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효창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 효창공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서울 효창공원

서울 효창공원

3.4Km    2025-07-25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동)

서울 효창공원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 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이곳은 원래 조선 후기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를 비롯하여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 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 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공주의 무덤인 효창원이 있던 자리이다. 청일전쟁 때 일본군이 불법으로 주둔하면서 훼손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골프장이 들어서는 등 공원화되었다. 1940년에 조선총독부가 공원으로 고시한 이후 1944년에는 일제의 침략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을 위한 충령탑 건립을 위해 무덤들을 고양시에 있는 서삼릉으로 옮겼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인 백범 김구 선생이 항일투쟁에 목숨을 바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삼의사의 유해를 모셨고, 안중근 의사의 가묘를 이곳에 썼다. 이어 1948년에는 임시정부 의장과 주석을 지낸 이동녕, 국무원비서장 차리석, 군무부장 조성환을 이곳에 모셨다. 1949년에 돌아가신 김구 선생의 유해도 국민장으로 안장하였다.

이봉창 의사 동상

이봉창 의사 동상

3.4Km    2025-07-30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동)

효창공원 안에 위치한 이봉창 의사 동상은 의사의 숭고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동아일보사의 후원을 받아 건립한 동상이다. 이봉창 의사는 서울 용산구에서 태어나 용산 문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용산역 전철수로 일하다 조선인으로서 받는 차별을 경험하고,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그곳에서도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받았다. 1930년 12월 상해로 건너간 후, 이듬해 1월 김구선생을 만나 독립투쟁에 투신할 것을 맹약하고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여 일왕 처단 거사를 계획하였다. 1931년 1월 8일 일본 경시청 앞에서 일왕 히로히토를 겨냥해 수류탄을 던졌으나 명중시키지 못하고 현장에서 바로 체포되었다. 1932년 10월 10일 일본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32세의 나이로 순국, 이후 1946년 국민장이 거행되었고 효창원에 안장되었다. 효창공원에는 의열사 등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힘쓴 분들을 위한 공간이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용산 국가유산 야행

용산 국가유산 야행

3.4Km    2025-09-01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동)
02-2199-7245

용산 국가유산 야행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독립운동의 성지인 효창공원에서 열리는 역사문화 축제이다. 백범 김구 선생 묘, 삼의사·임정요인 묘역, 의열사를 배경으로 공연·퍼레이드, 체험, 전시 등 8명의 열사의 이야기를 담고 독립운동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특별한 야간행사로 진행 예정이다.

뇨끼바

뇨끼바

3.4Km    2025-01-20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20길 41-4

뇨끼바 레스토랑은 경의중앙선 한남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주차는 가게 앞 발레주차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매장 외관은 빨간 벽돌 건물에 나무 덩굴이 있고 야외 테라스에 테이블도 있다. 실내는 높은 천장에 특색 있게 풍선 조명이 있고 홀 중앙에는 레스토랑 콘셉트에 맞게 바 형 테이블이 있다. 캐치 테이블 또는 전화로 예약을 할 수 있다. 뇨끼는 이탈리아 대표 요리로 감자나 세몰리나 밀가루 반죽을 빚어 만든 덤플링으로 우리나라 수제비와 유사한 이탈리아 대표 음식이다. 뇨끼바의 메뉴는 구운트러플크림뇨끼, 프렌치프라이, 샐러드, 안심스테이크, 해산물파스타 등이 있고 와인과 음료 메뉴가 있다. 메뉴 주문 시 접시와 포크 수저 물수건이 세팅된다. 트러플크림뇨끼는 진한 크림 맛에 덩어리가 씹히는 식감과 크림이 부드럽다. 빵과 피클은 추가 시 추가 요금이 있다. 식당 인근에 한남동 카페거리, 용산공예관, 남산야외식물원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게스트하우스 몽자

3.4Km    2024-07-31

서울특별시 용산구 보광로50길 3 (이태원동)
0507-1324-3144, 0503-5052-8158

서울 이태원 게스트하우스 몽자는 2층 단독주택에 위치한 숙소로, 5개의 룸과 2개의 욕실, 2개의 주방과 거실로 구성되어 있다. 취사는 안되지만 냉온정수기, 전자레인지, 냉장고가 층마다 구비되어 있고, 쾌적한 컨디션을 위해 소독과 생활방역을 꾸준히 하고 있다. 쇼핑, 맛집, 클럽 등이 인근에 즐비하고, 서울 중심부에 있어 명동, 동대문, 강남, 홍대 등 주요 명소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3박 이상 묵을 경우 집 전체 예약이 가능하다.

