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회령진성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장흥 회령진성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장흥 회령진성

장흥 회령진성

19.2Km    2025-03-19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

회령진성(會寧鎭城)은 성종 21년(1490) 4월에 축조된 만호진성(萬戶鎭城)으로 남해에 출몰하는 왜구를 소탕하는 수군진(水軍鎭)이다. 회령진이 처음 설치된 시기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초에 설진 됐음은『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즉, 회령포진은 전라좌도도만호진(全羅左道都萬戶鎭)인 여도 관하에 내예, 돌산, 축두, 녹도, 마두, 달량, 어란 등과 함께 만호가 배치되어 중선 4척, 별선 4척 군 472명, 뱃사공 4명이 주둔하던 곳이었다. 그러나 이때는 방어와 수색을 위하여 수군첨절제사나 수군만호들은 항상 병선을 이끌고 해상을 왕래하였고 병선이 머무르는 곳으로 지정된 포소를 영・진으로 삼고 있었으나 여기에는 군량과 군기를 쌓아두고 있었을 뿐이었다. 아울러 병사가 없는 병선이 있어서 유사시 하번선군(下番船軍)이 집결하는 장소였으며, 또 평상시에는 해상작전을 하는 병선의 기항지인 동시에 보급기지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군은 병선에 승선하여 해상에서 왜적을 막아야 하였다.

성종 9년(1478) 7월에는 어란과 달량, 마도와 회령포 사이에 보를 설치하는 논의가 있었으나 실현되지 않았고 여러 포구의 만호 첨사유진처(僉使留鎭處)에 대한 축성이 논의되는 것은 성종 15년(1484) 10월의 일이다. 회령포진성은 마을의 뒷산을 이용 축성한 부정형 성으로 이 진성은 현재는 연륙 되어 있는 덕도와 노력도, 대마도, 대・소대구도 등의 섬들이 외호(外護) 하고 있다. 남아 있는 성벽의 총 길이는 616m이며 동벽은 깎아지른듯한 절벽 위에 축성하였으나 현재는 모두 훼철되었고, 다만 윤중 필 씨댁 부근에서 동문지(東門址)의 유구만이 확인될 뿐이다. 북벽은 현 높이 2.3m~2.5m, 너비 1.5m~2m로 150m 길이의 돌로 쌓은 성과 220m 길이의 흙과 돌로 새로 쌓은 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광도예원

청광도예원

19.3Km    2024-02-15

전라남도 보성군 사동길 52-11

청광도예원은 남도의 맛과 녹차 향이 머무는 곳으로, 자연과 예술이 함께 어우러진 식당이다. 오랜 전통이 느껴지는 한옥 건물에 깔끔한 실내 인테리어까지 더해져, 보성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가보고 싶은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차를 재배하는 지역에 있는 식당답게 녹차정식이 대표 메뉴이다. 보성 녹차 물에 밥을 말아 그 위에 굴비 한 점을 올려 먹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 밖에도 다양한 반찬들이 제공되어 한 상 푸짐하게 즐길 수 있다.

청우 황토펜션(보성그린빌펜션)

19.4Km    2024-11-27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사동길 54
061-852-4663

보성차밭(대한다원) 차량 1분거리 위치한 펜션이다

그린빌펜션

그린빌펜션

19.5Km    2024-11-27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사동길 52-2
010-7663-4663

그린빌펜션은 연인이나 가족을 위한 펜션으로 2층 유럽식으로 건축하였으며, 전경 및 인테리어 또한 꽃향기와 녹차향기가 물씬 풍기게 꾸며 놓았다. 야외에는 바베큐장이 마련되어 있고, 새벽 안개를 마시면서 산책을 하기에 적합한 녹차밭 산책로가 있으며, 가까운 곳에 율포해수욕장도 위치해 있다.

회진항

회진항

19.5Km    2025-04-03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 2184

회진항은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회진리에 있는 국가 어항이다. 조선 시대에는 ‘회룡포’라 불렸으며, 충무공 이순신이 백의종군을 명 받고 임지로 가는 도중 삼도수군통제사를 제수받아 전선 12척을 인수, 임진왜란의 전세를 뒤집은 발판이 되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회진항은 소설가 이청준과 한승원의 고향 바다로 소설 속의 정감 어린 장면들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곳이다. 이청준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임권택 감독의 영화 ‘천년학’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청정 해역과 접해 있어 감성돔, 농어, 갯장어, 낙지 등의 입질 좋은 어종이 많이 잡히기로 유명하다. 갯바위 낚시도 가능하며 선상낚시를 하려는 낚시꾼들로 항상 붐비는 곳이다. 항 주변으로 약초가 많이 난다는 부용산과 고운 여인의 치맛자락 형상이라는 억불산 등 명산이 많아 등산객들에게도 사랑받는 어항이다. 주변으로 늘어선 많은 횟집은 싱싱한 해산물을 판매하며 이곳의 명물인 된장물회는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맛을 선사해 준다.

