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프커피스탠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사프커피스탠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이사프커피스탠드

11.7Km    2024-02-21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361번길 41-1

모두가 훌륭한 에스프레소를 즐기는 날까지, 디카페인을 활용한 에스프레소 바이다.
내부에는 넓은 바 테이블과 스탠드 테이블이 있다. 일종의 오픈형 주방인 가게로 청결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스프레소 전문 카페이지만, 전 메뉴가 디카페인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디저트도 3가지 종류가 있어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비스코티, 파운드 케이크, 마가렛트 등이 있다. 가격도 부담이 없어 한 번쯤 방문하여 에스프레소 잔 쌓기를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컨트리하우스

컨트리하우스

11.7Km    2025-01-21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목련로214번길 40

컨트리하우스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정원이 잘 가꾸어진 카페로 반려견과 함께 머물 수 있으며 잔디밭 위에 분수가 설치된 야외에도 좌석이 갖추어져 있다. 통 유리를 통해 주변 경치를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이며, 플랫화이트, 마린화이트, 카페라떼, 에스프레소, 생과일주스 등도 판다. 이 밖에 컨트리샌드위치 등 각종 먹을거리도 있다. 문의청남대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주고은리고택, 공군박물관, 더플레이그라운드가 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배변봉투 지참)

청주군산활어

청주군산활어

11.7Km    2025-06-19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덕암로30번길 38

청주군산활어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에 있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광어, 우럭, 도미, 농어 등 각종 생선회다. 신선한 활어를 상에 내기 위해 한 달에 3회 이상 통영과 대천 등지를 방문해 엄선한 생선을 매입한다. 이 밖에 킹크랩, 랍스터 등도 판매한다. 서청주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청주고인쇄박물관, 청주랜드 동물원, 국립청주박물관이 있다.

투가리순대국밥

11.7Km    2025-06-26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중앙로 13

투가리순대국밥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 2가에 있다. 대표 메뉴는 순대국밥이다. 이 밖에 뽕잎순대, 소곱창전골, 철판곱창볶음, 철판곱창전골 등을 판다. 특히 뽕잎순대는 뽕잎을 가공해 만든 특허 음식이다. 모든 음식은 포장이 가능하다. 음식점은 서청주 IC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다. 주변에는 상당산성자연휴양림이 있다.

상당공원

상당공원

11.7Km    2025-03-24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280-18

상당공원은 상당구의 중심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공원이다. 상당공원의 면적은 10,000㎡로 그리 크지는 않지만, 휴식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산책길과 운동시설, 각종 편의시설 등이 조성되어 있다. 공원 내에는 1979년 4월 22일에 세워진 충북 4·19 학생혁명 기념탑과 충청북도민헌장탑, 그리고 1997년 5월 24일에 세워진 한봉수 의병장 동상이 있다.

용화사(청주)

용화사(청주)

11.7Km    2025-07-10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무심서로 565

용화사는 청주 무심천변에 자리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이다. 선덕여왕 때 은점선사가 처음 지었으며, 조선 인조 6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영조 18년(1752) 벽담선사가 다시 짓고 용화사라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경내에는 보광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용화전, 탐진당, 적묵당, 해월루 등 목조건물과 불사리 4 사자 법륜탑, 효봉스님 사리탑이 있다. 불사리 4 사자 법륜탑은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고대 아쇼카 양식의 원주 석탑으로, 진신사리 7 과가 봉안되어 있다. 산내 암자로는 고려 태조 26년(943) 도솔선사가 세웠다는 도솔암, 조선 숙종 7년(1681) 청안선사가 세웠다는 관음암이 있다. 용화사에는 1902년 고종의 비인 순빈 엄 씨가 명하여 발견했다는 칠존의 석불이 안치되어 있으며, 상당산성 안에 있던 보국사를 옮겨 이 절을 지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이곳은 일반 사찰과 달리 시내 가운데에 있어 누구나 편히 방문할 수 있으며,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어 편안한 마음으로 절에서 묵으며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시간을 가지기 좋다. 봄에는 사찰 주위의 무심천에서 벚꽃축제가 열린다.

