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로그 현상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필름로그 현상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필름로그 현상소

5.6Km    2024-05-20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53길 6-17

필름로그 현상소는 서울 중구에 위치해 있는 필름 카메라의 성지다. 다양한 필름카메라, 일회용카메라, 필름을 이용한 굿즈와 제품들을 구매 할 수 있으며, 필름현상도 가능하다. 또한 필름로그 현상소는 한 번 사용하고 버려지는 일회용 카메라를 재탄생 시킨 업사이클 카메라를 만들고 있으며, 업사이클 카메라를 사용 후 가게에 돌려주면 무료 현상과 스캔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사장님의 환경에 대한 사랑으로 재탄생한 업사이클 카메라를 만드는 방법을 필름로그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자라나는 숲(광진숲 나루 전망대)

자라나는 숲(광진숲 나루 전망대)

5.6Km    2025-08-27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광진숲나루 전망대 ‘자라나는 숲’은 서울 5호선 광나루역 1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한 공공예술 작품이다. 16개의 구조 기둥과 189개의 스킨 기둥이 숲을 형상화하며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이룬 독특한 조형미를 지닌 건축물이다. 기둥 상부의 전망 공간은 지상 약 17m 높이에 설치되어 한강, 아차산, 서울 도심을 360도로 조망할 수 있다. 기둥 아래 심어진 덩굴식물은 전망대 구조물을 따라 자라며 주변 자연과 어우러지는 생태적 특성을 가진다. 일몰 후부터 오후 10시까지는 기둥 끝과 하단에 조명이 점등되어 전망대 전체가 신비로운 야경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홈플러스 동대문

5.6Km    2024-03-2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천호대로 133 (용두동)

-

밀알미술관

5.6Km    2024-11-18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90

일원동 밀알아트센터에 있는 밀알미술관은 1999년 설립자인 홍정길 대표가 각별한 마음으로 수집한 작품들을 모은 것이 계기로 시작된 미술관이다.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이 미술을 통하여 사랑을 나누고 유대감을 형성하는 문화의 장으로 기틀을 마련하고자 계획하게 되었다. 밀알미술관의 전시와 컬렉션에는 3가지 특색이 있다. 첫째 북한의 그림들을 모으고 복원하여 한국 미술사에 잃어버린 시간을 작품을 통해 연결하고 있으며, 둘째, 중국, 러시아, 동유럽권에 이르기까지 매년 뛰어난 해외 작가들과 교류하고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셋째, 마지막으로 재능있는 신인 작가와 장애 작가들을 발굴하여 전시를 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밀알미술관은 서울 지하철 3호선 일원역 7번 출구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다.

카페 마나랑

카페 마나랑

5.6Km    2025-03-18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49길 37 (석촌동)

카페 마나랑은 커피를 마시며 책을 읽고 LP를 청음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100석 이상의 좌석이 구비되어 있다. 수백 권의 책과 여러 가지 LP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인 작업을 위한 공간과 6인 단체석 또한 구비되어 있다. 1층 입구는 전시장을 대각선 방향으로 제작하여 곳곳에서 책을 꺼내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1층 옆 공간은 정원공간을 통창으로 보며 앉을 수 있는 자리와 바에 앉아 있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2층에는 턴테이블 10개의 좌석과 별도의 방음처리가 되어있는 청음실도 마련되어 있다. 보통의 분위기는 잔잔한 재즈 클래식을 BGM으로 틀어 손님들이 본인의 방문한 목적에만 집중할 수 있는 조용한 분위기를 갖고 있다.

해방촌마을

5.6Km    2024-11-06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3가길 66

해방촌은 1945년 광복과 함께 고향을 떠나온 실향민과 해외에서 돌아온 사람들, 그리고 전쟁을 피해온 사람들이 남산 밑의 언덕에 정착하면서 해방촌이라 불리게 되었다. 서울 남산 주변으로 용산구 용산동 1가와 용산동2가에 걸쳐있는 마을로 서울의 대표적 달동네인 해방촌은 1979년에 용산재개발지구로 선정되어 주택건립사업을 하였으나, 좁은 골목과 언덕 등 달동네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21년 용산구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관광객들이 테마를 통해 마을을 들러볼 수 있도록 환경이 개선되었고, 해방촌 명소 ‘108계단’에는 경사형 승강기가 설치되었다.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이태원 클라쓰>. <동백꽃 필 무렵>, <소니 카메라 광고> 등 여러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잘루스

