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Km 2020-03-18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 362-1
062-264-8745
#본 업소는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으로 외국인만 이용이 가능하며 내국인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아시아문화의전당 1km안에 있는 갤러리와 게스트하우스가 함께 하는 곳 이다.
8.5Km 2025-08-08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광주광역시 금곡동제철유적은 금곡(金谷)이라는 지명이 쇳골을 의미하고 있으며, 유적 주위에 건물지의 기단부와 수많은 철재가 남아 있어 일찍부터 유적이 나올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금곡동제철유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1567~1596)의 의병 활동과 관련한 무기 제조창으로 알려졌다. 금곡동제철유적 일대는 산화철이 포함된 미문상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어, 이 암석을 모암으로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철을 채취할 수 있는 지역이다. 또한, 무등산 내에서 제철 연료용의 목탄도 풍부하게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 작업장 내에서 제철, 정련, 단조 철기 제작의 전 공정을 보여 주는 유구가 일괄 확인되어 15~16세기 제철 및 철기 제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또한, 금곡동제철유적의 발굴을 통해 김덕령의 의병 활동 과정에서 무기 제조 장소로 활용된 역사적 사건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유적지에 이르려면 무등산 의병길을 따라 도보로 이동해야 한다.
8.5Km 2024-12-12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마을로111번길 34
062-573-6040
자미원은 최상급 한우로 광양 숯불구이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에 통유리 바깥으로 보이는 풍경도 근사하다. 청정해역 해초(미역, 다시마, 톳)와 함께 먹는 한우 숯불구이가 인기 있으며,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자미 정식도 있다.
8.6Km 2025-03-19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 (용봉동)
전남대학교 박물관은 국내외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인류학, 자연사 분야의 자료뿐만 아니라 향토 문화의 연구 자료도 수집·보존·전시하고 있다. 교직원, 학생 및 지역민에게 연구·교육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1957년 5월에 금호각(당시 전남대학교 도서관)에서 최상채 박사의 기증품인 서화, 도자기 등을 모태로 개관했다. 이후 2002년에 용봉문화관으로 확장 및 이전돼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상설 전시실과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추진하는 기획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학습장이 있다.
8.6Km 2025-07-31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광주고등학교
4·19 혁명 정신 계승을 위해 광주고등학교에 지어진 역사 전시관이다. 2019년 3월 20일 개관했으며, 역사관 내부엔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사진들과 4·19 혁명 전개 과정들이 상세히 전시돼 있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실도 조성되어 있다. 혁명에 참여한 인물들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 당시의 함성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코너와 함성 구호를 외칠 수 있는 함성 체험실, 4·19 인물들을 알아볼 수 있는 퀴즈코너와 애국 학도 선서 체험 코너 등이 있다.
8.6Km 2024-07-18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306번길 6-1
계림동잔치집은 광주역 인근에 위치한 잔치국수 전문점으로 가성비가 좋고 양이 푸짐하여 현지인들이 추천하는 곳이다. 주차공간은 음식점 앞에 마련되어 있고 내부는 한옥 느낌의 인테리어로 고전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이곳의 대표 메뉴인 잔치국수는 매장에서 직접 낸 멸치육수가 진한 맛이 일품이다. 또 다른 추천 메뉴 제육 김밥은 고기와 상추쌈이 들어가 있는 김밥이며 한입에 상추쌈의 맛을 느낄 수 있다.
8.7Km 2025-09-02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67번길 22-44
푸른길 분수공원은 과거 광주에서 순천을 거쳐 부산으로 가던 경전선 철길이었다. 남도의 발이 되어 주었던 고마운 기찻길이었으나 도심 한복판을 지나다 보니 교통체증과 소음이 심각했다. 결국 경전선이 시외로 옮겨가면서 옛 철길은 환경운동가와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우리나라 최초의 폐선부지 공원으로 재탄생했다. 광주 시민들의 휴식처로 거듭난 공원에는 굴다리 옛터를 알리는 표지석을 비롯해 오랜 세월 제 자리를 지킨 초록빛 아름드리나무들이 기찻길이 품은 정다운 추억을 되살리게 한다. 공원 한쪽에는 건축가 승효상의 작품 ‘푸른길의 문화쉼터’도 자리한다. 녹슨 기찻길을 떠올리게 하는 내후성 강판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광주의 옛 모습을 담은 전시공간이자 쉼터로 사용된다.
8.8Km 2025-03-26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67번길 29 (산수동)
2018년 12월 개관한 푸른마을 공동체센터는 푸른길 공원 주변 예술가들과 마을 주민들 간 융합을 통한 주민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조성되었다. 건물 1층에는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카페 겸 갤러리와 장난감 도서관이 있으며, 2층과 3층에는 동구에 위치한 법인, 단체, 학교, 직장에 재직 및 재학하는 사람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동구 지역 공동체 중 정치나 종교, 영리 목적이 아닌 프로그램만 회의실, 공유 부엌, 공유 센터 등도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장난감 도서관에서는 회원가입 후 월 2회, 회당 2점의 장난감 무료 대여할 수 있고, 실내 어린이 놀이시설은 1시간 천 원에 이용할 수 있다. 푸른마을 공동체센터는 주민 도시재생 교육 프로그램, 주민 공예 교육 프로그램 등 복합문화공간으로 주민복지 향상은 물론 휴게공간으로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앞장서고 있다.
8.8Km 2025-01-21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 16-17
062-227-8815
여로는 광주 동구 산수동의 조용한 주택가에 위치한 한옥게스트하우스다. 총 4개의 온돌방 객실을 운영하고, 객실마다 화장실과 냉장고를 갖춰 편의성을 높였다. 공용세탁기는 외부 화장실에 있고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조식으로 주인이 손수 만든 단호박죽이 제공된다. 주차는 인근의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황토천연염색, 인절미 만들기, 누름꽃 손거울 만들기, 강정 만들기 등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8.8Km 2025-08-07
광주광역시 동구 지산동
광주시내에 상당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2기의 탑 가운데 동쪽에 위치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탑이 서있는 부근은 백주사(栢州寺)터로 알려져 있기도 하나 추정할 만한 자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1955년 해체, 수리할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었고 1961년에 다시 수리를 하여 일부 석재를 보완하였다. 광주 전남지방에 남아있는 몇 안 되는 5층석탑 가운데서도 우수한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로, 실제 유골이 없더라도 상징적으로 모셨다고 여겨진다. 광주 지산동 오층 석탑은 통일 신라 후기 석탑으로 과거에는 광주의 동쪽에 있는 탑이라서 ‘광주 동오층 석탑’으로도 불렸다. 2층 바닥돌(기단부) 위에 몸돌부(탑신부)를 5층으로 쌓고, 그 위에는 머리 장식(상륜부)을 올렸다.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바닥돌은 여러 개의 돌로 되어 있고, 몸돌부와 지붕돌은 모두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1층 지붕돌받침만 다섯 단이고, 2층부터는 각 단이 네 단으로 되어 있어서 통일 신라 시대 후기 양식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