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사(고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흥국사(고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흥국사(고양)

13.3Km    2025-07-29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국사길 82 (지축동)

흥국사의 창건은 지금으로부터 1300여 년 전 전인 서기 661년(신라 문무왕 원년)에 당대 최고의 고승인 원효스님이 북한산 원효암에서 수행 중 북서쪽에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산을 내려와 이곳에 이르게 되었다. 서기를 발하고 계신 석조 약사여래 부처님을 보신 원효스님이 인연도량이라 생각하여 본전에 약사부처님을 모시고 ‘상서로운 빛이 일어난 곳이라 앞으로 많은 성인들이 배출될 것이다’하시며 절이름을 흥성암이라 하고 오늘의 흥국사를 창건했다. 그 이후 사찰의 역사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자세한 자취는 알 수 없으나 서기 1686년(숙종 12)에 중창한 사실과 영조시대에 크게 발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서기 1758년(영조 34)에 미타전 아미타불을 개금 중수(복장연기문)하였고, 서기 1770년(영조 46) 생모 숙빈 최씨 묘원인 소녕원에 행차하다가 많은 눈을 만나게 되어 이곳에 들르게 된 영조대왕이 하루를 머물고 아침에 일어나 지었던 시가 비문에 전해진다. 이후 서기 1785년에 승도대장·관선·가선·법헌스님 등이 중창하였고, 1792년(정조 16)에는 관선·법선스님 등이 후불탱을 조성·봉안했다. 1867(고종 4)년에는 화주 곽명스님이 약사전을 중건하였으며, 1876년(고종 13)에는 화주 설허스님이 칠성각을 중건하였다.

어깨동무스토리움

13.3Km    2024-12-27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386 (상암동)

어깨동무스토리움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무료 실내 놀이터이자 어린이 체험 공간이다. 이곳은 블록 놀이, 미끄럼틀, 볼풀장, 미니 기차 마을 같은 다양한 놀이 시설과 유아 전용 도서관을 제공하며, 만 36개월 이하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들이 즐기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예약이 필수이며, 주차와 입장도 무료로 운영된다.

어깨동무도서관

어깨동무도서관

13.3Km    2025-07-31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386 (상암동)

어린이 전문 도서관으로, 박정희대통령기념관 내에 자리하고 있다. 다양한 어린이 도서와 독서 공간을 제공하며, 아이들이 책과 친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책과 놀이를 통해 어린이들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YTN

YTN

13.3Km    2025-06-30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상암동)

YTN은 국내 최초 24시간 뉴스전문채널로서, 시시각각 들어오는 뉴스를 보고 듣고 느끼는 견학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의 뉴스가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과 뉴스전문채널 YTN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생방송 장면을 직접 볼 수 있고 방송시설을 체험할 수 있어 생동감 넘치는 견학이 될 것이다. 24시간 뉴스채널의 생생한 모습을 체험 가능한 YTN 견학은 뉴스와 방송에 관심 있는 학생, 일반인들에게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북한산 둘레길 10구간] 내시묘역길

[북한산 둘레길 10구간] 내시묘역길

13.3Km    2025-07-23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02-900-8086

북한산 둘레길은 기존의 샛길을 연결하고 다듬어서 북한산 자락을 완만하게 걸을 수 있도록 조성한 저지대 수평 산책로이다. 둘레길은 전체 71.5㎞ 중 서울시 구간과 우이령길을 포함하여 2010년 9월 7일 45.7㎞를 개통하고, 2011년 6월 30일에 나머지 25.8㎞ 구간을 개통하였다. 사람과 자연이 하나 되어 걷는 둘레길은 물길, 흙길, 숲길과 마을길 산책로의 형태에 각각 21가지 테마를 구성한 길이다.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둘레길을 우리의 소중한 자연을 보존하는 길, 그리고 역사와 문화, 생태를 체험할 수 있는 길이다. 21가지 테마 중 10구간인 내시묘역길은 국군신의 예를 목숨처럼 여기며 왕을 그림자처럼 보좌하던 내시들의 역할과 삶을 재발견할 수 있는 길이다. 또한 이 구간에서는 북한산성 축성 당시 동원되었던 연인을 기다리다가 만나지 못하고 연못에 빠져 죽은 기생의 흔적인 ‘여기소’의 터도 볼 수 있으며, 8m 높이의 추명 발판이 설치되어 있어 아찔함을 느낄 수 있는 ‘둘레교’도 만나볼 수 있다. 거리는 총 3.5㎞이며, 약 1시간 45분이 소요된다.

멜란지베이커리

13.3Km    2024-01-18

인천광역시 서구 완정로92번길 26 검단아이파크 상가

매일 아침 유기농밀가루와 천연 통밀 발효종, 비정제원당 등 좋은 재료를 아낌없이 넣은 반죽으로 빵을 만든다. 적절한 발효 과정을 통해 속이 쓰리지 않고 편안하며 맛있는 빵이 완성된다. 케이크는 모두 동물성 100% 우유 생크림만을 사용하며, 캐릭터 케이크, 레터링 케이크도 예약 시 주문 가능하다. 빵은 당일 생산, 당일 판매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메이필드관광호텔

메이필드관광호텔

13.3Km    2024-04-24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대로 94 (외발산동)

-

올리브영 홈플러스강서

올리브영 홈플러스강서

13.4Km    2024-03-24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398 1층

-

홈플러스 강서

홈플러스 강서

13.4Km    2024-03-24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398 (등촌동)

-

파주 장릉(인조·인열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주 장릉(인조·인열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3.4Km    2025-07-02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장릉로 90

파주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재위 1623~1649)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1594~1636)의 능이다. 장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으로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인조, 오른쪽에 인열왕후를 모셨다. 장릉은 1635년(인조 13) 인열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다음 해 파주 운천리에 조성되었다. 이때 인조는 자신의 능 자리를 미리 만들었고, 1649년 인조가 세상을 떠나자 쌍릉의 형태로 인조의 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장릉이 풍수상 불길하고, 화재가 자주 일어나며 뱀의 피해가 잦자 1731년(영조 7)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기면서 능의 형식을 쌍릉에서 세종의 영릉(英陵)의 예에 따라 합장릉으로 바꾸었다. 현재 장릉 능침 석물은 옛 장릉의 석물과 옮긴 후 새로 만든 석물이 같이 있어 17세기와 18세기의 왕릉 석물의 형태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