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장 (1, 6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용산장 (1, 6일)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용산장  (1, 6일)

용산장 (1, 6일)

4.1Km    2023-12-05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용인길 4
061-860-0704

매월 1, 6일 등 5일 간격으로 장이 서고 있으며 주로 전남 장흥군 용산면 지역주민이 이용한다. 평일장에는 30~40명의 상인이 장을 펴고 장사를 하며 명절 때는 배 이상의 상인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신선한 지역의 농산물과 특산물, 먹거리 및 각종 생활 잡화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용산장(전남 장흥)(1, 6일)

4.1Km    2024-04-24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061-860-0704

매월 1,6일 등 5일 간격으로 장이 서고 있으며 주로 용산면 지역주민이 이용하고 있고, 평일장 에는 30 ~ 40명의 상인이 전을 펴고 장사를 하며 명절때는 배 이상 의 상인이 몰려 성황을 이루고 있다.

정남진 편백숲 우드랜드

4.3Km    2025-07-11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우드랜드길 180

정남진 장흥은 산과 바다와 강이 있는 아름다운 생태고을이다. 그중에서도 초록의 상쾌한 바람과 아름드리 40년생 편백나무가 빼곡히 들어선 정남진 편백숲 우드랜드는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장흥읍 시내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억불산 자락에 자리 잡은 우드랜드는 목재문화체험관, 전통한옥 등 아름다운 펜션 단지 생태건축체험장과 전남목공예센터 그리고 치유의 숲과 편백소금집(찜질방) 등을 갖추고 있다.

연곡서원

연곡서원

4.3Km    2025-03-17

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연곡길 31

장흥 연곡서원은 1698년(숙종 24년)에 노봉 민정중(1628∼169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1716년(숙종 42년)에는 민정중의 동생인 민유중을 추가로 모셨다. 민정중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호조·공조판서 등 여러 벼슬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1675년(숙종 원년)에 당쟁으로 장흥에 유배되었을 때 이 지방 선비들을 가르쳤는데 지금 있는 서원 자리에서 강회를 열었다고 전한다. 1726년(영조 2년)에 나라에서 인정한 사액서원으로 ‘연곡’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년)에 폐쇄되었다가 그 뒤 점차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연곡마을 뒷산 경사지에 있는 이 서원은 앞쪽에 교육 공간을 마련하고 뒤쪽에 제사 공간을 배치하였다. 교육 공간으로는 강당인 연곡당이 있는데 교육 장소와 유림의 회합장소로 이용하였다. 뒤편의 높은 단 위에 세운 사당은 민정중과 민유중의 위패를 모셔둔 곳이다. 왼쪽으로는 부속 건물을 마련하였는데 관리인의 숙소와 영조의 친필 현판을 보관하고 있는 어필각 등이 있다. 해마다 3월에 제사를 지낸다.

전라남도 마음건강치유센터

6.7Km    2025-08-27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로하스로 121

전라남도 마음건강치유센터는 원광대학교 장흥통합의료병원 2층에 위치한 정신건강치유 전문 기관이다. 코로나19 이후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한의학 기반의 통합의료를 중심으로 통합의학 치료, 산림치유, 아로마테라피 등 다양한 체험형 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전라남도 마음건강치유센터의 웰니스 프로그램은 당일, 1박 2일, 2박 3일 과정으로 운영된다. 모든 프로그램은 통합의학 치료, 힐링·치유 프로그램, 한방 교육(경옥환 만들기)으로 구성되며, 1박 2일과 2박 3일 프로그램에는 정남진 편백숲 우드랜드에서 진행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추가된다. 참여 인원은 최소 12명에서 최대 24명까지이며, 하루 3팀까지만 신청이 가능하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다.

