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문산호랭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문산호랭이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보문산호랭이

보문산호랭이

19.8Km    2024-06-17

대전광역시 중구 중교로 84-1

보문산호랭이는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에 있다. 이국적인 느낌의 외관과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로 이루어졌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각종 해산물에 불맛을 잔뜩 입힌 상하이파스타다. 이 밖에 들깨와 들기름을 넣어 더욱 고소한 들깨오일파스타를 비롯해 게살크림파스타, 조개파스타, 청양베이컨파스타 등이 준비되어 있다. 대전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대동하늘공원과 한화생명이글스파크가 있다.

유회당사당

유회당사당

19.8Km    2025-06-16

대전광역시 중구 운남로85번길 32-20

유회당사당은 보문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조선시대 문화재이다. 조선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 권이진(1668∼1734) 선생이 건물 뒤 산에 있는 부모의 묘에 제사를 지내면서 독서와 교육을 하기 위해 1714년(숙종 40)에 지었다. 유회는 ‘부모를 간절히 생각하는 효성스러운 마음을 늘 품고자’하는 뜻을 담고 있으며, 중국 명나라 때 학자인 전목제의 ‘명발불매 유회이인’이라는 시에서 따온 말이다. 유회당은 앞면 4칸, 옆면 2칸 건물로 활수담이라는 작은 연못 뒤쪽에 있다. 앞면과 양쪽 면에 난간이 돌려진 툇마루가 있고 가운데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배치하였다. 기궁재는 유회당, 삼근정사 등을 관리하기 위한 재실 건물로, 제사나 종친회 등에 사용된다. 넓은 대청을 중심으로 안방, 건넌방, 부엌 등이 있다. 이곳은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89년 3월 18일, 대전광역시의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미소본가스마일칼국수

19.8Km    2024-06-05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30번길 82
042-221-1845

미소본가스마일칼국수는 대전 중앙로역 인근 대전여자중학교 바로 앞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손으로 직접 밀어 만든 면발로 유명한 칼국수를 중심으로 수육, 김밥, 고기김치전 등의 메뉴를 판매한다. 칼국수는 멸치육수를 베이스로 들깻가루가 들어가 고소하고 깔끔하며 쑥갓이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예능 백종원의 3대천왕 출연 이후 더욱 찾는 사람이 늘어 대기가 있을 때도 있지만 회전율이 빨라 오래 기다리지 않고 먹을 수 있다.

대청호자연생태관

대청호자연생태관

19.8Km    2025-07-30

대전광역시 동구 천개동로 41

* 자연생태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대청호자연생태관 *

대전광역시 동구 추동에 있는 대청호 주변의 자연생태계를 알려주는 전시관으로 대청호 주변에 서식하는 동·식물의 자연생태와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세운 전시관이다. 대청호는 한국에서 3번째로 큰 호수로, 1980년 금강 본류에 댐을 만듦으로써 생겨났으며 저수면적은 72.8㎢, 호수길이는80km, 저수량은 15억t이다. 대청호변에 있는 대청호자연생태관은 부지면적 8,270㎡, 건물총면적 1,488.5㎡로,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이다. 1층은 영상관, 이벤트홀, 수장고로 구성되어 있는데 영상관에서는 대청호 주변의 어류·조류·양서류·파충류·식물·육상동물의 자연생태에 대한 교육영상물을 상영한다.

* 자연생태관의 전시실 안내 *

2층에는 향토관과 생태관이 있다. 향토관은 대청호를 조성할 때 수몰된 대전 동구 지역의 옛 생활 모습과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주민들이 사용했던 생활용품과 민속품으로 꾸며졌다. 생태관에는 대청호 주변에 서식하는 어류·곤충·식물에 관한 표본과 입체영상자료가 전시되어 있고, 살아있는 생물도 전시한다.3층에는 수질오염의 원인과 방지대책, 쓰레기 재활용에 대한 다양한 영상과 정보검색, 매직비전, 그림자놀이를 통한 대청호 수질보전과 자원 재활용의 중요성을 배우는 환경교실로 구성된 환경관이 있고, 탁 트인 대청호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도 있다. 전시장 밖에는 생태연못, 야생화단지, 작은 동물원, 버섯체험장, 곤충사육장, 숲속교실 등을 조성하여 어린이와 학생들의 생태체험학습장으로 활용한다.

