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Km 2025-06-19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476번길 56 (비산동)
산마을민속촌은 경기도 안양시 비산동에 있는 한식집이다. 넓은 매장은 쾌적하며 황토벽과 나무기둥, 서까래 인테리어로 전통적 분위기이다. 구석구석 옛 정취가 묻어나는 모습으로 박물관처럼 볼거리도 많다. 매장 내부는 홀과 함께 온돌방도 있다. 대표메뉴인 보리밥은 기본 반찬 외에 각종 나물과 된장찌개가 나와서 비벼 먹는다. 영양돌솥밥은 조기구이에 12가지 각종 나물까지 나오므로 푸짐하고 누룽지까지 먹을 수 있다. 파전은 오징어를 듬뿍 넣어 두툼하고 바삭하게 부쳐내어 고소하다. 도토리묵도 인기인데 묵과 갖은 야채를 맛있는 양념장에 입맛을 돋우기에 좋다. 산마을민속촌은 색다르게 메뉴에 돈까스가 있어 어린이들과 동반한 손님들에게 인기다. 두툼한 고기를 부드럽고 , 바삭하게 튀겨내고 보리밥과 함께 제공하는데 양도 푸짐하다. 6km 이내에 백운호수, 국립과천과학관, 평촌중앙공원이 있다.
9.6Km 2025-01-07
경기도 광주시 새말길 21 (신현동)
경기도 광주 태재고개에 위치한 콩나물국밥 전문점이다. 메뉴는 콩나물, 콩나물 비빔밥, 녹두전 이렇게 세 가지뿐이다. 직접 담근 김치와 깍두기 반찬은 셀프이다. 해장국에 녹두전을 곁들여 먹으면 잘 어울린다. 콩나물 해장국은 국물이 시원하고 깔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먹기에 무난하다. 가격이 저렴하며, 콩나물은 무료로 추가할 수 있다.
9.6Km 2025-06-19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367 (비산동)
관악관은 경기도 안양시 비산동에 위치한 평양냉면 전문점으로, 1986년부터 3대째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음식점이다. 메밀을 주 재료로 한 평양냉면과 최고급 소고기를 사용한 불고기가 대표메뉴이다. 냉면의 면은 메밀을 사용하여 만들어 면발이 부드럽고, 육수는 최고급 소고기와 국내산 돼지, 토종닭으로 4시간 이상 끓여 진한 국물의 깊은 맛이 난다. 또 관악불고기는 자극적이지 않은 맛이며, 자작하게 끓은 양념에 밥을 비벼 먹어도 맛있다.
9.6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새말길 15 (신현동)
고향생각은 고등어조림과 갈치조림 쌈밥으로 유명한 곳이다. 이 식당은 고등어와 갈치구이에는 김이, 조림에는 쌈이 제공된다. 다양한 쌈채소 또는 김과 함께 고등어, 갈치를 함께 싸 먹으면 별미이다. 조림은 김치와 무, 우거지 등 다양한 재료를 건져먹는 재미도 있다. 가족과 부모님과 함께 든든하고 건강한 한끼를 먹을 수 있는 곳이다.
9.6Km 2025-07-03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168번길 9 (죽전동)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부근에 위치한 죽전야외음악당은 용인 시민의 여가와 문화생활 증진을 위해 2005년 11월 개관하였다. 2011년 출범한 용인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립된 죽전야외음악당은 공연장과 연습실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반원형 천장과 이와 연결된 금속 구조물 아래쪽에 158㎡ 규모의 무대와 680석의 층계식 객석을 배치하였고 뒤에 펼쳐진 잔디 객석은 자연스럽게 작은 숲속으로 연결되어 있어 야간 공연 시 인공조명과 자연의 숲이 어우러져 공연의 분위기를 고조시켜 준다. 죽전 주거단지 내 숲속에 자리하고 있어 자연 친화적인 문화공간으로의 특징을 갖고 있는 죽전야외음악당에서는 시민들이 참여하는 각종 문화행사 및 영화 상영, 공연, 연주회 등이 수시로 개최된다. 판교IC에서 약 17분, 수인분당선 죽전역에서 차량으로 약 4분 소요된다. 인근에 에버랜드, 한국민속촌, 한국잡월드, 세계문화유산 융건릉, 물향기수목원, 용인농촌테마파크, 덕평공룡수목원 등이 있다.
9.6Km 2025-06-18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평촌대로 389 (비산동)
안양시 비산동에 위치한 약 8,500평대 부지에 5,000여 명을 수용 가능한 국제규격의 인라인롤러경기장이다. 소정의 입장료를 내면 선수들이 사용하는 뱅크트랙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장비는 따로 대여하지 않으니 개인 지참하여야 한다. 축구장과 풋살장, 농구장, 족구장 등을 갖춘 비산체육공원이 같은 구역 내에 있으며, 인근 관악산 산림욕장 아래에 비산골 음식특화거리가 있어 생활체육인 뿐 아니라 가족 나들이객도 함께 즐길만하다. 1호선 안양역, 4호선 범계역에서 차량으로 약 10분 내외의 거리에 위치하고 지하철역에서 부근까지 버스도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도 용이하다. 인근에 관악산, 안양예술공원, 평촌중앙공원, 서울랜드, 서울대공원, 렛츠런파크서울, 백운호수 등이 있다.