부춘정원림

부춘정원림

6.7Km    2025-03-19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남평문씨 희개(希凱 : 호 청영(淸潁) 1550~1610년)가 정유재란 뒤 고향에 돌아와 세운 것으로 창건 당시에는 청영정(淸潁亭)이라 불렀다. 희개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하였으며 정유재란 때는 고창현감으로 수성(守城)에 공을 세운바 있다.청영정은 헌종 4년경(1838)에 청풍(淸風)김씨 영동정공파(令同正公波)의 후손인 김기성(金基成)이 사들여 오늘과 같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2실이 있는 팔작집으로 개축하고 이름도 부춘정으로 고친듯하다. 정(亭)의 서쪽에는 탐진강이 인접하여 남쪽으로 흘러가고 강안에는 붉은 소나무・푸조나무・개서어나무・단풍나무 등의 노거수가 수림을 이루어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또 정의 맞은편 강변에는 자미나무가 군식되어 여름철이면 장관을 이루었다고 하나 지금은 제거되고 제방이 축조되어 있다.

장흥 달바위펜션(Full Moon 달바위펜션)

장흥 달바위펜션(Full Moon 달바위펜션)

7.1Km    2024-11-27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비동동촌길 46
010-9175-4269

Full Moon 달 바위 펜션은 2인실 4인실 6인실 이상의 독채펜션이다.

영천수산

영천수산

7.6Km    2024-02-19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로 151

영천식당은 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운흥리에 있는 장어구이 전문점이다. 직접 양식한 국내산 민물장어만 취급해 싱싱하고 알이 굵다. 주차장이 넓어 자차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고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손님이 많아서 미리 예약을 하지 않으면 대기가 있을 수 있다. 민물장어 직판장에서 장어를 구입한 뒤 상차림비를 지불하면 직원이 직접 먹기 좋게 구워주고 잘라준다. 무한으로 제공되는 셀프 바에는 밥, 국, 반찬 등이 있어 필요한 만큼 가져다 먹을 수 있다. 가까이에 정남진편백숲우드랜드, 정남진전망대 천관산자연휴양림, 수문해수욕장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와보랑께박물관

7.7Km    2024-06-17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장강로 804-6

남도답사 일번지인 전라남도 강진군의 옛 조선시대 전라병영-병마절도사영, 16세기 네덜란드 선원 하멜 일행이 7년간 머물던 병영의 시골마을에서 수집된 생활 민속용품 3,000여 점과 어려웠던 지난 시절들을 추억하며 감상할 수 있는 옛 물건들이 가득한, 전국 최초 사투리 박물관이다. 와보랑께 박물관장(김성우)이 직접 운영하고 있는 이곳은 1997년 병영성 복원 사업이 시작되면서 병영성과 함께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만들어주고 싶은 마음에 모으기 시작한 60~70년대 생활 민속품들을 공개하게 된 것이 박물관을 개관하게 된 동기라고 한다. 동시에 이곳은 시와 그림들이 전시되고 있는 시골의 문화공간이기도 하다. 관장이 개발하여 그리고 있는 사투리 그림을 전시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있다. 이곳 박물관에서 출발하는 '와보랑께 해찰길'이 개발되어 있어 걸으며 농촌의 풍경을 보고 느낄 수 있다. 이미 수십 회 여러 방송과 잡지, 신문에 소개되었으며 인근 15km~20km 안에 있는 강진의 다산초당, 청자도요지, 영랑생가 등을 둘러볼 수 있다.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은 월출산, 수인산을 등반할 수 있다.

강덕사

강덕사

7.8Km    2025-03-16

전라남도 강진군 군동면 호라길 199-39

강덕사는 강덕서원이라고도 한다. 조선 헌종 12년(1846)에 후손들의 협력으로 시조 장경공 최사전을 비롯하여 최표, 최부, 최극충을 배향하고 있다. 최사전은 어려서부터 무술에 정통하여 여러 대에 걸쳐 임금을 섬기던 중 고려 인종 때 이자겸의 난을 평정하여 나라를 보존시켜 강진의 명예를 드높인 인물이다. 경내에는 외삼문, 내삼문, 강덕서원, 효인재, 강덕사 묘정비, 위패를 모시는 강덕사, 관세위, 망예위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3월 15일과 10월 15일에 제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