릴즈

3.4Km    2024-12-03

서울특별시 성동구 청계천로 474 왕십리 모노퍼스 주상복합

청계천에 위치한 이 브런치 레스토랑은 도심 속 여유를 느낄 수 있는 아늑한 공간으로, 다양한 맛과 즐거움을 선사한다. 깨끗하고 따뜻한 분위기의 인테리어는 방문객들에게 편안함과 세련된 감각을 동시에 제공한다. 큰 창으로 들어오는 자연 채광과 감각적으로 꾸며진 내부 공간은 친구, 연인,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에 완벽한 장소이다. 이 레스토랑의 자랑은 다채로운 메뉴이다. 클래식한 브런치 메뉴부터 신선한 재료로 만든 파스타, 리조또, 피자 등 정통 유럽 요리를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다. 에그 베네딕트, 프렌치 토스트, 아보카도 샐러드 같은 브런치 메뉴는 아침과 점심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유로운 식사를 제공한다. 한편, 크림 파스타의 깊고 부드러운 맛이나 화덕에서 구운 피자의 바삭하고 풍미 있는 식감은 손님들에게 꾸준히 사랑받는 인기 요리이다. 음료 메뉴도 다양하다. 신선하게 내린 커피와 향긋한 허브티는 물론, 깔끔한 에이드와 생과일 주스도 함께 제공되어 음식과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특히, 디저트 메뉴로는 촉촉한 티라미수와 풍부한 초콜릿 케이크가 있어 식사의 마무리를 달콤하게 완성해준다. 청계천을 산책하며 느낀 도심의 활기를 한껏 누리고 싶다면, 이곳에서 맛과 멋을 겸비한 식사를 즐기며 특별한 하루를 만들어 보시길.

오스테리아 오르조

오스테리아 오르조

3.4Km    2024-01-26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20길 47

이탈리아어 ‘오스테리아’는 간단한 음식과 와인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선술집’을 의미하는데, 서울 한남동에 위치한 ‘오스테리아 오르조’는 이름 그대로 이탈리아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이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소고기 다짐육과 마스카르포네 치즈, 트러플 페이스트가 들어간 진한 소스에 레스토랑에서 직접 뽑은 생면을 곁들인 화이트 라구 파스타이다. 매콤한 소스를 듬뿍 머금은 탈리아텔레와 해산물 타르타르도 빼놓을 수 없는 별미이다. 주방 앞 테이블에 앉아 파스타가 완성되는 모습을 지켜보는 재미도 있다.

크레이트커피

크레이트커피

3.4Km    2025-01-14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97

크레이트 커피는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카페이다. 경의중앙선 한남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주차장이 건물 뒤쪽으로 있지만 발레주차도 가능하다. 건물 외부는 모던하고 깔끔하며 내부는 식물과 블랙 및 시멘트의 인테리어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층고가 높아 이층으로 구분이 되어 넓고 테이블 석도 많다. 한쪽은 통창으로 바깥 풍경을 볼 수 있다. 야외공간도 있는데 이 공간은 반려동물 입장도 가능하다. 크레이트는 다양한 커피, 음료, 차 등이 준비돼 있고 보다 좋은 커피를 제공하기 위해 직접 로스팅도 하고 핸드드립 원두에 대해 자세히 설명도 해준다. 디저트는 휘낭시부터 퀀아망, 다양한 종류의 케이크와 타르트가 진열되어 있다. 인근에 용산공예관, 삼성미술관, 달맞이공원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야외공간 가능

성북역사문화공원

성북역사문화공원

3.4Km    2025-07-23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1길 31 (성북동)

성북역사문화공원은 성북동 쉼터와 성북역사문화센터 사이 일대에 조성된 곳으로 한양도성 백악구간의 시작점이자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시기별 축성과 원형이 가장 잘 남아있어 국내외 방문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주변에 들어선 주변에 들어선 주택 때문에 감상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성북구에서 사업을 진행하여 성곽에 인접한 기존 주택들을 철거한 자리에는 잔디와 키 작은 소나무를 심어 한양도성 감상을 위한 시야 확보와 정취를 더했다. 성곽을 조망하기 좋은 공간에는 쉼터를 조성하고 운동시설 등을 설치함으로써 한양도성을 감상과 더불어 휴식을 즐길 수 있다.

북정마을

3.4Km    2024-12-06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3길 132-3

북정마을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마을로서 오래된 골목길의 정취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이다. 조선시대 이곳에서 군사가 진을 치면서 북적북적 거리는 소리 또는 메주 쑬 때 북적북적 끓는 소리를 따서 마을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에는 아름다운 경관과 맑은 공기 덕분에 한용운 등의 가난한 예술가들이 살기도 하였다. 한국전쟁 이후에 피난민과 지방에서 상경한 사람들이 무너진 한양도성 성곽 아래 판자촌을 이루어 살면서 마을이 커졌다. 마을을 한 바퀴 빙 두르는 도로는 1983년에 완공한 소방도로인데 이 도로 안팎에 500여 가구가 모여 산다. 마을버스 정류장 앞 너른 길은 크고 작은 마을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이 마을은 2015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한양도성 백악구간 코스에 포함되어 만해 한용운의 유택인 심우장과 연계하여 관광을 할 수 있다. 수도권 지하철 4호선 한성대역에서 마을버스 성북 03번을 이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