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Km 2025-03-16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19
담양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고려 충혜왕(재위1330∼1331, 1339∼1344) 때 지어졌다는 설이 있으나 본격적으로 건물이 지어진 것은 태조 7년(1398)에 대성전이 세워지면서부터라고 전한다. 숙종 원년(1674)에 다시 짓고, 영조 23년(1747)에 고쳤으며, 순조(재위 1800∼1834) 때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동무·서무·명륜당 등이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8.5Km 2025-04-22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녹원로 134
061-380-3152
담양 대나무축제는 푸른 대나무숲이 반기는 봄,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축제다. 싱그러운 대나무의 숨결 속에서 다양한 문화 공연, 전통 체험, 자연 친화적인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다. 축제장을 가득 채운 바람 소리와 함께 걷다 보면, 대나무의 생명력과 그 속에 깃든 담양의 역사와 문화를 만날 수 있다. 가족, 연인, 친구들과 함께 대나무의 멋과 여유를 느끼며 지속 가능한 자연의 가치를 되새기는 시간. DaeNaMoo 숨결이 머무는 이곳에서 미래를 향한 바람을 함께 맞이한다.
8.5Km 2025-08-05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죽녹원로 134
062-945-5670
대구·광주·경북·전남 지역의 관광 명소를 소개하며, 양 지역 관광교류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발전 도모의 취지에서 시작한다.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지방 소멸의 위기 극복의 해답을 영·호남 양 지역이 지닌 우수한 문화·예술·관광 부문의 교류에서 찾고자 한다. 영·호남의 유서 깊은 문화, 뛰어난 예술, 특색있는 관광 콘텐츠를 세계무대에 널리 알리고, K-콘텐츠로서의 영·호남 문화·예술·관광의 경쟁력을 제고한다. 긴 시간 경쟁과 갈등의 프레임 속에서 굳어진 지역 간의 문화장벽을 허물고, 실질적인 교류·협력 성장의 지속성을 확보한다.
8.5Km 2025-03-26
광주광역시 북구 대천로 86
광주광역시 북구 문흥동 문화공원에 위치하고 있는 광주북구청소년수련관은 조용하고 쾌적한 도심 속의 휴식공간으로 다양한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운동장과 체육시설, 공연장이 있어 청소년들의 문화생활의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청소년멀티미디어센터, 최신 뮤직비디오와 영상, 음악 등을 감상할 수 있는 음악감상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어 청소년들이 바르고 슬기롭게 자랄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청소년수련관에서는 청소년의 문화의식 함양, 정신수련 등을 위해 청소년 대상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중에 있다. 독서, 보드게임, 미술, 논술, 오카리나, 회화력영어 등의 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교육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에 댄스스포츠, 챠밍디스코, 에어로빅, 요가 등 생활체육 분야의 교육도 진행중이다.
8.5Km 2025-04-10
광주광역시 북구 서하로245번길 42 (오치동)
유한회사 뜻모아센터는 탄소중립공예를 주력으로 하는 공예 체험 업체이다. 재활용 가능한 다양한 재료와 공기정화식물인 스칸디아모스를 활용한 공예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역축제에서 다양한 연령층의 관광객을 만나고 있다. 스칸디아모스와 접목한 추억의 못난이 인형, 언제나 싱그러운 스칸디아모스 커피박 화분, 키링 만들기는 유한회사 뜻모아센터의 인기 체험 프로그램이다. 최근 개발한 ‘광주를 담은 한입마카롱’ 체험 프로그램은 광주의 주요 관광자원을 식용물감을 이용해 마카롱에 직접 표현해 보는 프로그램이다.
8.5Km 2023-07-1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29
061-383-3515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참빗장 기능보유자 고행주 장인이 6대째 가업을 이어 작업하며 대자리, 참빗(머리빗)을 판매하고 있다. 참빗은 대소·중소·어중소·밀소 따위가 있는데 '대전회통'에 의하면 외공장으로 소장은 경상도 2명, 전라도 1명, 강원도 6명 등이 있었는데 전라도에서는 예로부터 담양·영암·나주 등지가 산지로 이름 있었다. 담양의 죽물은 예로부터 유명하다. 빗의 경우 1917년에 설립된 진류계가 그 주축을 이루어 뒤에 1922년 담양 산업조합으로 발전했다. 담양 참빗은 대소·밀소·써울치·음양소·호소 따위가 있다. 재료는 담양 일대에서 생산되는 왕대를 사용하며 매기용 재료는 영암에서처럼 소뼈를 쓰지 않고 뿔때죽나무, 먹감나무(흑포) 등이 사용된다. 기능보유자 고행주는 할아버지 고학진(1867~1936년)이 일제강점기 때 빗 조합의 진소 계원으로 활동했으며 아버지 고제업(1901~1979년)을 이어 기능을 전수하고 있다.
8.5Km 2024-01-17
전라남도 장성군 불태3로 138-59
넓고 쾌적한 카페로 알려진 아트리움은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넓은 잔디밭 위에 감각적인 건물을 세워 지역 주민들뿐 아니라 광주 지역민들도 드라이브 삼아 즐겨 찾는 곳이다. 잘 꾸며진 실내와 건물 주변의 조경이 카페의 분위기를 살려준다. 대표 메뉴는 크림라테이고 바닐라라테, 흑임자라테도 크로플과 함께 먹으면 일품이다. 다양한 스무디와 주스, 에이드와 차도 준비돼 있다. 데이트 코스로 주목받는 곳으로 젊은 커플들이 즐겨 찾는다. 유리창 너머로 보이는 바깥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주변에는 고산서원, 진원성, 청계정, 진원박씨제각, 진원리 5층석탑, 꿈엔들 농촌교육농장 등 유적지와 볼거리가 많다.
8.6Km 2024-11-22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깊은실길 25
전라남도 담양 호남기후변화체험관 인근 호텔 드몽드 내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대표 메뉴로는 아몬드 크림모카, 피넛 카라멜 슈페너가 있다. 호텔 내에 있어 깔끔한 인테리어와 함께 다양한 부대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8.6Km 2025-03-1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깊은실길 2-17
메타 프로방스는 연간 약 50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전라남도 담양에 조성되어 있는 관광단지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가로수길로 선정된 담양 메타세쿼이아 길 바로 옆에 위치해 있으며 휴양지로 유명한 프랑스의 도시 프로방스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감성을 가지고 있다. 메타 프로방스는 개인 관광객 뿐만 아니라 가족 및 동호회 단위의 관광객들을 위한 패션 거리, 디자인 공방과 체험관, 상업 공간, 그리고 연회장 등 문화와 예술, 비즈니스가 공존하는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하고 차별화된 양질의 서비스를 통하여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께 특별한 추억과 새로운 경험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