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Km 2025-05-13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로81번길 22 (별내동)
싱싱목장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위치한 정육식당으로 유명인들이 많이 다녀간 고기 맛집이다. 정육점 가격으로 최고의 맛을 보장하는 이곳은 신선한 한우와 한돈을 1층 정육점에서 직접 고른 뒤 2층 식당에서 먹을 수 있다. 상차림비는 별도 비용을 지급해야 한다. 한우 제비추리, 등심, 치마살, 부채살, 육회 등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다.
6.2Km 2024-04-30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356
도봉산과 사패산 중간의 회룡능선에 위치한 원효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원효대사(617년 ~ 686년)가 수도한 곳으로 북한산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지하철 1호선 망월사역에서 약 50여분 가량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당도하는데, 바위굴을 좋아했던 원효대사의 수행처 답게 바위 절벽으로 둘러싸인 곳에 위치해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며, 경기도 전통사찰이다.원효사는 현재 남아 있는 사적 기록이 전혀 없어 정확한 창건연대와 무슨 연고로 멸실 되었는지 알 수 없다. 하지만 원효대사가 이곳 석굴(지금의 나한전)에서 수도했다 전하며, 이후에도 많은 선승들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정진하였던 곳이었던 것 같다. 1954년 재창될 때 이를 증명하는 많은 불기(佛器)와 깨진 그릇, 수저, 기왓장 등의 고려•조선 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화폐의 연대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숭령보중(崇寧寶重)이라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기도 했다. (숭령은 송나라 휘종(徽宗) 때인 1102년에서 1106년 사이 5년간 사용된 연호이다.) 1956년 비구니 우일이 이곳의 석굴을 발견하고 수도하면서 복원사업을 시작하였는데, 원효대사가 안거하며 기도하던 곳이라 하여 절이름을 원효사라 하고, 원효대사의 동상을 세웠다. 이와 나란히 송담 정은(1927~ ) 대선사의 동상도 함께 세워져 있다. (송담 정은은 평생 은둔 수행자로 살면서 10년 묵언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어 일명 묵언선사라 불리운다.) 또 그 옆에는 7층 석탑이 있는데 일제 강점기 대마도 번주였던 소요시토시(1558~1615) 가문이 1910년대에 전북 서남부 지역에서 대마도로 옮겨갔던 것이다. 이후 나가사키의 미키 코진이라는 사람의 저택에 2007년까지 세워져 있었고 이를 일본의 한 대학에 교수로 재직하던 조선통신사 연구자 홍종필 교수가 알고 국내 반환을 추진한 끝에 이곳 원효사로 이건 되었다. 그 외에도 1626년(인조 4) 3월, 궁녀인 상궁 최씨의 발원으로 완성된 한글 사경인 의정부원효사묘법연화경(議政府元曉寺妙法蓮華經)을 소장하고 있으나 일반 공개는 하지 않고 있다. 이 사경은 한글 표음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원효사는 차량진입이 어려운 산중에 있어 대중교통 이용 후 도보 이동을 권장하지만, 산 초입에 있는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에 주차할 수는 있다. 하지만 이곳도 협소한 편이다. 사패산 등산코스로 연계해 함께 둘러보기 좋으며, 인근에 의정부 동부광장, 망월사, 도봉산, 수락산, 장흥유원지 등이 있다.
6.2Km 2024-01-24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40 덕화가든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불암산 자락에 있는 오리와 닭 요리 전문점이다. 입구에 다다르면 커다란 조형배가 나무에 매달려 있고 그 밑에 간판이 보인다. 연못이 있는 정원 등 여러 곳에 조경수로 배나무가 있어 배꽃 개화 시기인 4월 중순 경부터 흰배꽃이 만발한다. 이 시기에는 예약하는 것이 좋다. 요리 주 재료는 오리와 닭이다. 조리시간이 1시간 이상 걸리는 닭볶음탕과 오리찜 등은 조리 시간을 감안하여 예약 후 방문하면 좋다. 메인 요리는 보통 3~4인분이다. 음식점 뒤뜰에 배밭이 있어 배 수확철에는 배와 배즙을 판매한다. 가까이에 삼육대학교, 태릉선수촌, 세계문화유산 강릉이 있다. 가족모임하기 좋은 장소이다.
6.3Km 2024-01-03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9길 (86, 종암2차)
파스타얼론은 국내산 대추토마토, 100% 자여산 동물성 생크림, 자연산 치즈 등 좋은 재료만을 선별해 요리한다. 48시간 이내 볶은 원두로 내린 신선한 커피와 부드러운 셰이크도 함께 즐길 수 있다. 독서실처럼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고, 식기도 일회용으로 매우 위생적이다. 파스타와 수프는 아래에 양초와 함께 나와 끝까지 따뜻하게 먹을 수 있다. 비주얼도 맛도 매우 훌륭하다.
