꽉 들어차 장관을 이루고 있다. 옥소(玉沼) 응주암 의용곡폭포 등이 절경을 이루며, 삼도봉에는 충북, 경북, 전북 등 3도인이 모여 세운 3도봉 대화합탑이 있다.
9.6Km 2025-07-23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주천면 운봉리
구봉산은 아홉 개의 봉우리가 뾰족하게 솟아 있는 기암괴석의 산으로, 남쪽 천황사 방향에서 바라보면 그 형상이 뚜렷해 구봉산이라 불린다. 이 산은 운장산 동쪽에 위치하며, 아름다운 산세와 탁 트인 전망 덕분에 전국에서 많은 등산객이 찾는다. 1봉은 해발 656m, 9봉은 1,002m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산행은 약 3시간이 소요되고 경사가 가파르고 험준하다. 특히 7봉과 8봉은 직접 등반이 어려워 우회해야 하며, 이 구간에는 연결다리, 데크, 전망대 등 안전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정상에서는 북두봉과 운장산, 옥녀봉, 덕유산, 지리산까지 조망할 수 있어 탁월한 경관을 자랑한다.
9.7Km 2025-06-26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6길 8-1
물한계곡 소나무 펜션 캠핑장은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 있다. 영동군청을 기점으로 약 33km 거리에 있으며, 자동차를 타고 난계로, 민주지산로, 물한계곡로를 차례로 거쳐 도착하는데 소요시간은 약 50분가량이다. 이곳은 계곡물이 시원하게 흐르는 물한계곡 옆에 있어서 한여름 캠핑을 하면서 계곡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캠핑장에는 바닥면이 자갈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6면을 마련했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4m 세로 5m이며, 사이트 간격이 넓어 여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이 가능하고 화로대, 전기,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반려견은 소형견에 한 해 동반 입장할 수 있다. 캠핑장 인근에는 민주지산 자연휴양림, 영동 화수루 등 여행지가 많아 연계 관광이 손쉽다. 주변에 시골 토종닭 백숙 닭볶음탕을 맛볼 수 있는 식당도 있다.
9.7Km 2024-07-10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 물한계곡로 1212
맑은누리 캠핑장은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 있다. 영동군청을 기점으로 약 32㎞가량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난계로, 민주지산로, 물한계곡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50분 안팎이다. 이곳은 영동의 대표 관광지 가운데 하나인 물한계곡에 있다. 여름철이면 계곡에서 물놀이를 즐기는 캠퍼들이 많다. 캠핑장에 심은 나무가 천연 그늘을 드리워 따가운 햇살도 두렵지 않다. 파쇄석 6면과 데크 14면으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20면을 갖췄다. 사이트 크기는 파쇄석과 데크가 각각 가로 4m 세로 7m와 가로 2.6m 세로 3.6m이다.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며, 캠핑장 주변에 물한계곡, 민주지산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용이하다. 물한계곡 인근에 여러 음식점이 있다.
10.0Km 2025-03-12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풍면 북리길 40
하연(河演)과 정경부인 성산 이 씨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서원이다. 하연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호는 경재·신희이다. 정몽주의 문인으로 태조 5년(139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고위 관직을 두루 거쳐 영의정까지 오른다. 의정부에 들어간 후 20여 년간 청렴하고 법을 잘 지켜 승평수문의 재상으로 일컬어졌다. 백산서원은 순조 21년(1821) 나라에서 타진사라는 현판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으나,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었다. 그 뒤 1917년 후손들이 다시 세워 백산서원이라 이름을 고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 있는 건물로는 타진사, 백산사, 강당 등이 있다. 타진사의 중앙에는 하연 부부의 위패와 영정을 모시고 있고, 오른쪽에는 하위국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1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백산사에는 하징도·하정도·하형도·하현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1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강당은 여러 행사와 화합 및 교육을 하는 장소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1칸으로,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다. 이 서원은 성현에 대한 제사와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으며, 해마다 음력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