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제선명상대회(SEON MEDITATION SUMMIT)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2024 국제선명상대회(SEON MEDITATION SUMMIT)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2024 국제선명상대회(SEON MEDITATION SUMMIT)

2024 국제선명상대회(SEON MEDITATION SUMMIT)

548.3M    2024-09-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10-8237-6833

선명상을 통한 ‘마음의 평화, 세계 평화’를 목적으로 2024 국제선명상대회가 9월 27일부터 10월 1일까지 진행된다. 개막식부터 컨퍼런스, 선명상체험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선명상에 대해 체험하고 알아가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싱크 넥스트 25(Sync Next 25)

싱크 넥스트 25(Sync Next 25)

548.3M    2025-05-28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2-399-1000

2022년 국내 대표 블랙박스 극장인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를 기반으로 첫선을 보이며, ‘경계 없는 무대, 한계 없는 시도’를 모토로 다양한 장르 간 융합과 새로운 형식의 공연을 시도해 온 싱크 넥스트(Sync Next)는 지난 3년간 총 55팀의 아티스트와 34편의 공연을 선보이며, ‘실험성·도전성·동시대성’을 갖춘 믿고 보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해왔다. 4년 차를 맞은 올해 싱크 넥스트 25는, 테크노, 앰비언트, 현대음악, 네오소울, 힙합 등 다양한 음악 장르를 중심으로 장르와 공연 형식의 경계를 허무는 획기적인 시도로 무더운 여름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귀어귀촌 어촌관광 한마당

귀어귀촌 어촌관광 한마당

548.3M    2025-06-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70-4419-9558

"귀어귀촌 어촌관광 한마당 – 어촌으로 올래"는 도시민들이 도심 한복판에서 어촌의 매력을 직접 체험하고 귀어귀촌이라는 새로운 삶을 상상해볼 수 있는 참여형 문화행사이다. 광화문 해치마당과 놀이마당 일대에서는 귀어귀촌 일자리 상담부터 어촌 특산물과 관광상품 전시, VR 체험, 바다 조각으로 만드는 DIY 작품, 귀어귀촌 유형테스트 ‘어비티아이’ 등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펼쳐진다. 전국 어촌 지역의 부스를 방문하면 각 지역의 특색 있는 특산물과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으며, 귀어귀촌 캐릭터 ‘귀어해’와 함께 사진을 찍는 추억도 남길 수 있다. 행사 무대에서는 호흡 명상 테라피를 하며 힐링할 수 있는 싱잉볼 명상부터 귀어인의 생생한 경험을 나누는 토크쇼, 도심 속 힐링 버스킹, 귀어벨을 울려라 같은 참여형 이벤트까지 다양한 공연과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행사장을 구석구석 걸으며 모바일 스탬프 미션을 완료하면 기념 선물도 받을 수 있으며, 저녁 시간대에는 수산물 시식과 간식 타임이 마련되어 도심에서 어촌을 보고, 듣고, 맛보는 오감만족의 시간을 선사한다.

종로 어디나 스테이지

종로 어디나 스테이지

548.3M    2025-06-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로)
02-6203-1164

5월 개막축제를 시작으로 종로 곳곳을 찾아가는 종로구 공연문화 정착 프로젝트 <어디나 스테이지> 봄부터 겨울까지 사계절 내내 2025년 종로는 언제나,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공연 성수기! 수성동계곡과 보신각, 흥인지문공원 등 종로를 대표하는 장소에서 매달 계절별 · 장소별 다채로운 연중 공연이 펼쳐진다!

