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성수동1가)
기존의 노포 맛집으로 이어가던 대성갈비가 2호선 뚝섬역 6번 출구 인근으로 이전하여 훨씬 더 쾌적해진 장소에서 손님을 맞이하고 있다. 메뉴는 돼지갈비, 목살, 소갈비, 삼겹살 등이 있으며, 점심에는 백반 메뉴도 인기가 많다. 계란찜과 양념게장을 포함한 기본 반찬도 다양하게 제공되며, 고기와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는 쌈채소, 양송이버섯, 떡 등도 제공이 된다.
6.4Km 2025-08-05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174 (장충동1가)
52년 전 지금의 장충동 족발거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만정 빌딩이라는 건물이 있었는데 그곳에 두 개의 족발집이 문을 열면서 장충동 족발집의 역사는 시작됐다. 그 두 족발집은 1년 터울을 두고 문을 열었고 지금까지 족발거리에서 장사를 하고 있다. 맨 처음 문을 연 한 식당에서 처음부터 족발을 메뉴에 올린 것은 아니다. 빈대떡과 만두를 주메뉴로 식사와 술을 팔던 그 식당에서 손님들이 든든하면서도 싸게 먹을 수 있는 술안주를 원했고 주인 아주머니는 어릴 때 기억을 되살려 족발을 안주에 올리게 됐던 것이다. 그 집 아주머니의 고향은 평북 곽산, 그러니까 평안북도에서 먹었던 족발 요리가 장충동에 터를 잡게 됐다. 그 아주머니의 어머니가 겨울이면 돼지를 통째로 잡아 걸어 놓고 고기 요리를 해줬는데 그중 꼬들꼬들하게 마른 족발 요리의 맛이 아주머니의 입맛과 마음에 남아있었다. 이렇게 시작된 장충동 족발은 70년대 후반과 80년대 초반을 거치면서 이름을 타게 되고 덩달아 지금의 족발거리에 식당들이 줄지어 생기기 시작했다. 이렇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게 장충동 족발거리다. 지금도 큰길과 좁은 골목에 10여 집이 옹기종기 모여 옛 맛을 지켜가고 있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의 변치 않는 사랑을 받으며 수십 년 동안 족발거리의 명성을 지켜온 것은 푸짐하고 맛 좋은 족발 때문일 것이다. 족발을 만드는 집마다 그 맛의 차이가 조금씩 난다는 게 이 거리의 아주머니들 설명이다. 족발 거리에서 족발과 함께 빈대떡과 파전 등 곁들여 나오는 다른 음식도 즐겨볼 만하다.
6.4Km 2024-08-16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이로7길 41-1 세진섬유
옹근달은 서울지하철 2호선 성수역 4번 출구 인근에 있다. 주차가 힘든 성수동에서 주차가 되는 곳이다. 이곳은 루프탑을 포함해 3층으로 이루어진 건물로 1층 야외에는 연못이 있고 루프탑도 이용할 수 있다. 메뉴로는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밀크티, 쑥라테, 수제에이드, 롱블랙, 플랫화이트 등 다양한 메뉴가 있다. 방송사 맛집 프로그램에 크로핀과 밀푀유가 소개된 카페이다.
6.4Km 2024-03-12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20길 26-1
010-9083-9616
다양한 음료를 판매하고 있는 카페이다. 대표메뉴는 아메리카노이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카페다.
6.4Km 2025-07-28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174-6 (장충동1가)
02-2279-9759
50여 년 전통의 장충동 족발거리에 위치한 유명 맛집이자 원조집으로 소문난 평안도족발집이다. 족발 본연의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있어 족발 마니아들의 단골 맛집 중 하나로 꼽힌다. 다른 족발집과 다르게 족발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꺾어 안쪽에 위치해 있으므로 방문 시 주의가 필요하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 <식객>에서 ‘평안도 족발집’을 족발 메뉴 개발자로 소개하고 있다.
6.4Km 2021-03-1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94
02-761-5285
일본 라면의 본토 맛을 느낄 수 있는 라멘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라멘이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는 일식전문점이다.
6.4Km 2024-12-3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394
02-780-8858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있는 서글렁탕은 양념장에 재워 먹는 색다른 삼겹살 전문점이다. 양념에 계핏가루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 맛과 향이 돼지고기 잡내와 느끼함을 잡아준다. 삼겹살 외에도 소갈비살, 콩팥, 선지해장국이 있다. 담백한 선지해장국 맛이 고기를 먹은 뒤 식사하기에 부담이 없다.
6.4Km 2025-07-22
서울특별시 성동구 뚝섬로9길 20
성수다락은 지하철 2호선 성수역 3번 출구 성수 2가 1동 행정복지센터 부근 경수중학교 사이에 있다. 주택가 골목길에 매장이 있어 별도 주차장은 없다. 다락은 3층 단독주택을 개조해서 만들었다. 1층 테라스는 제주도 콘셉트로 출입구는 액자 문이다. 안으로 들어서면 아기자기한 테이블과 의자가 잘 세팅되어 있다. 대표 메뉴는 다락오므라이스, 다락로제, 찹목살스테이크, 매콤크림파스타 등이 있다. 추가 메뉴로 리소토, 가츠산도, 크림어니언, 감자튀김 등이 있다. 주변에 뚝섬, 서울어린이대공원, 서울숲이 있어 식사 전후에 둘러보기 좋다.
6.4Km 2024-06-05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276
서울 용산구 만리 고개(서울역 뒤편)에 위치한 만리시장은 3층 건물로 된 종합상가식 시장으로, 1968년 개장한 50년 역사의 전통시장이다. 1970년대 초기에는 노점상이 많았으나 차츰 상가 형태를 만들어 가면서 오늘날의 시장 형태를 갖추었다. 당시 만리동 시장은 규모가 꽤 커서 타 지역 사람들도 자주 찾는 시장이었다. 하지만 대형 마트의 등장으로 현재는 시간이 멈춘 듯한 옛 재래시장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어 2016년 ‘서울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
6.4Km 2025-04-02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마포동)
마포 전차 종점은 현재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마포역에서 마포대교 진입 구간을 이른다.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말까지 서울 중심부를 오가던 전차의 종점이 있던 곳이다. 이 장소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점으로 1919년 3월 1일 오후 8시경 약 1,000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 만세 시위를 벌인 3·1 운동 만세 시위지이다. 1919년 3월 1일,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식을 거행하고 오후 2시 탑골공원 팔각정에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며 수천 명의 학생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행진을 벌였다. 종로에서 광교, 시청 앞, 남대문 등지를 거쳐 해가 질 무렵 오후 8시에 이곳 마포 전차 종점에 집결하여 다시 한번 크게 독립만세를 외쳤고, 연희전문학교 부근에서는 오후 11경까지 해산하지 않고 시위행진은 계속되었다. 단 한 건의 폭동도 발생하지 않고 평화적이고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표명했던 곳이다. 현재는 현재 마포전차종점은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기리기 위해 기념비와 유적지가 남아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방문해 역사적 기억을 되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