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릉숲이야기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광릉숲이야기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광릉숲이야기캠핑장

광릉숲이야기캠핑장

16.3Km    2025-08-08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길 44

광릉숲이야기캠핑장은 광릉 숲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놀이시설을 잘 갖춘 캠핑장으로 이름나 있다. 수영장과 트램펄린 시설도 연령에 맞추어 분리되어 있으며, 실내에 있는 놀이존은 냉난방시설을 갖추고 있고, 화장실과 샤워실 또한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다. 또한 데크 위에 대형 타프가 설치되어 있는 캠핑 사이트는 대형 텐트도 여유있게 설치할 수 있어 캠퍼들에게 만족감을 주고 있다. 오토캠핑장뿐만 아니라 예쁘고 앙증맞은 카라반 6동이 마련되어 있어 아기자기하고 편안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웨이브서프

웨이브서프

16.4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북한강로 1630-18

웨이브서프는 날씨, 온도에 상관없이 1년 365일 언제나 서핑을 즐길 수 있는 국내 실내 서핑장이다. 실내 온수 서핑장 ‘웨이브서프’는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실내서핑의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초보자를 위한 강사진들이 바디보드와 스탠딩보드를 어떤 자세로 타야 하는지, 어떻게 라이딩을 하는지, 기초부터 섬세하게 타는 방법과 기술을 알려준다. 웨이브서프는 실내서핑 외에도 클라이밍, 서프카페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건물 외벽에 네 가지 루트의 클라이밍 시설이 있는데, 초보자나 어린이도 쉽게 오를 수 있도록 오토빌레이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

더드림핑 야영장

더드림핑 야영장

16.4Km    2025-08-22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북한강로 1630-18

서울에서 30분만 벗어나면 도착할 수 있는 남양주 화도읍 금남리 북한강 변에 누구나 꿈꾸는 아웃도어 레저 공간이란 독특한 콘셉트의 레저 캠핑장이 있다. 남양주 8,000평 대자연 위에 산과 북한강을 끼고 형성되어 최고의 자연경관을 만끽할 수 있다. 한 곳에서 캠핑, 글램핑, 텐트, 수상레저, 낚시, 클라이밍 그리고 서핑을 모두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름에는 강변이 바라보이는 수영장을 운영해 어린이들의 물놀이 캠핑장으로도 적합하다.

연지곤지팜캠핑장

연지곤지팜캠핑장

16.4Km    2025-08-08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길 48

연지곤지팜캠핑장은 국립광릉수목원 근처에 있다. 직동낚시터 지나서 오른쪽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는데, 광릉숲 이야기 캠핑장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다. 연지곤지팜캠핑장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맨 아래쪽에 관리사무소와 편의시설이 있고 중간단에는 타프텐트동이 맨 위쪽에는 글램핑동이 나열되어 있다. 해먹을 설치하는 시설도 있고 위치가 높아 내다보이는 뷰도 좋다.

맷돌36숯불갈비 마석점

맷돌36숯불갈비 마석점

16.4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맷돌로 36

경기도 남양주시 마도읍에 있는 숯불구이 전문 음식점이다. 2층 단독건물 앞에 주차장이 있다. 2층은 대기할 때, 식사 후, 차 마실 때 이용할 수 있는데, 아동용 게임기가 있다. 로봇이 서빙한다. 숯불고기를 주문하면 기본 반찬이 제공된다. 샐러드바에는 단호박, 사과샐러드, 옥수수 등 샐러드류, 김치, 물김치, 깍두기 등 김치류, 야채, 마늘, 고추 등 양념류, 토마토, 포도 등 과일류 등이 있어 자유롭게 가져다 먹을 수 있다.

관광 꿈꾸는숲 펜션

16.4Km    2024-11-26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죽엽산로 490
010-7204-7604

꿈꾸는 숲 펜션은 친환경 자제로 지어진 펜션으로 방문객에게 최고의 안식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주변에 고모리 호수의 둘레길이 자연과 어우러져있어 가족들과 편안한 하이킹 코스를 제공하며,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멋진 전망을 제공한다.

