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Km 2025-01-17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상덕로 50
파라프라는 충남 천안 서북구 직산읍에 위치한 곳으로 당일치기 글램핑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야외 바비큐 음식점이다. 매점에서 인원수에 맞는 고기 세트를 구매한 후 이용할 수 있으며 셀프 바에 진열된 기본 야채 반찬은 무료이다. 여름에는 워터풀에서 수영을 하며 BBQ를 즐길 수 있고 겨울에는 불멍과 함께 쉼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눈썰매를 탈 수 있어 아이들과 가족 단위로 방문하기 좋은 곳이며 애견 동반도 가능하여 애견인들에게도 인기가 좋다.
9.1Km 2025-05-08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석정리
곡교천시민체육공원은 아산(온양) 시내와 아산시 염치읍 사이를 흐르는 곡교천변에 자리한 체육공원이다. 부지 면적 9만 360㎡ 규모로 구장 1면, 야구장 2면, 배드민턴장 2면, 인라인스케이트장 1면 등이 있다. 부대시설로는 주차장 2면, 휴게소 2동, 화장실 2동, 야외 캠핑장, 사무실 등이 있다. 야구장 등의 시설은 아산시 통합 예약 시스템 사이트에서 예약을 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야외 캠핑장을 개설하여 간단한 캠핑, 차박이 가능하며, 캠핑장을 이용하는 사람은 전기, 화장실, 샤워실, 취사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단, 이곳은 곡교천변에 위치해 있으므로 집중호우 시 침수될 수 있어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인근 관광지로는 곡교천유채꽃밭, 곡교천파크골프장, 은행나무길, 온양온천 등이 있다.
9.1Km 2025-01-15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교천지산길 104
해물화짬뽕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교천리에 위치하고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매콤한 맛이 일품인 화짬뽕이며, 유니짜장, 간짜장, 해물볶음밥 등도 판다. 요리 종류로는 주중 한정 판매하는 김말이탕수를 비롯해 등심탕수육, 오징어탕수육이 있다.
9.2Km 2025-07-08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금곡로 176
마정낚시터는 수초 군락이 자연지와 동일한 여건으로 조성되어 있다. 토종붕어 전문 낚시터인 마정낚시터는 1호지와 2호지로 구분하여 운영 중이다. 1호지는 철갑상어, 대형 향어 등의 대형 어종과 특별 어종을 방류하고 2호지는 토종붕어를 전문으로 방류하고 있다. 대물 낚시를 포함한 정통 바닥 낚시부터 내림 낚시, 중층 낚시까지 전 장르 낚시를 즐길 수 있다.
9.3Km 2024-01-31
충청남도 아산시 시민로244번길 7-11 서천칼국수
서천굴칼국수는 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동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굴칼국수다. 굴을 듬뿍 넣어 걸쭉하게 끓여낸 육수에 달걀을 풀고 파를 얹어서 나온다. 굴 특유의 진한 향을 느낄 수 있고, 취향에 따라 양념을 넣어 먹기도 한다. 여름에는 콩국수도 인기 메뉴 중 하나다. 구기자 동동주와 굴파전을 함께 주문하는 사람도 많다.
9.5Km 2025-05-12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연암율금로 155
쌍둥이네 매운탕은 새우, 메기 등의 민물고기 매운탕으로 유명한 곳이다. 대표 메뉴는 민물새우를 듬뿍 넣은 민물새우 매운탕이다. 이 밖에 잡고기 매운탕, 메기 매운탕 등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돼 있어 단체 모임에도 적합하다. 오전 9시에 문을 열고 오후 9시에 영업을 종료한다. 쉬는 날 없이 연중무휴로 운영한다.
9.5Km 2024-06-17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평촌길50번길 147-20
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아산시가지 남부 용담사 경내에 보존된 불상이다. 이 거구의 석불입상은 화강암을 다듬어 만든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장륙불상(1장 6척)으로 통일신라 양식과 고려 양식이 섞여 있다. 상체가 짧고 하체가 긴 다소 불균형적인 모습이지만 얼굴과 옷 주름의 뛰어난 조각 솜씨 덕분에 미적으로 우수하다. 특히 단아한 얼굴, 맵시 있는 이목구비, 잔잔한 미소 등은 이 시기 독특한 불상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은 불상의 체구가 직사각형이면서 평면적이지만 손과 팔, 어깨와 다리의 형태를 능숙하게 표현한 점, 옷 주름을 묘사한 유려한 솜씨 등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선이 구불거리면서도 기하학적인 좌우대칭을 잘 지키고 있다. 그리고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약합(약그릇)을 들고 있는 모습은 중생들이 앓고 있는 심신의 온갖 병마를 없애주는 자비로운 약사여래의 모습을 잘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