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Km 2025-04-18
서울특별시 성동구 살곶이길 327 (행당동)
성동 AI·미래기술체험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인 코딩, 로봇, 드론, 3D프린터, VR·AR 등을 직접 체험하고 제작해 보며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함께 기를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한다. 미래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체험중심의 교육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기술 체험 넘어 미래역량을 갖춘 새로운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교육은 성동구 구민, 관내 학교 학생, 관내 소재 직장인 대상으로 진행한다.
4.3Km 2025-01-03
서울특별시 성북구 솔샘로25가길 8
성북구 정릉초교 뒤편에 620m 무장애 숲길을 포함한 총 2.4km 북한산 자락길이 있다. 무장애 구간 바닥은 휠체어가 지날 수 있게 목재데크로 평평하게 설치되어 있어, 소나무·잣나무 숲 터널을 가로지르며 삼림욕을 즐길 수 있다. 책을 읽을 수 있는 북카페를 포함한 휴식 공간 및 정자가 설치되어 있어 보행약자들도 무장애 숲길에서 도심 속 자연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4.3Km 2024-01-0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13길 19
인더베이글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저칼로리, 저지방, 저당분의 정통스타일 수제베이글 맛집이다. 경희대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베이글과 함께 샐러드, 샌드위치도 맛볼 수 있다. 다양한 수제 크림치즈가 준비되어 있어 베이글과 함께 먹기 좋다. 음료와 함께 주문 시 할인도 되어 가성비가 좋다.
4.4Km 2024-01-30
서울특별시 중구 만리재로 193 (만리동1가)
콤바크는 만리동 서울 끝자락에 위치한 양식집이다. 5m의 탁 트인 높은 층고와 따뜻한 우드톤의 인테리어가 어우러져 있는 공간이다. 낮에는 커피와 브런치를, 저녁에는 분위기 있는 조명 아래에서 와인과 디너를 즐길 수 있다. 대표메뉴는 콤바크 플레터이며, 새우 레몬 허브 파스타, 트러플 감자뇨끼, 프렌치토스트 등 다양한 브런치와 식사가 준비되어 있다.
4.4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
서울 성동구 응봉산 아래 중랑천 변에 위치한 체육공원으로 축구, 테니스, 야구 등 다양한 종목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이 있다. 시원하게 뚫린 천변에 인조 잔디가 깔린 축구장과 화려한 색깔로 새롭게 변신한 농구장이 인기가 많으며, 운동에 관심 있는 구민들의 이용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개보수를 하면서 안전 펜스와 안전 패드를 설치해 더욱 안전하게 농구를 즐길 수 있다. 축구장, 풋살장, 족구장은 성동구도시관리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대관 신청을 해야 사용할 수 있다.
4.4Km 2025-04-08
서울특별시 용산구 두텁바위로1가길 47 (후암동)
후암거실은 서울역 인근에 위치한 곳으로, 나만의 공간에서 영화를 볼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이다. 남산과 서울타워를 바라보며 홈 시어터 시설(4K 지원 빔과 5.1 채널 스피커)이 완비된 공유거실에서 연인이나 친구와 함께 우리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이다. 내부는 청록색 소파와 원목의 가구들로 눈길을 이끄는 세련된 인테리어로 꾸며놨다. 후암거실의 1층과 2층은 카페 후암연립으로 간단한 음료와 디저트, 주류를 주문할 수 있다. 남산타워가 한눈에 보이는 야경을 감상하며 조용하고 편안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4.4Km 2025-07-24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3길 56 (회기동)
연화사는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천장산 자락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직할 말사이다. 서울 동부 도심 한복판에 자리한 회기동은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묘소인 회릉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현재 그 터에는 그녀의 원찰로 지어진 조그마한 절이 있다. 일체중생의 근본이 진흙 속에서 피어나는 청정한 연꽃과 같다는 의미에서 연화사라 불렸는데, 이후 묘련이라 불리기도 했다. 이는 모두 연꽃의 청정함을 상징하는 것으로 연산군이 생모 윤씨의 명복을 빌고 비명에 간 원혼을 천도하기 위한 도량으로서, 연꽃의 기능 중 화생의 의미로 붙인 이름인 듯하다. 현재는 회릉이 서삼릉으로 이전되고 그 자리에 경희여중·고등학교가 설립되면서 옛 모습은 찾을 수 없지만 그 터 아래 조그마한 사찰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지금은 울창한 수풀에 둘러싸인 전형적인 사찰의 모습이 아니라 도심 속 사찰로 변모했지만 사찰에는 폐비 윤씨는 물론 선의왕후의 원찰로서 많은 상궁이 조성한 불화들이 남아 있어 왕실 원찰로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