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Km 2025-01-09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889
독바위는 삼국시대에 고구려 것으로 추정되는 토각이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며, 거대한 독바위 보루가 있고, 야외공연장과 맞은편에 갈대밭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과 연인끼리 산책하기 좋은 곳이다. 길 따라 독바위 전망대까지 거리는 짧지만 가파르게 철계단 등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양주시 전망을 내려다 보며 즐길 수 있다.
15.3Km 2025-05-12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190 (별내동)
불암사는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다. 신라 후기 헌덕왕 16년(824) 지증대사가 창건하였고, 도선이 중창하였으며, 무학이 삼창하였다. 불암사는 보물로 지정된 ‘석씨원류 목판’으로 유명하다. 석씨원류 목판이란 석가의 일대기나 전법제자들의 행적을 목판에 새긴 것으로, 1673년 승려 지십이 불암사에서 ‘석씨원류응화사적책판’이란 책을 펴낼 때 제작하였다. 자작나무판을 사용하였으며 양 끝에 나무를 끼워 나무판의 뒤틀림을 방지한 것으로 조선 판본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있다. 인조 16년(1638)에 왕명으로 역대 승려의 법통을 이어온 것을 판각한 것으로, 고창 선운사와 이 절에만 보존되어 있는 귀중본이다. 불암사 뒤 암 벽에는 근래에 조각된 마애삼존불이 있고 경내에는 1989년 태국과 스리랑카에서 가져온 부처 사리를 모신 진신사리보탑이 있다. 부처님의 모습을 닮은 산 아래 자리하여 이름마저 불암(부처바위)이라 하고, 부처님의 진신사리까지 모셔놓은 불암사는 그야말로 부처님의 도량이다. 이런 도량에서 많은 사람들이 정기법회와 기도를 드리며 정진의 시간을 이어가고 있다.
15.3Km 2025-01-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02-2148-5002
제24회 종로구 인왕산 해맞이 축제는 풍물패 길놀이를 시작으로 난타, 성악, 가훈써주기, 새해 소원지 달기 등다채로운 문화 행사를 통해 새해의 시작을 함께한다. 청운공원에서 떠오르는 해를 보며 희망과 소망을 나누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다.
15.3Km 2025-03-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일제 강점기 저항 시인 윤동주(1917~1945) 시인을 기리는 이 언덕은 서울 종로구 청운동 인왕산 자락 청원공원 내에 자리해 있다. 시인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에 다니던 1941년 종로구 누상동에 있는 후배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하숙했었는데 그는 이때 청운동과 누상동 일대를 산책하며 시상을 가다듬으면서 <서시>, <별 헤는 밤>, <또 다른 고향> 같은 대표작을 썼다고 한다. 청운동에 윤동주 시인의 언덕이 들어선 이유이다. 저녁 무렵 하숙집 근처 이 언덕에서 해지는 서울 풍경을 바라보며 조국의 어두운 현실에 가슴 아파하면서 시상을 떠올렸을 것으로 생각된다. 서시의 시비를 비롯해 가수 이승환과 그의 팬들이 기증한 소나무 10그루, 시인의 주옥같은 시를 새겨 넣어 눈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 돌계단 등으로 모습을 갖추고 있다. 서시의 시비 앞에는 ‘서울 밤 경’ 표지판이 세워져 있는데 윤동주 시인의 언덕에서 야경 보기 좋은 곳임을 안내하고 있다. ‘윤동주 소나무’로 불리는 소나무가 위치 한 곳도 해넘이 구간으로 일몰을 감상하며 사색하기 좋은 곳으로 이름나 많은 사람들이 혼자서도 찾는 곳이다. 윤동주 시인의 언덕은 2012년 7월 용도 폐기된 청운 수도가압장을 리모델링해서 조성한 윤동주문학관과도 이어져 있으며, 맞은편에 창의문이 있다.