무궁화테마공원

11.7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

세종시에는 다양한 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그 중 무궁화테마공원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꽃인 무궁화를 주제로 한 공원이다. 무궁화는 전국에 약 300여 종 이상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무궁화 품종원에는 300여 종이 식재되어 있다. 공원 내에는 품종별로 꽃의 사진과 이름이 나와있는 안내판이 있으며, 무궁화가 식재된 정원에는 품종을 알 수 있도록 따로 표시판을 두었다. 또 갖가지 수목이 식재된 조형미로원, 세계 각국의 나라꽃이 있는 세계 국화원, 유아숲 체험원과 숲 속 휴게 공간인 무궁화 휴게 정원 등이 갖추어져 있다. 무궁화 외에도 다양한 꽃들이 피어있어 산책하기에도 아주 좋다.

2024 JOCHIWON FILM ROMANCE

2024 JOCHIWON FILM ROMANCE

11.7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평리
044-862-1620

조치원 독립 영화제인 ‘2024 조치원 필름 로맨스’는 2023년 조치원 필름 로맨스’ 영화제 현장과 23년 11월 철거된 영화 <반칙왕> 촬영지 ‘연기복싱체육관’의 이야기를 담아 제11회 목포국도1호선독립영화제에서 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무비스타 시혜지>를 개막작으로 해 이틀간 총 16편의 단편영화 관람과 감독과의 대화, 공연 등을 무료로 즐길 수 있다. 주최측은 “지역에 다양한 축제가 있지만, 문화 다양성을 위한 축제는 존재하지 않고, 지역 영화산업 확대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영화예술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영화계 커뮤니티 형성과 활동 방향 확대를 위해 정부 지원이 없더라도 매년 영화제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화랑협회 창립기념 아트페어 “프로젝트 FREE” 겨울정원54℃

세종화랑협회 창립기념 아트페어 “프로젝트 FREE” 겨울정원54℃

11.7Km    2025-05-20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평리
044-862-1620

세종화랑협회는 지역사회의 미술문화 발전을 위해 활동하고있는 작가및 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시각예술 대중화의 증진을 위해 힘쓰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미술을 국내 외 시장에 소개하고, 건전한 미술시장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 세종화랑협회를 창립 하였으며, 기념 행사로 화랑협회 아트페어를 개최한다. 아트페어 “프로젝트 FREE” 는 참여하는 작가들과 8곳 갤러리의 특성을 살려 작품세계를 자유롭게 구성하고 표현하는 전시이다. 시각예술에 대한 대중과의 소통 증진과 관심을 확대하고, 미술시장의 활성화와 세종시 미술계에 활기를 불러일으킬 대표적 아트페어로 발돋움 하겠다. 작가들의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직접 작품도 구매할수있는 기회로 마련된 이번 아트페어와 함께 따뜻한 연말을 보내시길 바란다. 조치원문화정원 관람객분께서는 방문시, 피아니스트 김지연 피아노곡을 핸드폰으로 들을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이어폰도 지참해주시면, 더욱더 풍성한 전시관람이 가능하다. [ 참여갤러리 ] 아르스(Ars's)갤러리, 소피아갤러리, 갤러리힐, 줌갤러리, 밴가드1아트센터, 갤러리985, 금수동갤러리

연기향교

연기향교

11.8Km    2025-05-07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교촌3길 13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고려·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연기향교의 처음 위치는 연기리 서쪽이었는데 이후 1649년 연기현의 남쪽으로 옮겼다가, 1684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고, 여러 차례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제기고, 전사청, 내삼문, 동협문 등이 있다. 대성전은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공자를 비롯하여 여러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고, 명륜당은 교생들이 학문을 배우고 토론하던 장소이다. 연기향교에는 지방관의 공적, 흥선대원군이 세운 척화비도 세워져 있다. 현재 향교의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 수명이 담당하고 있으며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향교 유생들의 명부와 향교 교육 관련 규정인 절목, 그리고 17세기 연기의 향안과 향약 자료 등이 보존되어 있어 이 지방의 향토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