9.6Km 2024-12-26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28길 4
개포동에서 가성비 맛집으로 숨은 맛집이다. 신선한 재료와 천연 조미료만을 사용하여 건강한 음식을 만든다. 메뉴는 샤브샤브와 코다리찜, 칼국수, 떡국, 굴국밥 등이 있다. 산지 직거래로 당일 공수한 신선한 재료와 천연 조미료로 맛을 내 자극적이지 않고 깔끔하다. 겨울에 가장 인기있는 메뉴는 시래기들깨떡국인데 들깨가루가 듬뿍 들어가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밀란국수의 모든 면에는 메밀이 함유되어 있어 면이 구수하다.
9.6Km 2025-08-08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314
죽현중앙공원은 흙을 밟으며 산책할 수 있는 공원으로 휴게공간, 운동공간, 놀이마당, 잔디광장으로 나누어져 있고 연못과 분수대, 바닥분수, 문화재 복원지가 있다. 자전거 보관대가 있어 자전거 이용시민도 불편 없이 접근이 가능하고 배수지 공원으로 이어지는 산책로엔 계절이 바뀔 때마다 꽃과 단풍이 절정을 이룬다. 운동기구가 설치돼 있고 러닝 가능한 원형 트랙, 4개의 배드민턴장, 지압길, 숲 속 산책로 등이 있다.
9.7Km 2024-06-05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10길 30-71
강남구 개포동과 일원동 남쪽에 있는 대모산(해발 293m)은 산의 모양이 늙은 할머니를 닮았다고 해서 할미산으로 불리다가 조선 태종 이방원과 그의 비인 원경왕후 민씨 묘인 헌릉이 대모산 남쪽에 조성되면서 왕명에 의해 대모산을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대모산에 조성된 대모산도시자연공원은 강남 일대에 거주하는 서울 시민들이 즐겨 찾는 도시자연공원이다. 대모산은 도시민이 즐겨 찾는 산인만큼 등산로가 많이 발달하였는데, 산행의 들머리는 강남구 개포동과 일원도, 서초구 내곡동 세 곳을 이용하면 된다. 대모산 둘레길에 무장애 나눔길이 조성되어 아이들이나 노약자들도 어렵지 않게 산책을 즐길 수 있다. 대모산 입구에 경작으로 훼손된 대모산을 토지 보상하고, 기존 지형을 이용한 다랑이 특성을 살려 돌담 사이로 다양한 야생화가 피어나는 야생화원도 둘러볼 수 있다. 또한, 공원 내에는 11종의 체력단련시설이 있으며, 주위의 산림과 조화를 이루도록 대부분 목재로 설치되었다. 이 외에도 임간교육장, 파고라 등의 편의시설이 있고, 다양한 나무 종이 심어져 있어 삼림욕에도 좋다. 약수터와 등산로가 있어 쉼터로도 좋으며, 수도권 지하철 일원역에서 약 63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9.7Km 2025-07-17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10길 30-71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불국사는 대모산에 위치한 유서 깊은 사찰로 고려 공민왕 2년(1385) 진정국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창건 당시 사명은 약사절로 절 아랫마을 농부가 밭을 갈다가 땅 속에서 돌로 만든 부처님이 나와 마을 뒷산에 모시고 있다가 진정국사가 현 위치에 절을 짓고 약사부처님을 모신 절이라 해서 약사절로 불리었다. 그 후 조선말 고종황제가 대모산 남쪽 헌인릉에 물이 나는 것을 보고 당시 주지스님에게 방지책을 문의하니 대모산 동쪽(현 성지약수터)에 수맥을 차단하면 된다고 하여 그렇게 하니 신기하게 물이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이를 고맙게 여긴 고종황제가 불국정토를 이루라는 뜻에서 불국사란 사명을 내렸다고 한다. 그러나 6·25전쟁으로 인해 사찰이 소실되고 약사부처님만 남았는데 1964년 관악산 삼막사 주지였던 권영선 스님에 의해 법당 칠성각 나한전 요사 2동이 건립되었다. 그 후 절이 낡고 협소하여 1993년부터 현 주지스님에 의해 약 3년간의 불사 끝에 나한전을 제외한 전 건물을 헐고 현 법당을 건립하고 본존 약사부처님을 모시고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상단 목탱화, 신중 목탱화 등을 새로이 봉안하였다. 특히 약사부처님은 600년 이상된 고불로서 원근 각처에서 기도 발원하여 소원을 이루고 가피를 입은 영험 있는 부처이며, 탱화 역시 목재로써 조각하여 정교하며 장엄한 문화적 가치가 있는 성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