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6.9M 2025-03-12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14 (명동2가)
다양한 국·내외 패션, F&B, 라이프스타일과 엔터테인먼트가 하나로 어우러진 공간으로 명동을 상징하는 새로운 아이콘이다. ‘눈(snow)’과 같이 희고 아름다운 결정체를 가지고 있는 쇼핑몰의 외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테리어 또한 한국 최초로 외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해 편리하게 구성하였다. 눈스퀘어에는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들이 즐비해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먹을거리와 CGV 영화관 등의 문화공간이 함께 마련되어 있어 패셔니스트들의 흥미를 더할 것이다.
946.4M 2021-03-11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14
02-754-8939
명동근처에 위치한 직장인들에게 유명한 인도음식 맛집이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인도요리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치킨커리이다.
946.4M 2021-07-15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14
02-3783-4200
해산물을 비롯한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등 250여 가지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뷔페다.
947.9M 2025-03-16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29
02-732-2240
인사동 고미술거리는 인사동에서 고미술품을 거래하는 점포가 모여있는 거리이다. 현재 인사동 사거리에서 고미술품을 거래하는 점포는 70군데이다. 거래되는 고미술품에는 옛 그림, 도자기, 목기, 금속품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서부터 조선시대 백자에 이르기까지 골고루 갖추고 있다. 고미술 가게에 따라 각각 고가구, 미술품, 소품류를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나뉜다. 특별하게 어느 가게의 물건이 좋고 고가품이라는 기준은 없다. 여기서는 집안의 고미술품을 내다 팔거나 바꿀 수도 있다. 통인가게 건너편 2층에 있는 고미술 경매 주식회사에서는 경매를 주선하며 거래가 이루어지면 매매가의 10%를 수수료로 받을 수 있다. 고미술 경매 주식회사에서는 한 해에 몇 차례씩 고미술품 소장가들의 명품 전시회를 열고 있다.
947.0M 2025-08-14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5길 41 (공평동)
민영환 자결터는 민영환이 을사늑약에 항거하다 자결하여 순국한 곳이다. 조선말의 충신 민영환은 을사늑약의 폐기를 궁궐 앞에서 주장하다가 일본 헌병의 강제해산으로 실패하자 1905년 11월 30일 새벽 6시에 청지기의 집에서 국민, 외교사절, 황제에게 보내는 유서 3통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순국 후 피 묻은 옷과 칼을 산청 마루방에 걸어두었는데 이듬해 5월 산청의 문을 열어보니 대나무 네 줄기가 마룻바닥과 피 묻은 옷을 뚫고 올라왔다고 한다. 사람들은 그의 충정이 혈죽으로 나타났다고 하여 이 나무를 절죽이라 하였다. 종로구 인사동 하나빌딩 앞 민영환의 자결터에 김충헌이 글씨를 쓰고 백문기가 조각한 추모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이 조형물에는 그의 충정이 나타났다고 하는 혈죽을 상징하는 대나무와 창호문이 조각되어 있고 자결할 때 사용한 단검과 유서 등을 배치했다.
947.6M 2024-03-11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4길 40, 지하1층
02-777-5077
서울특별시 명동역 부근에 있는 한식당이다. 일본인 관광객들이 좋아하는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삼계탕이다.
948.2M 2024-10-29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38길 20
02-2265-6131
뉴천지관광호텔은 1962년 개관하여 서울 중심의 호텔로서 자리매김하였고 2004년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새롭게 태어났다. 심플하게 인테리어된 52개의 객실 하나하나에 가구와 시설을 배치하여 편안함을 만끽할 수 있다. 쇼핑이나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이 인근에 위치해 있어 지리적으로도 효과적이다. 뉴천지관광호텔은 서울의 중심에 위치한 편리한 교통과 함께 국내외 널리 알려진 동대문 쇼핑타운이 도보로 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명동, 남대문 쇼핑타운 등 서울을 즐길 수 있는 가까운 거리에 자리하고 있다. 서울의 한복판인 종로구와 중구와의 경계를 흐르는 청계천, 세계 제일의 쇼핑 관광지라는 명동, 그리고 남대문 시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재래시장의 산 역사인 동대문 시장까지 어디든 쉽게 갈 수 있다.
948.5M 2025-08-21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4길 28
이 가옥은 순종의 장인인 해풍 부원군 윤택영이 그의 딸 순정황후가 1906년 황태자비로 책봉되어 창덕궁에 들어갈 때 지은 집이다. 건축자재는 경운궁을 헐 때 그 재목을 이용한 것으로 재질은 홍송이다. 동대문구 제기동 224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으로 이전·복원하였다. 가옥의 평면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으뜸 원(元)모양이다. ㅡ자형 인 사당은 원자의 머리에 위치하여 집의 제일 안쪽 높은 터에 자리 잡았다. 그 앞 남쪽 한단 낮은 터에 원자의 ㅠ형 몸채를 두었다. 몸채의 구조는 안채와 사랑채가 연속되어 ㅡ자형으로 ㅠ의 ㅡ를 이루고 그 앞 동서로 행랑채가 팔을 이루며 연속되어 있다. 사당은 1960년에 소실되었던 것을 복원하였으며 사당 앞에 두 단의 석축을 쌓아 화계를 구성하였다. 원형 평면의 중앙은 자연히 가운데 마당이 되는데 전면 동서 행랑채 벽선을 따라 담장을 치고 일각대문을 두어 마당으로 드나든다. 안마당은 서쪽 행랑의 중문을 통하고 사랑마당에는 동쪽 행랑 끝에 뻗어 나온 담장의 일각대문으로 드나들게 되어 있다. 지붕은 팔작 기와지붕으로 사랑채는 부연을 단 겹처마이고 나머지는 홑처마이다. 행랑채는 삼량가구로서 맞배지붕을 이루고 있다. 가옥 전체의 분위기는 살림집이라기보다는 재실 용도에 걸맞게 되어 있다. 때문에 대청을 중앙에 두고 안방과 사랑방이 마주한 것 등 특수한 요소가 많은 가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