수사골

수사골

16.4Km    2025-05-13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진건오남로708번길 53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송어회 전문점이다. 강원도 깊은 계곡의 신선한 송어회의 참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오랜 전통 맛집이다. 차갑고 깨끗한 1급수에서 서식하는 냉수성 어류인 송어의 진미를 맛볼 수 있다. 외관은 벽돌로 되어 있으며, 내부로 들어서면 우드톤 인테리어가 주를 이루어, 오래된 전통 가옥의 분위기가 느껴진다. 비빔 그릇에 야채를 적당히 넣고 콩가루, 초고추장, 참기름을 기호에 맞게 넣어서 비벼서 회와 함께 먹으면 된다. 간 마늘은 셀프 코너에서 원하는 만큼 가져다 먹을 수 있다. 매장 앞 주차장이 있어 주차하기에 편리하다.

빠지에빠지다수상레저

빠지에빠지다수상레저

16.4Km    2024-09-03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남산면 방하로 567

이곳은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에 위치한 수상레저 시설이다. 가평역 및 가평 터미널에서 가까우며, 왕복 무료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편리하게 오갈 수 있다. 이곳은 수상스키와 웨이크보드 외에 자이언트 워터슬라이드, 밴드웨건, 블로점프, 땅콩, 바나나보트 등의 다양한 수상 놀이 기구를 즐길 수 있으며, 가까운 남이섬 보팅도 준비되어 있다. 다양한 콘셉트의 제휴 펜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페와 푸드 코너, 휴게공간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합리적인 가격의 다양한 패키지 상품이 있으며 무제한 바베큐 서비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이 외 수상스키와 웨이크보드 입문자를 위한 강습과 보트 투어도 있으니 취향껏 선택해서 신나게 즐기면 된다. 이 밖에 이용요금과 패키지 상품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방문하도록 한다.

고모호수공원

고모호수공원

16.4Km    2025-03-27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경기도 포천시 고모리 죽엽산(해발 600m) 중심부에 있는 공원이다. 고모저수지 주변에 조성된 호수주변공원으로 고무저수지는 면적 0.18㎢에 저수량 1,300톤 규모이다. 고모는 어떤 사람이 늙은 고모님(한자로 할미 ‘고’)을 모시고 산 밑에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할미가 외로이 세상을 떠났는데 할미를 매장한 묘 앞에 있는 마을이라하여 이곳을 고모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저수지 주변으로 2.6㎞ 길이의 고모저수지 둘레길과 광장, 분수대, 쉼터, 운동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분수는 4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휴일 12:00~17:30에 30분 간격으로 가동한다. 주변에 카페 갤러리, 레스토랑 등이 많아 나들이 겸 산책코스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단, 개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해야 함)

남양주 광릉(세조·정희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남양주 광릉(세조·정희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6.4Km    2025-07-07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

광릉은 조선 7대 세조(재위 1455~1468)와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능이다.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의 형식으로 조선왕릉 중 최초로 조성된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 언덕(서쪽)이 세조, 오른쪽 언덕(동쪽)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1468년(예종 즉위)에 세조가 세상을 떠나자 현재의 자리에 조성되었다. 본래 이 자리는 동래 정씨 정창손의 선대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릉이 조성되면서 동래 정씨 묘역은 다른 곳으로 옮기게 되었다. 세조는 “내가 죽으면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사대석(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 유언에 따라 능 내부의 방을 석실 대신 회격(灰隔)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왕릉 공사에 드는 비용과 인원을 감소시켰다. 이 방법은 광릉 이후에 조성된 왕릉에 모두 적용되었다. 또, 병풍석이 생략되면서 병풍석에 새기는 십이지신상을 난간석에 새겼다. 이후 1483년(성종 14) 정희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광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하였다. 이때 능의 이름을 동광릉(東光陵)으로 정하려고 하였으나 광릉과 같은 능역에 있다 하여 광릉으로 합쳤고, 정자각은 두 능 사이로 옮겨지었다.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향로와 어로는 조선시대에는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소실되었고, 입구에는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하마비(下馬碑)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