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Km 2025-04-0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성로 615
043-878-5158
충북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위치한 시장이다. 2020년 화재 예방을 위해 노후전선 정비사업을 진행하여 상인들과 방문객들이 보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좌우 점포가 형성된 시장 골목을 따라 비가림막이 설치되어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장 보기가 가능하다. 시장 규모는 작으나 판매품목은 다양하여 불편함이 없다.
10.1Km 2025-01-21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진안로 165-16
캠핑코리아는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에 자리 잡고 있다. 장비 없이 떠날 수 있는 곳으로 캠핑장에서 모든 캠핑 장비 대여가 가능하다. 취사가 가능하며 개별 바비큐도 이용할 수 있다. 계곡을 끼고 있어 여름철 물놀이를 하기에도 좋다. 애견 동반이 가능한 글램핑장이라 반려견과의 여행 장소로 적합한 곳이다. 오후 11시부터는 매너타임으로 이때에는 소음에 유의해야 한다.
10.2Km 2025-06-26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백곡로 964
충북 진천군에 위치한 물안뜰 마을은 아름다운 백곡저수지를 배경으로 넉넉한 마을인심과 따뜻한 정으로 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맑은 물과 좋은 토양 덕분에 예로부터 질 좋은 쌀과 고추 등 특용작물, 각종 과수들이 넉넉하게 생산되고 있는 것이 물안뜰 마을의 자랑이며, 물안뜰체험관과 건강체험관, 숯테마관 등 다양한 체험시설과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농촌 체험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가족, 단체 관광객들이 찾기 좋은 마을이다.
10.5Km 2025-07-03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진로 1323
진천 향토민속자료전시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콘크리트조 기와집으로 지어졌으며 1996년 5월 2일 개관하였다. 조상의 얼이 담긴 각종 문화 유물과 생활민속 자료를 중심으로 전시하여 군민과 자라나는 학생들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함은 물론, 진천군 고유의 전통문화를 널리 알리고 군민의 긍지와 자부심을 고취시키고자 건립했다. 제1전시실은 역사전시실로, 진천의 역사와 문화유적을 알아볼 수 있도록 지형도, 연표, 문화유적 분포도를 제작 전시하고 있다. 또한 선사시대로부터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와 백제 토기가마터의 발굴 당시 모습 그리고 고려, 조선시대의 자기를 중심으로 기형과 문양을 알아볼 수 있도록 전시하였다. 제2전시실은 민속자료전시실로, 우리의 선조들이 사용하던 의·식·주 생활용품과 농악기, 길쌈도구, 농기구 등을 기능별로 분류·전시하고 있으며, 야외전시는 조선시대 비의 건립 양상을 알 수 있도록 진천 역대 현감선정비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10.6Km 2025-06-11
충청북도 음성군 금일로 1050-10
최미자 원조양평해장국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메뉴인 선지 양평해장국은 물론, 내장탕, 우거지 해장국, 뼈해장국, 양선지 해장국 전골 등 다양한 해장국을 맛볼 수 있다. 이 밖에 감자탕, 수육 등도 맛볼 수 있으며 이른 오전부터 영업을 시작해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다. 삼성(하이패스) IC와 가깝고, 인근에 진양밸리 CC, 썬밸리 CC가 있어 라운딩 전후에 방문하기 좋다.
10.7Km 2025-04-18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음성군 삼성면에 위치한 반려견 놀이터로, 반려견이 목줄 없이 뛰어놀 수 있는 운동장 및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10.9Km 2025-03-16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산동2길 2
한뉘는 진천 농다리 근처에 있는 카페로, 하얀 한옥 건물이 특징이다. 카페 내부는 나무를 활용한 인테리어로 꾸며져 있어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카페 앞에 주차가 가능하며, 진천 농다리를 방문한 관광객들에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카페에서는 농다리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어 여행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한옥 건물의 외관이 사진 명소로도 주목받고 있다. 주요 메뉴로는 쑥패너, 피타츄라떼, 사과주스 등이 있다.
11.0Km 2025-03-16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문진로 1300-80
진천은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유신 장군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또한 맑은 물과 기름진 너른 벌판이 있어 하늘이 내린 곳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진천을 한눈에 굽어보고자 하면 봉화산 중턱에 자리한 대흥사가 제격이다. 대흥사는 고려시대의 절터로서 조선후기에 참의 벼슬을 하던 조중우(趙重愚)가 창건하고 영은암이라 했던 것을 1907년에 다시 조창호(趙昌鎬)가 중건한 사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 흩어져 있는 대부분의 작은 사찰들이 그러하듯이 근래까지도 겨우 명맥을 이어오고 있었으나 2000년에 들어서면서부터 가람을 일신하고 있다. 옹색했던 터전은 널찍한 도량으로 변모를 했고, 겨우 비바람을 피할 정도의 법당과 당우(堂宇)는 아름다운 처마곡선을 뽐내고 있다.
11.0Km 2024-09-30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현곡길 344
금광관광농원은 안성시 현곡리 칠현산 자락에 위치한 곳으로, 상설 음식점과 숙박시설을 고루 갖추고 있어 야유회, 향우회, 동창 모임 그리고 가족 나들이 장소로 좋은 곳이다. 관광농원 입구에서 왼쪽에는 장박사이트가 별도로 있고 1, 2박을 하는 캠핑 사이트는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 이곳의 캠핑 사이트는 펜션을 포함하여 9 구역 100여 개이며 원시림 같은 자연수림이 사방으로 드리웠고, 계곡물을 이용한 수영장, 그림 같은 가족 낚시터, 잔디구장, 식당 등을 고루 갖춰 놓아 캠핑을 즐기는데 부족함이 없는 곳이다.
11.1Km 2025-03-17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진천 이시발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1569∼1626)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이다. 이시발은 오촌 대건의 아들로 청원군 오창면 오근리(현 청주시 오근장)에서 선조 2년(1569년)에 태어났다. 선조 2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었고, 임진왜란(1592), 이봉학의 난(1596), 이괄의 난(1624) 당시 큰 공을 세웠다. 생을 마친 후에는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선조, 광해군, 인조에 걸친 세 임금을 섬기면서 백성의 생활안정과 지방민을 평온하게 하였던 그의 공로를 찬양하고자 이 비를 세웠다. 조선 효종 9년에 세운 비로, 비문은 송시열이 글을 짓고, 송준길이 글씨를 썼으며, 이정영이 새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