5.6Km    2024-01-04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44길 12 뉴금호타워

잘루스는 동대문 역사문화공원에 위치한 몽골 현지인이 운영하고 있는 정통 몽골 식당이다. 양갈비, 만두, 소고기 굴라쉬 등 주로 고기가 들어간 메뉴들로 되어 있으며 몽골 현지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가격도 저렴하여 가성비가 넘치는 곳이다. 색다른 정통 몽골 음식을 맛보고 싶다면 잘루스를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비노인빌라

비노인빌라

5.6Km    2025-01-03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19길 14
02-599-7020

비노인빌라는 서초동 예술의 전당 맞은편에 위치한 세미클래식 풍의 이탈리아 레스토랑이다. 이탈리아 남부 지방의 스푸만테(이탈리아 샴페인) 축제 이름인 VINO IN VILLA는 아치형의 테라스와 편안하고 아늑한 홀, 단체 모임에 적합한 따뚯한 느낌의 룸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코스요리와 스테이크, 리퀘스트가 가능한 매일 신선하게 준비되는 생면요리와 전용 셀러에 잘 보관된 200여 종에 달하는 와인을 선택할 수 있다.

해방촌 혼고

5.6Km    2025-01-16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 89

해방촌 혼고는 서울 용산동 해방촌에 위치한 화로구이 전문점이다. 이곳은 1인 메뉴가 있는 곳으로 혼자서도 고기를 우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인기메뉴는 소고기, 닭목살, 버섯, 소시지, 구워 먹는 치즈, 하이볼로 구성된 싱글세트이다. 이외에도 매주 바뀌는 오늘의 소고기라는 메뉴와 감바스, 오이샐러드, 구워 먹는 치즈, 버터간장계란밥 등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인근에 남산이 위치하여 함께 관광하기 좋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5.6Km    2024-12-06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꿈꾸고(Dream), 만들고(Design), 누린다(Play)는 뜻을 가지고 있는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이다. 2014년 3월 21일 개관한 이래 굵직한 전시와 패션쇼, 신제품 발표회, 포럼과 콘퍼런스를 개최해오고 있다. 알림터, 배움터, 살림터, DDP 디자인 뮤지엄, 디자인 장터와 어울림 광장, 동대문 역사 문화공원으로 나뉘었다. 알림터에서는 서울패션위크, MAMA(Mnet Asian Music Awards), 반클리프 아펠전, BMW 신차 발표회 등을 개최했고, 다목적 연회 공간인 국제회의장 시설을 갖추었다. BTS 주제전과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 등이 열렸던 배움터, 누구나 디자이너가 되는 곳을 주제로 2019년 개장한 시민 라운지 ‘D-숲’과 DDP 관련 기념품을 소개하는 DDP 디자인 스토어를 아우르는 살림터까지, 규모에 걸맞은 내실로 관람객의 흥미를 북돋운다. 식당과 베이커리, 카페가 들어선 디자인 장터 역시 감성 충전을 기대하는 가족이나 연인을 만족시키고도 남을 산책 코스다. SNS 상에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야경 사진이 범람하는 데는 이유가 있는 법이다.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설계하며 “이른 새벽부터 밤이 저물 때까지 쉴 새 없이 변화하는 동대문의 역동성에 주목해 곡선과 곡면, 사선과 사면으로 이뤄진 특유의 건축 언어로 자연물과 인공물이 이음매 없이 이어지는 공간을 만들어냈다"라고 밝혔는데, 해 질 녘 조명이 켜진 후 건축물에 오롯이 집중할게 될 때 곡선 부가 주는 역동성의 진가가 드러난다. 야경 사진을 찍기 좋은 지점은 어울림 광장 진입로로, 내부의 웅장함과 건축물의 신비로운 소재가 연출하는 분위기를 담을 수 있다. 알림터와 배움터를 나누는 살림터 문 앞은 내외부의 현란한 곡선과 조명이 정점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