15.3Km 2024-05-28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용암비루개길 219-88
031-841-7612
비루개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숲속에 위치한 카페이다. 휴식과 놀이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수목원 카페로 본래 식물원과 카페가 분리돼 있었지만 리모델링을 통해 현재와 같이 통합된 모습을 갖췄다. 유리온실의 형태를 띠고 있어 한겨울에도 실내가 포근하며 그물망, 테라스, 평상, 그네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형태의 좌석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또한 비루개는 탁구대, 보드게임 등 다양한 놀거리를 구비하였다.
15.3Km 2025-05-13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송산로679번길 24-28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쌈밥 전문점이다. 숲속으로 들어가는 듯한 길을 따라가면 식당이 나온다. 주변에 나무와 풀, 꽃이 많이 있어 자연을 마음껏 느끼며 힐링할 수 있다. 매장 내부로 들어서면 밝은 톤의 깔끔한 인테리어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내부 좌석은 물론, 야외 테라스 좌석도 있다. 제육쌈밥정식, 소고기쌈밥정식, 황태구이정식, 떡갈비, 낙지볶음, 문어숙회, 도토리해물전 등 여러 가지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추가 반찬과 쌈채소는 셀프 코너에서 마음껏 가져다 먹을 수 있다. 주차 공간이 넓어서 주차하기 편리하다.
15.3Km 2024-05-2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4-4
02-743-2096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구수한 보리밥과 영양돌솥밥, 자연스럽게 동동주를 부르는 감자전과 파전은 물론 매콤한 낙지볶음도 일품이다. 지리산에서 공수한 된장과 직접 간수를 뺀 소금, 고춧가루 등의 식재료를 사용하여, 건강하고 전통적인 맛의 요리를 손님들에게 제공한다.
15.3Km 2025-01-09
경기도 양주시 월정로 14
옥정신도시를 조성하면서 마을의 경계를 나타내거나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으로 쓰였던 선돌(문화재로 지정)이 이곳으로 옮겨지며 선돌공원이라 이름 지어졌다. 공원에서는 양주의 캐릭터인 ‘감동이’를 만날 수 있으며, 독바위가 보이는 주변의 넓은 공간이 갑갑한 마음을 확 트이게 한다. 자연 소재로 동물 모양을 한 토피어리 정원이 있고 넓은 잔디밭이 조성돼 있어, 가족과 함께 산책을 즐기기에 좋은 공원이다.
15.3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선잠로 28 (성북동)
성북동성당은 1975년 혜화동 본당으로부터 분리 설립되었다. 마당 한가운데 서 있는 성모상은 일반적인 성모상과 달리 아기 예수 대신 성경책을 끌어안고 있으며, 가르마를 탄 쪽진 머리도 인상적이다. 성북동을 방문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볼 수 있는 장소에 자리 잡고 있으며, 아름다운 건축물을 배경 삼아 사진 찍는 사람들이 많을 정도로 사랑받는 곳이다. 본당 스테인드글라스는 8개의 창에 성화와 그 이야기가 그려져 있다. 말구유에 누워있는 아기 예수와 성모마리아, 그리고 요셉이 묵상하는 모습, 동방박사들이 예물을 들고 경배하기 위해 오고 있는 모습 등이 있다. 성당 아래로 작은 형제회 수도원이 있고 위로는 길상사가 가까운 곳에 있으며 각국의 대사관, 박물관, 미술관 등 여러 사적이 많이 있다.
15.3Km 2025-07-14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동 고택 북촌문화길은 옛 정취를 느끼기에 제격인 곳으로, 600년 도성의 성곽을 사이에 두고 오랜 세월을 견뎌낸 성북동 고택과 북촌한옥마을의 고색창연한 길이다. 성북동 고택 북촌문화길은 가슴 아픈 사연을 간직한 사찰 길상사와 정법사, 만해 한용운 선생이 생애를 마친 심우장, 소설가 이태준 가옥 등의 역사적인 장소와 이태준이 머물면서 작품을 집필하던 개량한옥집으로 현재는 전통찻집으로 운영되고 있는 수연산방, 성북구립미술관 등의 문화공간으로 가득 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