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Km 2024-06-11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로16길 31
김포공항 인근 방화동 오거리에 있는 시장으로 시장 입구 간판 이름은 ‘방신전통시장’이다. 시장을 통하는 길이 여러 갈래인 골목 시장으로 약 123개 점포가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먹거리와 80년대 시장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점포들이 많고 줄 서서 사 가는 인기 족발 맛집이 있다. 5호선 개화산역과 9호선 신방화역을 이용할 수 있다.
13.7Km 2025-04-22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15번길 49-12 (행주내동)
화정가든 보리굴비는 행주산성에 있는 보리굴비 전문점이다. 단독건물로 건물 1층과 앞에 주차 공간이 넉넉하며 주차 안내 직원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주차장에서 매장으로 올라가는 엘리베이터도 있다. 보리굴비 정식이 대표메뉴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에서 굴비를 전문적으로 가공하는 업체인 방주 오가피 굴비에서 오가피를 이용하여 가공한 굴비를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다. 푸짐하고 정갈한 반찬들과 녹차로 지은 밥이 나오는 한정식 한 상에 밥과 반찬은 무한 리필된다. 이곳의 저녁 메뉴는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다. 화정가든 보리굴비는 경기도 기업 CEO 연합회 인증기업으로 고양시 관광 맛집으로 인증하는 업소이다.
13.7Km 2025-04-18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17번길 10 (행주내동)
고양시 한강변 행주산성 인근에 있는 국수 전문점이다. 30여 년이 넘은 역사를 자랑하는 곳으로 서울 근교의 대표적인 맛집으로 손꼽힌다. 대표 메뉴는 잔치국수와 비빔국수다. 잔치국수는 진한 멸치육수에 넉넉한 양의 면과 고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멸치육수는 깊고 진한 맛이 일품이며, 면은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다. 잔치국수는 파로 가득 찬 양념을 기호에 맞게 넣어서 먹는다. 비빔국수는 상추, 양파, 당근 등의 야채 고명에 양념을 넣어 비벼먹으며 면은 쫄깃하고 매콤하고 새콤한 맛으로 멸치육수를 함께 준다. 여름 메뉴로는 파주 잔단콩 콩국수가 있는데 고소하고 시원한 맛이 일품이다. 반찬으로 나오는 배추김치는 국수를 맛있게 먹는데 한몫한다. 이곳의 국수는 가격도 저렴하고 양도 푸짐하며, 양이 많아 한 그릇으로 충분히 배를 채울 수 있으나 원하면 국수를 더 추가해 준다. 행주산성 원조국수는 주말과 공휴일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다. 특히, 자전거 라이딩을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다. 인근에는 행주산성과 고양한강공원 등이 있다.
13.7Km 2025-01-0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도로 281-1
은지가족야영장은 당일치기 캠핑장으로, 주말과 공휴일만 운영을 하고 있다.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캠핑의 먹고 마시는 즐거움을 즐기기 좋은 곳이다. 숯은 1회 제공되며, 숯 추가나 불판은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매점과 관리사무소가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3.7Km 2025-03-20
서울특별시 중랑구 송림길 13 (상봉동)
쭈꾸미킹2.0 상봉점은 망우역 근처에 위치한 인기 있는 쭈꾸미 전문점이다. 이곳은 쭈꾸미볶음과 철판쭈꾸미볶음이 인기메뉴이며, 매콤한 맛이 일품이다. 다양한 세트 메뉴와 함께 고르곤졸라 피자도 제공되어 쭈꾸미와의 조화가 뛰어나다. 이외에도 매콤한 코다리조림도 판매하고 있다. 쭈꾸미킹2.0 상봉점은 쭈꾸미 애호가들에게 추천할 만한 맛집이다.
13.7Km 2024-12-23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 94
서울 송파구 석촌동에 위치한 뼈다귀 해장국 전문 식당이다. 커다란 뚝배기에 잘 고은 돼지 등뼈와 잘 삶은 우거지가 푸짐하게 제공하는 24시간 운영 식당이다. 뼈해장국과 우거지탕 두 가지 메뉴를 판매하며, 돼지뼈 위에 올려진 우거지가 인기다. 식당 벽에는 손님들이 써 놓은 글씨가 가득하다. 8호선 송파역헬리오시티 가락초등학교 길 건너편에 있다.
