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주미술관카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송주미술관카페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송주미술관카페

송주미술관카페

3.7Km    2025-09-12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남사길 25-53

송주미술관카페는 예술적 감성과 휴식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특별한 공간이다. 미술관의 전시 작품을 감상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고, 자연 친화적인 카페 인테리어와 넓은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이 따뜻한 분위기를 더한다. 방문객들은 향기로운 커피와 정성스러운 디저트를 즐기며 예술적 영감을 얻을 수 있고 일상에서 벗어나 편안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하기에 적합하고, 야외에는 정원이 있어 사진을 찍기에도 좋다. 유명작가들의 작품을 보며 커피를 즐길 수 있는 카페이다.

권충민공순절비

권충민공순절비

3.9Km    2025-03-16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저곡리

권충민공순절비는 임진왜란 때 금산으로 쳐들어오는 왜적을 막다 순절한 금산군수 권종과 그 아들 권준의 충의를 기리고 있는 유허비로 금강 인근에 있다. 권종 부자는 충북 영동 지역으로 쳐들어오는 왜적을 막기 위하여 출정하였다가 강을 건너려는 왜구와 싸워 전사하고 말았다. 비석은 제원대교 입구에서 서남으로 약 50m 지점에 세워져 있는데 전면에 ‘증정헌대부이조판서시충민공행금산군수안동권공휘종순절유허비’라고 한자로 새겨져 있다. 순절비의 글은 이승보가 지었고 글씨는 11대손인 정현이 썼다. 1878년(고종 15) 금산 유림에서 비를 세웠으나 1941년 일제에 의해 비석의 비문이 뭉개진 것을 광복 후 다시 비를 찾아 세워 놓았고, 1974년 비를 보호하고자 비각을 세워 두었다. 인근에 기러기공원, 금강생태과학체험장, 금강뷰 등 여행지가 있다.

저곡식당

저곡식당

4.0Km    2025-07-30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금강로 286
041-752-7350

금산 인삼어죽마을 초입에 자리한 식당이다. 금강 유역의 향토 음식 중 하나인 어죽에 금산 특산물인 인삼을 넣어 독특한 풍미를 선보인다. 인삼 튀김과 함께 금강 유역에서 자주 먹는 도리뱅뱅이(민물고기를 팬에 동그랗게 돌려 담아 조린 음식), 민물매운탕, 생선튀김, 새우튀김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천내강

천내강

4.2Km    2025-03-14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명암리

금산에서 동쪽으로 7km 지점에 산과 강, 옛 문화재와 임진왜란의 전적지가 금강을 사이에 두고 펼쳐지고 있다. 이곳이 금산의 명승지이며, 사계절 끊이지 않고 관광객이 찾아드는 천연의 모습을 간직한 곳이다. 천내강은 제원면 저곡리와 개티 건너편의 천내강 사이에 있는 금강 상류로, 담수어가 많이 잡히며 천내리 강가에는 고려 시대 유물인 용호석(龍虎石)이 280m의 간격으로 서 있고, 강가에는 임진왜란 당시 금산 군수로 적을 막다 이곳에서 순국한 권종의 전적비가 옛 격전지에 서 있어 찾는 사람들로 하여금 옷깃을 여미게 한다. 저곡리 갯벌 옆산은 그 이름이 봉황대(鳳凰臺)로 강을 향해 높이 솟아 있어, 예부터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았다. 이 산마루에 봉황대라는 정자가 있어 찾는 사람의 좋은 휴식처가 되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그 터만 남아있고 저곡리 뒷산에는 임진왜란 때 쌓은 성터가 지금도 남아있다.

금산 천내리 용호석

금산 천내리 용호석

4.8Km    2025-03-27

충청남도 금산군 제원면 천내리

용과 호랑이 모습을 각각 2기(基)의 돌에 새긴 것이다. 천내리의 서쪽을 흐르는 천내강변 제원대교(濟原大橋)에서 북쪽 100m 지점에 용석(龍石)이, 그로부터 다시 북쪽으로 500m 지점에 호석(虎石)이 위치하고 있다. 용석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된 여러 개의 돌기와 그 사이에 꿈틀거리는 용의 몸체가 조각되어 있고,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있는 입 양편에는 아가미와 수염이 표현되어 있다. 호석은 호랑이가 앞발을 세우고 앉아 있는 모습인데 두툼하게 튀어나온 곡선과 동그라미를 조각하여 호랑이의 털 무늬를 만들었다. 호석의몸체는 서쪽을 향하였으나 머리는 북쪽을 향하였으며 입을 크게 벌리고 있다. 고려말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안동(安東)으로 내려온 공민왕이자신의 능묘(陵墓)의 위치를 정하고 필요한 석물(石物)로 준비하게 하였으나, 개경(開京)으로 돌아간 후 그대로 두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출처 : 금산군 문화관광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