할미꽃 한재공원

할미꽃 한재공원

19.5Km    2025-03-16

전라남도 장흥군 회진면 덕산리

남해로 둘러싸인 장흥군 회진면의 한재공원은 국내 최대의 할미꽃 자생군락지로 보송보송한 솜털로 치장한 검붉은 할미꽃이 지천으로 널려있다. 자생 할미꽃은 보통 3월 초순부터 꽃대가 일어서기 시작하고 3월 중순부터는 꽃봉오리가 올라온다. 그리고, 3월 하순부터 4월 중순까지 할미꽃이 지천으로 피어나 장관을 이룬다. 할미꽃은 꽃대가 구부러져 있어 초라한 들꽃 같지만 가까이에서 보면 아름다운 꽃이다. 이른 아침이나 오후의 햇살을 받아 자주색 꽃은 자수정처럼 반짝거리고 솜털 같은 꽃잎 주변의 잔털은 가볍고 부드럽다. 이 지역은 특별 관리 지역으로 할미꽃을 불법으로 채취하면 처벌받으므로 눈으로만 감상해야 한다. 한국 영화의 거장 임권택 감독의 영화 천년학 촬영지로도 유명하며 공원 위로 올라서면 드넓게 펼쳐진 다도해가 훤히 내려다보인다.

수진한옥펜션

수진한옥펜션

19.5Km    2020-04-27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사동길 37
010-8730-5361

녹차의 수도 보성에서 가장 큰 녹차밭 대한 다원과 근접하여 수려한 자연경관을 품은 한옥 마을에 위치해 있다.

보성군 해바라기 펜션

보성군 해바라기 펜션

19.6Km    2024-11-28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녹차로 899
061-853-8787

보성군 해바라기 펜션은 자연과의 조화가 가장 잘 어우러져 있고, 녹차밭과 500m 내외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아담하고 깨끗한 내부 시설, 바비큐와 편의시설 구비, 매점 운영, 넓은 주차장, 큰 고목나무와 휴게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자연의 정겨움과 인심을 느낄 수 있고, 깨끗하고 신선한 공기를 맡으며, 편히 쉬어갈 수 있다.

다산이 사랑한 쉼터

19.6Km    2023-08-09

강진에 위치한 백운동별서정원은 가을에 제일 아름다운 곳으로, 호남의 3대 민간정원으로 조선중기 처사 이담로가 조영하여 은거했던 별서 정원이다.

강진 백운동별서정원

19.6Km    2025-03-19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조선중기 처사 이담로(聃老, 1627~1701)가 들어와 계곡 옆 바위에 ‘백운동(白雲洞)’이라 새기고 조영(造營)한 원림으로, 자연과 인공이 적절히 배합된 배치와 짜임새 있는 구성을 이루며 우리 전통 원림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별서이다. 백운동이란 ‘월출산에서 흘러 내린 물이 다시 안개가 되어 구름으로 올라가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약사암과 백운암이 있었던 곳으로 전해진다.
월출산 능선의 기암괴석의 바위들이 보이는 이곳에 전형적인 호남전통원림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마침 이곳길도 해남부터 시작하는 삼남길이 지나는 길이기도 하다. 현재의 건물은 다산선생이 1812년 이곳을 다녀간 뒤 아름다운 경치에 반해 제자 초의선사에게 <백운동도> 를 그리게 하고 백운동 원림의 12승경을 노래한 시문을 남겼는데 이를 근거로 호남의 유서깊은 전통별서의 모습을 재현하게 되었다. 이담로는 옥판봉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그냥 떠나보내기 아쉬워 아홉 굽이 유상곡수를 만들고 정자를 앉혔는데, 꽃과 나무가 어우러지는 계곡에 눈이 머물다가 봉우리로 시선을 옮기며 경치를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최고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백운동 계곡은 강진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담양 소쇄원, 완도 보길도의 세연정 등과 함께 호남의 3대 정원으로 일컬으며 조선중기 선비들의 은거문화를 알려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출처:강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