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Km 2025-04-04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4길 3
북촌한옥역사관은 종로구 계동 4길 3에 있으며, 한옥을 개조한 공간에서 북촌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다. 1920~1930년대 '조선집'이라 불린 소형 한옥과 이를 공급하면서 당시 '건축왕'이라 불렸던 기농 정세권 선생을 조명한다.
14.4Km 2023-07-26
서울특별시 송파구 동남로 128
02-402-1594
코오롱스포츠 (문정직영점)은 서울 동남권 최대 규모의 아웃도어, 캠핑 직영점이다. 총 3개 층에 면적 150평의 정상 매장으로 서울·경기권 접근성이 좋고, 지하철 3호선 경창병원역, 8호선 문정역 등 대중교통 이용이 용이하며, 차량 방문 시 주차공간도 완비되어 있다. 다양한 상품을 층별로 구분하여 넓은 공간에서 편안한 쇼핑을 즐길 수 있다.
14.4Km 2024-05-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19
원서공원은 현대건설이 현대그룹 사옥을 건립할 때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의미로 시민들의 휴식을 위해 도심에 녹지 공간을 조성한 것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운동시설과 게이트볼을 즐길 수 있는 운동장이 있고, 벤치와 그늘이 조화롭게 잘 배치되어 있다. 현대그룹 직원들을 비롯해 인근 직장인들이 점심때 휴식과 산책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약 400m 거리에 있으며 도로변에 있어 약속시간 만남의 장소로도 활용된다.
14.4Km 2025-07-18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27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은 한국의 전통 화장문화를 소개하는 국내 유일 전문 박물관이다. 전통 화장문화를 보존하고 널리 알리고자 2003년 11월 개관 이후 꾸준한 전시와 연구활동을 하며 성장해 왔다. 박물관은 자연에서 얻은 천연재료로 만든 화장재료, 통일신라 시대부터 근대까지 여성이 사용했던 다양한 화장용기, 화장도구, 근대 화장품 등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를 통해 한국 화장의 역사와 흐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 일본의 화장문화를 비교 연구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화장문화를 알리고, 나아가 세계 화장문화를 연구하고 소개하는 선도적역할을 하고자 한다.
14.4Km 2025-03-15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92길 11
02-554-1133
연화산은 서울시 강남구 삼성역 인근에 위치한 중식당이다. 얼큰하고 맛있는 짬뽕이 유명한 곳이다. 화학조미료 사용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신선한 야채 과일소스로 중국요리의 세련된 맛을 전해 까다로운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인근에 코엑스와 서울 선릉과 정릉, 각종 갤러리, 뮤지엄 등 방문하기 좋은 곳이 많다.
14.4Km 2021-03-09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35
02-764-2373
서울특별시 종로에 있는 한식당이다. 대표메뉴는 아구찜이다. 아구찜은 생선과 채소를 섞어 만든 매운 해산물 요리이다.
14.4Km 2025-07-22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518 (대치동)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도심 속 예술이 있는 감성공간’이라는 비전 아래 다양하고 수준 높은 전시를 즐길 수 있는 강남 도심 속의 미술관이다. 대형 미술 전시공간으로 로비 라운지, 아트샵, 카페, 세미나 룸인 오픈살롱, 컬처살롱, 교육 공간 에듀살롱, 레스토랑 등 각종 편의시설이 갖추어졌다. 어렵게 느껴졌던 예술을 마이아트뮤지엄이 편안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일상 속에서 누구나 손쉽게 예술적 품격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고자 한다.
14.4Km 2025-08-18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112 (계동)
북촌 중앙고등학교 정문에서 90m 떨어진 계동길에 자리한 석정보름우물은 조선 중기부터 있던 것으로 여겨지는 오래된 우물이다. 서울 도심에서 조선 궁궐과 종묘를 제외하고 가장 오래된 우물로 가회동과 계동 지역 사람들이 오랫동안 식수로 사용했다. 한 달의 보름은 물이 맑고 보름은 흐려져서 붙여진 이름으로 물맛이 좋기로 명성이 자자했으며 이 우물을 마시면 아들을 낳는다는 이야기도 있어서 아들을 원하는 서울 아낙네들과 궁궐 궁녀들의 수요가 상당했다고 한다. 1794년 천주교 선교를 위해 청나라에서 넘어온 외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서 첫 미사를 진행하며 이 우물물로 세례를 줬고 김대건 신부는 성수로 사용했다고 하여 천주교에서도 이 우물을 소중히 여긴다. 현재는 상수도 보급과 지하수 오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우물이 되었고 입구도 봉쇄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