추동인공생태습지

19.8Km    2025-03-25

대전광역시 동구 천개동로 41

추동 인공생태습지는 대전시가 2008년 12월 26일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곳으로 멸종 위기종인 천연기념물 수달, 천연기념물 원앙 그리고 말똥가리, 흰목물떼새, 맹꽁이 등이 서식하고 있다. 슬로문화 속 떠오르는 여행지 ‘추동 생태습지공원’ 습지에 서식하는 동식물, 미생물과 습지를 구성하는 토양 등은 주변으로부터 흘러나오는 각종 오염된 물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깨끗한 물을 흘려보내는 자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생물들이 모여 살기 때문에 생물의 다양성이 높아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동구의 대청호 둘레길 중 6코스 길은 습지가 발달한 생태관광의 명소로 이어진다.

도시의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다

19.8Km    2023-08-11

대전광역시 동구 천개동로 41

호반의 여름은 푸른빛이다. 대청호를 둘러싼 버드나무도, 버드나무가 머리를 길게 늘어트린 호수도 푸르다. 오백리에 다다르는 이 길은 걸어도 좋고 드라이브 코스로도 좋다. 푸른 길이 심심하다면 계족산 황톳길을 따라 온몸에 붉은 물을 들여 보자. 시원한 황토 감촉에 여름 더위는 한풀 물러난다. 시원한 바닥분수와 여름밤의 버스킹이 열리는 한밭수목원에서 마무리하면 여름 나들이 완성이다.

내인생의 한방축제

내인생의 한방축제

19.8Km    2025-08-08

대전광역시 동구 태전로 1 (중동)
042-221-1551

내 인생의 한방축제는 대전 0시 축제와 함께 진행된다. 축제가 펼쳐질 대전역마을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에는 중동, 정동, 삼성동 3개 동에 걸쳐 한의약·인쇄·건어물 가게들이 밀집해 있다. 주민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2025 내인생의 한방축제에서는 한방꿈돌이 포토존, 한방식물 전시존, 한방 체험 및 먹거리존 등 다양한 콘텐츠가 준비되어 있다.

월산본가 대흥본점

19.8Km    2024-07-17

대전광역시 중구 대종로 455

월산본가 대흥본점은 대전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석갈비와 함흥냉면 전문점이다. 석갈비는 돼지석갈비와 소LA석갈비가 있는데, 생양파를 깐 석판 위에 완전히 구워져 나온다. 함흥냉면은 절인 무와 오이, 편육, 삶은 달걀 반쪽을 면 위에 얹고 육수를 부어 나온다. 이 밖에 돼지양념갈비, 소LA양념갈비, 회냉면, 갈비탕, 멸치국수 등을 맛볼 수 있다. 인근에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중앙시장, 대동하늘공원 등의 관광지가 있어 식전이나 식후에 둘러보기 좋다.

한밭식당

한밭식당

19.9Km    2025-07-25

대전광역시 동구 태전로 3 (중동)

한밭식당(대전동구)은 60년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설렁탕 전문점이다. 머릿고기, 사태살이 듬뿍 들어가며 국물이 진한 맛이 특징이다. 한밭식당이라는 이름을 가진 음식점은 전국에 여러 군데가 있지만 대전 지역에서 설렁탕을 다루는 한밭식당은 이곳이 본점이다. 이곳을 기반으로 대전 유성구 지족동에 2호점이 있다. 중앙로와 태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고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대전 IC와 통영대전고속도로 판암 IC가 가깝다. 대중교통은 경부고속철도 및 경부선 철도, 대전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역전시장, 대전중앙시장, 인쇄거리, 소제동 카페거리, 철도관사촌(솔랑시울길) 등이 있다.

대전 치유의 숲

19.9Km    2025-03-18

대전광역시 중구 무수동 195

대전 무수동 치유의 숲은 상수리나무 55.6%, 신갈나무 15.0%로 활엽수림이 주를 이루고 있고 침엽수림은 일부 분포하고 있다. 대상지 일원에 보문산 공원, 뿌리공원, 보문산성, 보문 사지, 목재문화체험장 등 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볼거리가 존재하는 중부권 대표 치유의 숲이다. 자연으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명소로 환경보호를 위해 취사와 흡연, 야영 등을 금하고 있으며, 가족/일반인, 노인, 직장인/주부, 청소년, 어린이,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6개의 유료 프로그램 운영 중이다. 프로그램과 편의시설 외에도 1.5km, 2.7km, 1.5km 등 3가지 코스의 테마 숲길을 조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숙박시설과 식당을 운영하지 않고 주변 시설 사용을 유도함으로써 주변 경제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