13.7Km 2025-04-22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로17번길 7 (행주내동)
행주국수는 행주산성 입구에 있는 제면하는 국숫집이다. 매장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고 안내해 주는 직원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깔끔하고 넓은 매장 내부에는 테이블이 많고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 식당은 선불제로, 매장 입구에 있는 카운터에서 메뉴를 주문하고 결제하면 테이블 번호가 찍힌 영수증을 확인하고 착석하면 된다. 매장 한쪽에는 직접 제면하는 제면소가 있으며 그 옆에 식기와 집기류, 물, 육수를 이용할 수 있는 셀프바가 준비되어 있다. 이곳은 추가 요금 없이 곱빼기 주문할 수 있고, 추어 국수는 공깃밥이 제공된다. 항상 대기가 많은 편이지만, 테이블 회전율이 높아 대기 시 오래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13.7Km 2025-09-02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내곡동)
헌릉은 조선 3대 태종(재위 1400~1418)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의 형식으로,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태종, 오른쪽(동쪽)이 원경왕후의 능이다. 1420년(세종 2) 원경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 현재의 자리에 능을 조성하였다. 원경왕후의 능을 조성할 때 태종은 자신의 능자리를 미리 만들었다. 2년 후 1422년(세종 4) 태종이 세상을 떠나자 원경왕후의 능 서쪽에 능을 조성하여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능침 봉분은 모두 병풍석과 난간석을 둘렀고, 병풍석에는 십이지신상과 영저(금강저) 및 영탁(금강령) 등을 새겼다. 봉분 주변으로는 문석인, 무석인, 석마, 정중석, 장명등, 석상(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를 배치하였다. 특히 문석인, 무석인, 석마, 석양, 석호 등은 다른 왕릉에 비해 두 배 더 배치되었는데, 이는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玄·正陵) 제도를 따른 것이다. 능침 아래의 신도비각에는 두 개의 신도비가 있는데, 태종이 세상을 떠난 후 세운 신도비와 1695년(숙종 21)에 원래 신도비가 훼손되어 다시 세운 신도비가 있다.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재위 1800~1834)와 순원황후 김씨(1789~1857)의 능이다. 인릉은 한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앞에서 봤을 때 왼쪽에 순조, 오른쪽에 순원황후를 모셨다. 1834년(순조 34) 순조가 세상을 떠나자 다음 해 파주 교하의 장릉(인조) 근처에 조성되었다. 그러나 풍수상 불길하다고 하여 1856년(철종 6)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긴 인릉 자리에는 원래 세종의 옛 영릉이 있던 곳이었는데, 인릉을 공사하면서 주변 땅에 묻혀 있던 세종의 옛 영릉 석물과 중종의 두 번째 왕비 장경왕후의 옛 희릉 석물을 다시 꺼내 다듬어서 사용하였다. 다시 사용한 석물은 문석인, 무석인, 석마, 장명등, 석상(혼유석), 망주석, 석양과 석호이며, 일부 석양과 망주석, 석마는 새로 제작하였다. 이는 인릉을 옮긴 후 편찬한 『인릉천봉산릉도감의궤』에 기록되어 있다. 인릉을 옮긴 후 다음 해 순원황후가 세상을 떠나자 인릉에 합장되었다. 능침 아래 비각 안에는 두 기의 표석이 있는데 1비는 조선시대에 세운 표석(순조대왕, 순원왕후)이고, 2비는 대한제국 때 세운 표석(순조숙황제, 순원숙황후)이다.
13.7Km 2025-06-18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31번길 49
031-389-2474
서울과 안양 도심에서 가까운 삼성산 산림욕장은 가볍게 즐기기 좋은 산림휴양지이다. 주로 산성산과 관악산 산행의 등산로로 이용된다. 산림욕장은 안양예술공원 입구부터 안양사와 제1·2전망대를 지나는 5km 구간으로, 안양사를 지나 삼성산 정상과 관악산까지 연결된 등산로의 일부이다. 울창한 숲길 사이로 운동기구와 쉼터 등의 편의시설이 조성되어 있고, 30여 분만 올라도 마치 정상에 오른 듯한 탁 트인 풍경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초,중입까지는 완만하여 아이를 동반한 가족의 산책 및 트레킹 코스로도 손색이 없다. 초보자나 가족을 동반한 산행이라면 중간의 쉼터나 안양사 또는 1전망대까지 오르기를 추천하며, 등산을 제법 즐기면 2전망대를 거쳐 삼막사나 삼성산 정상까지도 도전해 볼 수 있다. 삼림욕장에서는 안양사를 들러볼 수 있는데 안양시 시명의 유래가 담긴 절로 규모가 제법 있고,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안양사 귀부와 부도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인근에 관악산, 청계산, 광교산, 평촌중앙공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