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Km 2024-05-30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298
서울 중구 동대문 평화시장 길 건너편에 위치한 5층 규모의 패션타운으로 1,200여 개의 점포와 3,000여 명의 상인들이 영업 중이다. 1층 외곽은 스포츠 의류와 액세서리 상가, 안쪽에는 속옷 및 란제리, 양말류 상가가 들어서 있다. 2층은 숙녀복과 신사복, 3층은 영캐주얼 의류와 정장류, 4층은 숙녀복, 청바지, 티셔츠 등을 취급하는 수출 전문매장으로 중국, 일본, 대만, 인도, 필리핀, 몽골 등 다양한 나라의 바이어들이 방문하고 있다. 1969년 12월 건립 당시에는 신평화시장이라 불렸었고 1999년 01월 신평화패션타운으로 명칭을 바꿔 영업 중이다.
1.1Km 2024-11-26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343-1
02-2272-0003
96번지 트래블러스 롯지는 지하철 2, 4,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번 출구에서 걸어서 1분이면 도착하는 편리한 위치를 자랑한다.
1.1Km 2025-01-2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22-10 (창신동)
02-743-1294
호텔큐비(QB)는 서울 동대문역에서 도보 3분 거리에 위치하고 공항버스가 지나가는 길목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객실은 1인 여행객을 위한 싱글룸부터 쿼드룸까지 다양하고, 스튜디오와 피팅룸이 있어 피팅촬영이 가능하다. 전자레인지, 정수기, 냉장고 등이 구비된 카페도 있다. 여행 편의를 위해 맞춤 여행 컨설팅 및 무료 수하물 보관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근에 동대문역사문화공원, 패션도매상가, 동묘 벼룩시장 등이 있다.
1.1Km 2024-01-10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24 (을지로5가)
나인트리 호텔 동대문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근처에 있는 호텔이다. 다양한 객실, 레스토랑, 휴게공간, 비즈니스 코너, 코인 세탁실, 락커룸이 있다. 1층은 입구로 엘리베이터만 있고, 프론트 데스크는 3층에 있다. 체크인은 데스크 외에 키오스크로도 빠르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객실이 있는데 이층 침대가 있는 패밀리룸도 있어서 가족 객실로 이용할 수 있다. 2층에는 조식을 먹을 수 있는 레스토랑이 있고 3층에는 라운지가 있다. 다만, 주차가 불가하여 주변의 유료 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12번 출구에서 400m에 있다. 인근에는 동대문 패션타운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근접해 있어서 쇼핑과 문화를 즐기기에 최적의 장소이다.
1.1Km 2025-01-06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27
02-744-2199
뿌자란 힌두어로 (신에게) 빈다/기원한다는 뜻으로 다양한 문화와 음식을 접할 수 있는 곳이다. 기름기 없는 담백한 맛의 난(화덕 안에 구워낸 인도 전통 빵)과 인도·네팔 전통음식 탄두리치킨, 다양한 커리를 맛볼 수 있다. 현지에서 온 요리사가 현지에서 가져온 향신료와 재료만을 사용해 인도, 네팔 현지의 맛을 느낄 수 있게 한다.
1.1Km 2024-07-08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282-10
1980년 설립된 남평화상가는 서울 중구 장충단로에 위치한 가방 및 의류 전문 도매상가로 ‘남평화시장’으로 주로 불리며 건물 간판명에는 ‘패션남평화’로 쓰여 있다. 3층 규모 건물에 약 700여 개의 점포가 영업 중이며, 밤 8시부터 영업을 시작한다. 2, 3층은 남녀 캐주얼 의류매장으로 오후 8시부터 새벽 6시까지 영업하고, 1층과 지하 1층의 가방 도매상가는 밤 12시부터 낮 12시까지 영업을 한다. 지하철 4호선 동대문역 7번 출구, 1호선 동대문역 6번 출구를 이용하면 된다.
1.1Km 2025-04-02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창덕궁(昌德宮)은 1405년(태종 5)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離宮)으로 창건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궐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다. 이후 역대 왕들이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 년 동안 창덕궁을 더 많이 사용하여 실질적인 법궁의 역할을 하였다. 특히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이기도 하며,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인 순정황후(순종의 두 번째 황후),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고종의 딸)가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창덕궁은 창경궁(昌慶宮)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 창덕궁은 다른 궁궐에 비해 인위적인 구조를 따르지 않고 주변 지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자연스럽게 건축하여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라는 평가를 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창덕궁 후원은 1406년(태종 6) 창덕궁 북쪽에 처음 조성된 후원은 세조 대에 확장하였고, 성종 대에 건립된 창경궁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었다. 후원 권역은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소실되었고, 1610년(광해군 2)에 다시 조성되었다. 이후 인조, 숙종, 정조, 순조 등 여러 왕들이 개수하고 증축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창덕궁 후원은 자연 지형을 그대로 살리면서 골짜기마다 아름다운 정자를 만들었다. 4개의 골짜기에는 각각 부용지(芙蓉池), 애련지(愛蓮池), 관람지(觀纜池), 옥류천(玉流川) 영역이 펼쳐진다. 왕가의 휴식과 산책을 위한 곳이지만, 여러 가지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였다. 자연 풍광을 느끼면서 시를 짓고 학문을 논하는 것을 포함하여 군사훈련 등의 활쏘기 행사, 연못에서 낚시를 하거나 배를 띄우기도 하고 꽃구경을 하였으며, 화약을 이용한 불꽃놀이도 하였다. 또 대비를 모시는 잔치, 종친이나 신하를 위로하는 잔치 등 임금이 주관하는 잔치도 자주 열렸다. 또한 왕은 이곳에 곡식을 심어 농사를 직접 체험하고, 왕비는 양잠을 직접 시행하는 친잠례(親蠶禮)를 열었다.
1.1Km 2025-03-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1522-2295
창덕궁 달빛기행은 은은한 달빛아래 녹음이 어우러진 창덕궁에서 전문해설사와 함께 궁궐의 곳곳을 관람하며, 각 전각에 대한 해설과 전통예술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돈화문 공사로 인해 창덕궁 금호문에서 출발해 진선문 · 인정전 · 희정당 · 낙선재 · 상량정 · 부용지 · 불로문 · 애련정 · 연경당 · 후원 숲길 등을 관람할 수 있다.
1.1Km 2025-07-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낙선재는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낙선재 일원은 조선 24대 헌종이 후궁 경빈 김씨를 맞이하면서 1847년(헌종 13)에 창경궁 낙선당 터에 낙선재를 지었고, 이듬해에 석복헌(錫福軒)과 수강재(壽康齋)를 지었다. 낙선재는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로 사용하였고, 석복헌은 경빈의 처소, 수강재는 당시 대왕대비였던 순원황후 김씨(순조의 왕비)의 처소로 사용되었다. 특히 이곳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후 순정황후 윤씨와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 등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가족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하다. 낙선재 일원은 단청을 하지 않은 소박한 모습이고, 낙선재 뒤로는 후원을 만들었다. 건물과 후원 사이에는 작은 석축들을 계단식으로 쌓아 화초를 심었고, 그 사이사이에 세련된 굴뚝과 괴석들을 배열했다. 궁궐의 품격과 여인의 공간 특유의 아기자기함이 어우러진 대표적인 정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