6.3Km 2025-07-24
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809 (정릉동)
돈암동 아리랑고개는 성북구 돈암동에서 정릉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를 뜻한다. 서울시내 전체 가로명 가운데 대로나 로, 길이 아닌 아리랑고개로 불리는 유일한 도로로서 유서 깊고 친근한 고개이다. 정릉으로 가는 고개라서 정식 명칭은 정릉 고개였으나 1926년 나운규가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 <아리랑>을 이 고개에서 촬영하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아리랑 고개로 불리었다. 한국 영화의 선구자인 춘사 나운규를 기리기 위해 지금은 돈암동 아리랑고개 일대를 아리랑 영화의 거리로 명칭을 바꾸었다. 길을 따라 걷다 보면 나운규 공원과 아리랑 시네센터를 둘러볼 수 있다.
6.3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별내동)
남양주 흥국사는 수락산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원광이 창건한 사찰이다. 화랑도의 세속오계를 만든 원관이 창건했던 당시에는 ‘수락사’라 불리었다. 그 후 1568년(선조 1) 선조가 생부인 덕흥대원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수락사에 원당을 짓고 ‘흥덕사’라는 편액을 하사하였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16대 왕 인조 때 중건되어 흥국사로 바꾸었다. 선조는 그의 아버지 덕흥대원군의 묘를 흥국사 근처에 세우면서 아버지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흥국사를 크게 중수했다고 한다. 그때부터 흥국사는 조선 왕실의 사찰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의 묘소가 있어서 ‘덕절’이라고도 한다. 흥국사에는 많은 문화재를 곳곳에서 볼 수 있다. 흥국사를 대표하는 문화재는 등록문화재인 ‘대방’이며, 이 대방의 흥국사라는 현판은 조선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직접 쓴 것이다. 흥선대원군의 글씨는 전각마다 등장한다. 영산전 현판과 주련, 만월보전 주련 등에도 흥선대원군의 흔적이 남아있어 고종 대까지 왕실의 사찰로서 그 명성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경기도 문화재자료인 대웅보전은 흥국사의 중심 건물로 여러 번의 화재로 소실과 중수의 과정을 지나 지금에 이르렀으며, 대웅전 안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목조석가삼존불좌상’이 있다. 또, 경기도 유형문화재 영산전과 영산전 내부에는 보물 ‘소조 석가여래 삼존 좌상 및 16나한상’이 있다.
6.3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30-2 (별내동)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숯불 돼지갈비 전문 음식점이다. 실내 좌석과 야외 좌석이 있다. 야외 좌석은 비닐하우스로 된 대규모 좌석이다. 시그니처 메뉴는 배를 갈아 넣어 양념한 참배 돼지갈비이다. 생삼겹, 소 생갈비, 소 양념갈비를 숯불에 구워먹고, 식사로 김치찌개, 우거지 갈비탕, 비빔 냉면, 물 냉면, 된장찌개를 먹을 수 있다. 별도 비용으로 게장을 추가할 수 있다. 주차장 중간중간에 사과나무가 있어, 사과가 열리는 시기에 방문하면 나무에 사과가 달린 것을 볼 수도 있다. 외부 공간에 그네, 벤치 등이 있어 식사 후 휴식하기 좋다. 가까이에 경춘선 폐철로를 이용한 경춘선 숲길, 태릉, 강릉, 불암산이 있다.
6.4Km 2025-06-11
서울특별시 성북구 아리랑로 82 (돈암동)
02-6906-3116, 3117
성북청춘불패영화제는 젊은 영화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지하며 2021년 첫발을 내디뎠다. 젊음이라는 공통의 조건 속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청춘들의 참신한 발상과 날카로운 시선, 빛나는 이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며, 지금 이순간 자신의 몫을 다하고 있는 이들의 불패(不敗)함을 응원한다.
6.4Km 2025-01-16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로 59
스테이564는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로에 있는 레스토랑 &카페이다. 넓은 주차장과 모던한 인테리어와 청결함이 돋보이는 음식점이다. 시금치 플렛 브레드와 시금치 크림 파스타가 대표 메뉴이며 런치 한정세트도 있다. 매장의 분위기가 좋아 데이트 코스로도 인기가 좋다. 야외테라스도 있어 식사 후 산책하며 음료를 즐기기에도 좋다.
6.4Km 2025-07-23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21길 116 (신내동)
옹기테마공원은 봉화산 일대에 화약고가 들어서기 전 신내동 일대에 옹기터가 8개나 존재했던 점에 착안해 화약고를 이전하며 옹기터를 복원했다.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인 옹기의 역사를 알 수 있으며 옹기 체험도 할 수 있는 테마공원이다. 공원은 9,000㎡ 면적에 한지체험장, 옹기체험장, 목공예체험장, 중앙광장, 데크광장, 옹기정원, 전통옹기가마, 전망대, 북카페가 들어서 있다. 옹기체험장에서는 전문 강사에게 옹기의 역사와 특징을 배우고 그릇, 컵, 작은 항아리 등을 만들어 볼 수 있으며 월별로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있다. 한지체험장에서는 한지를 활용한 다양한 공예작품을 만들고 전통 체험을 즐길 수 있다. 공원 정상의 전망대에서는 공원과 배밭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지하철 6호선 4번 출구에서 550m 거리에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