올리브영 독립문

550.1M    2024-04-24

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99

-

덕수궁

덕수궁

556.3M    2025-04-02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덕수궁은 1897년에 선포된 황제국,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옛 이름은 경운궁이다. 덕수궁은 원래 조선 제9대 성종의 형인 월산대군의 사저였고, 그 후에도 월산대군의 후손이 살던 곳이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도성의 궁들이 모두 소실되자 1593년(선조 26)부터 임시 궁궐로 사용하여 정릉동 행궁(貞陵洞 行宮)이라 불렸다. 이후 1611년(광해군 3) 경운궁(慶運宮)으로 이름이 정해지면서 정식 궁궐이 되었다가, 창덕궁이 중건되면서 다시 별궁으로 남게 되었다. 그러다가 1897년(광무 1)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사용하였다. 이후 황궁에 맞게 규모를 확장하고 격식을 높였으며, 궁궐 내 서양식 건물을 짓기 시작하여 전통 건축물과 서양식 건축물이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1904년(광무 8) 대화재로 많은 건물이 소실되었고, 1907년 일제에 의해 고종이 황위에서 물러나자 궁의 이름이 덕수궁으로 바뀌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는 덕수궁의 규모가 대폭 축소되어 대부분의 건물들이 철거되었다. 동시에 공원화가 진행되어 궁궐로서의 면모를 잃게 되었다. 1946~47년에는 덕수궁 석조전에서 제1·2차 미소공동위원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이후 덕수궁의 복원이 꾸준히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559.5M    2025-07-3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21길 15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은 친교의 신앙으로 선교하는 제자공동체이다. 이 건물은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으로서 조선 성공회 3대 주교인 마크트롤로프 주교가 영국인 아더 딕슨의 설계대로 착공하여 헌당식을 했다. 이후 1993년에 원 설계도를 영국의 한 도서관에서 찾게 되어 본래 모습대로 1996년에 완공하였다. 이 성당 건물은 로마네스크 양식에 한국 전통 건축 기법을 조화시킨 아름다운 건물이다. 외형은 십자가 형태로서 다양한 선이 조화를 이루고 있고 성당 내부에는 좌우로 12사도를 상징하는 돌기둥이 서 있고 전면 반원형 벽면에 예수 그리스도의 모자이크상이 새겨져 있으며 지하 성당에는 트롤로프 주교의 유해가 안치된 동판이 새겨져 있다. 주일감사성찬례는 성인과 학생, 어린이에 따라 여러 시간대가 있고, 평일에는 오전 7시와 낮 12시에 있다. 성공회는 나라와 문화마다 다양한 색깔을 지니며, 한 교회 안에서도 신앙과 신학의 흐름이 매우 다양하다. 다른 교단과 다르게 성공회는 ‘개혁된 가톨릭’, ‘교황 없는 천주교’, ‘교리에 너그러운 정교회’, ‘가톨릭 전통을 유지하는 개신교’이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3번 출구에서 200m에 있다.

덕수궁 돌담길

덕수궁 돌담길

559.8M    2025-01-09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지하 101

기존의 도로를 보행자 중심의 도로로 재정비하고, 보행자를 위해 보도와 차도 공존도로 및 푸르름이 가득한 가로공간인 녹도의 개념을 복합적으로 도입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례로 길이는 900m이다. 자연친화적인 점토블록 및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권 확보를 위해 차도에 석고석 포장(페이빙스톤) 실시하였고,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위해 느티나무 외 2종 130주 식재, 평의자 20개 설치하였으며 주변의 역사적 시설인 덕수궁과 연계한 역사적 가로 경관의 창출 및 가로환경 개선하였다. 낭만이 가득한 덕수궁 돌담길은 연인들이 걷기에 더없이 좋은 곳이며, 주변에 서울시립미술관과 서울역사박물관이 있어 문화산책 코스로도 제격이다.

cu코리아나호텔점

559.3M    2024-06-10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35 코리아나호텔

-

충무공 이순신 동상

충무공 이순신 동상

560.6M    2025-04-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 광장에 위치한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상은 정부의 산하 단체였던 애국선열 조상건립위원회와 서울신문사의 공동주관으로 1968년 4월 27일 건립되었다. 전체 높이 17m(동상 6.5m, 기단 10.5m)의 청동 입상 형태로 건립되었으며, 주변 조형물로는 거북선 모형 1개와 북 2개가 설치되어 있다. 국가의 심장부로 통하는 광화문 네거리에 위치할 애국선열동상의 인물지정에 관해 확인된 바에 따르면 세종로와 태평로가 뻥 뚫려 있어 남쪽 일본의 기운이 너무 강하게 들어오게 되는데,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던 당시 풍수지리학자들의 주장을 배경으로 세종로 네거리에 일본이 가장 무서워할 인물의 동상, 국가를 수호하는 지킴이의 의미를 지닐 선열조상의 인물로서 왜적을 물리쳐 나라를 구하신 이순신 장군이 결정되었다고 한다. 이 동상의 조각적 특징은 기념비적 상징성에 있다. 형상의 완전한 사실성보다는 그 인물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이다. 바다를 지킨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기리기라도 하듯이 이순신 장군 동상 근처에 분수대를 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