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악저수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송악저수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송악저수지

송악저수지

4.7Km    2025-05-09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송악로 560

아산시가지 남쪽을 자동차 기준 20여분 거리에 있는 송악저수지는 궁평저수지, 궁평지라고도 하며 아산시에서 가장 넓은 저수지로 ‘ㄴ’ 자 모양의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이 저수지는 본래 농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온양천을 막아 조성하였는데, 낚시터로도 각광을 받고 있다. 낚시터에서는 붕어, 빠가사리, 메기, 민물장어 등을 잡을 수 있는데, 간편하게 호안에서 낚시를 할 수도 있고 보트를 타고 수상 방갈로로 들어가서 낚시를 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제방에서 이어지는 호반길이나 등산로를 따라 산책을 해도 좋고, 저수지 남부 긴골산 기슭은 반딧불이가 나타나니 조심스레 관찰해도 좋다. 주변에는 온양온천, 광덕산, 강당골계곡, 외암신속마을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유니클로 아산풍기

유니클로 아산풍기

4.7Km    2024-03-23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대로 1692(풍기동)

-

인취사(아산)

인취사(아산)

4.9Km    2024-12-09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서부남로790번길 20-52

인취사는 학성산(184.2m) 동쪽 기슭에 자리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6세기 경인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조선 중기까지는 꽤 큰 규모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이후 규모가 축소되어 오늘날에는 공주 마곡사의 말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석탑과 석조 아미타삼존불상 등의 문화재가 남아있다. 특히 석탑은 고려 시대 양식을 취하고 있어 이 사찰이 늦어도 고려 시대에는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또한, 이곳은 백련(하얀 연꽃)이 유명하다. 한여름 사찰을 가득 채우는 백련의 아름다움은 한 번도 못 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본 사람은 없다는 말이 있다. 또한 백련의 종류 중 [인취사 백련]이 있을 정도로 인취사만의 백련이 전국으로 퍼져 있다. 인취사 백련은 잎과 꽃 모두 향이 짙어서 꽃잎차나 장아찌로도 두루 활용된다.

하서원(외암민속마을)

5.0Km    2024-11-27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6

충남 외암 민속마을 내에 위치한 하서원은 먼저 운영중이던 주부댁과 함께 넓은 마당과 고즈넉한 여유를 자랑하는 체험살이 민박으로써 단체모임이나 가족여행 또는 워크샵 등 다양한 모임자리와 특별한 추억거리를 찾는 분들게 답이 되어드리고 있다. 외암민속마을에서는 지붕형태를 블록별로 나누어 기와형과 초가형으로 나누어져 다양한 한옥의 형태를 경험할 수 있으며 전통방식의 건축양식을 갖춘 유서깊은 고택이지만 현대식 주방과 욕실을 갖추어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하였다.

외암민속마을

외암민속마을

5.0Km    2025-09-10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된 마을이다. 마을은 500여 년 전부터 형성이 되었고, 마을의 터가 좋아 한국의 살기 좋은 마을 10선에 선정되었다. 마을 주민들은 조상 대대로 농업에 종사, 전통문화를 지키며 살아가고 있으며 오시는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체험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장승제를 지내고 10월에는 짚풀문화제, 11월에는 동지행사를 하며 마을 앞에는 조선시대 시장인 저잣거리가 조성되어 있어 먹거리 및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문화를 가꾸어 가는 외암민속마을에서 전통문화를 즐기다 보면 어느덧 어렵게 느껴지던 전통문화들이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다.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

외암민속마을 짚풀문화제

5.0Km    2024-08-09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
041-536-8458

짚풀문화제는 500년 역사를 간직한 살아있는 박물관인 외암민속마을의 가을 황금들녘에서 펼쳐지는 대표적인 농경문화축제다. 우리 조상의 슬기와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짚풀을 활용한 다채로운 체험, 전시, 경연대회 등이 펼쳐지며, 축제 흥을 돋워줄 전국농악풍물페스티벌과 평소 들어가 볼 수 없었던 전통고택에서 가마솥밥해먹기, 전통장만들기, 전통주전부리 만들기체험과 전통상여행렬, 초가이엉잇기 재현 등 점점 사라져가는 민속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국밥, 전, 국수 등 옛날 먹거리장터와 저잣거리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먹거리도 준비되어있으며, 방문객들의 편의제공을 위해 임시주차장을 조성하고 셔틀버스를 운행할 예정이다.

아산외암마을야행

아산외암마을야행

5.0Km    2025-05-13

충청남도 아산시 외암민속길 5
042-282-1141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아산 외암마을은 충청도 고유형태의 고택과 초가, 돌담등이 잘 보존되어 있는 생생한 민속박물관이다. 아산 외암마을 야행은 지역의 특색있는 문화유산자원을 활용한 야간경관, 체험, 공연, 전시 등 다양한 야간 향유 프로그램으로 특별하고 재미있는 야행을 즐길 수 있다.외암마을에서 조선시대의 야행 발걸음을 가족, 연인과 함께 즐기도록 초대한다.

오목 낚시터

오목 낚시터

5.2Km    2025-07-08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서부남로675번길 48

오목낚시터는 충남 아산시 신창면에 자리 잡고 있다. 총면적 10만 평의 평지형 저수지이며 수심은 1.5~3m이다. 붕어를 비롯해 잉어, 메기 등을 잡을 수 있으며 붕어 중에서도 특히 토종붕어를 낚을 수 있다. 수상좌대 15동과 잔교좌대, 낚시용품 매점등을 운영하고 있다. 낚시터는 신창역과 가까운 거리에 있고 주변에 신정호국민관광지가 있다.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아산 외암마을 건재고택

5.2Km    2024-01-24

충청남도 아산시 외암민속길 19-6

아산외암마을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1800년경에 현재의 모습을 갖춘 중부지방의 대표적인 양반가옥으로 영암집이라고도 한다. 조선 숙종때의 문신 이간(李柬, 1677~1727)이 태어난 집을 현 소유자의 증조부인 건재 이상익(1848~1897)이 고종 6년(1869)에 지금 모습으로 지었다고 전한다. 도자기, 낙관, 서화, 현판, 생활용구 등 유물 300여점이 대를 이어 보관되고 있으며 특히 사랑채에 보관중인 이간의 교지는 입향조의 근거자료로서 가치가 크다.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아산 외암마을 참판댁

5.3Km    2025-07-04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 42-15

이 건물의 건축연대는 19세기 말로 추정되며, 구한말 규장각(奎章閣)의 직학사와 참판을 지낸 이정렬이 고종황제로부터 하사 받아 지은 집이라 전한다. 이 집은 큰집과 작은 집의 2개군으로 되어 ‘므’ 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평면의 구성은 대체적으로 중부 방식(대청이 안방 구들에서 꺾여 놓이는 식)을 따랐지만 작은집 사랑채만은 대청이 한쪽으로 배치되는 남도풍이 가미되었다. 집안의 살림살이 기구도 비교적 그대로 보존되어 있으며, 특히 큰집 사랑채의 가구 배치 등은 우리 조상들 생활 모습의 멋스러움을 그대로 간직했다. 큰집의 특징은 집을 둘러싸는 돌담으로 공간을 구획한 것인데, 대문간 앞으로 돌담을 내쌓아 집안으로의 진입에 깊이감을 준다. 중문 간 앞에는 아담한 마당을 만들고 장독대 주위에는 나지막한 돌담을 두르는 등, 아름다운 공간의 연속을 연출한다. 작은 집의 사랑방 앞퇴에는 고방을 배치하고 분합문을 달아서 다용도로 쓰는데, 이것은 여느 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