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4Km 2024-12-03
인천광역시 계양구 성안길 22
커피상회는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경양식집이다. 수제 양식 요리와 커피로 구성된 세트메뉴로 알차고 푸짐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17.4Km 2025-04-23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428 (용두동)
서오능남원추어탕은 몸보신에 좋은 추어탕 맛집이다. 벽돌 무늬 외관에 빨간색 간판이 깔끔한 느낌을 주는 식당으로 앞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내부는 입식 테이블로 되어 있고 단체석도 마련되어 있다. 메뉴는 추어탕, 다슬기추어탕, 논우렁추어탕, 추어통탕이 있고, 불고기뚝배기, 추어튀김도 있다. 매일 담근 김치를 기본찬으로 내며, 추어튀김도 기본 반찬으로 준다.
17.4Km 2025-07-07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223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만취당 권율(1537~1599) 장군의 묘소이다. 선조 15년(1582)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55세 때에는 의주목사로 부임하여 북방 여진족을 방어하였다. 묘역에는 장군의 묘를 중심으로 좌우에 전부인 창녕조씨와 후부인 죽산박씨가 안장되어 있으며, 묘 앞에는 묘비와 상석, 향로석, 동자석 1쌍이 있고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 1쌍이 있다. 권율 장군 묘 뒤쪽 언덕에는 형 권순과 아버지인 권철의 묘가 차례로 모셔져 있다. 묘역 입구에 있는 신도비는 기존의 신도비 비문이 마모되어 1861년(철종 12)에 장군의 후손들이 다시 세운 것으로 장군의 일대기와 함께 자손들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다. 묘 아래에 있는 재실은 묘를 관리하고 제사 준비를 하는 곳으로 개방되어 있지 않다. 송추IC에서 차량으로 약 10분 소요된다. 인근에 장흥관광지(청암민속박물관, 가나아트센터, 두리랜드,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송암스페이스센터, 장흥자생수목원 등), 송추유원지, 일영유원지, 북한산국립공원,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 필룩스조명박물관, 회암사지 등이 있다.
17.4Km 2024-07-25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83-5
장흥유원지 초입에 있는 청암민속박물관은 우리 조상들의 삶을 생생히 볼 수 있는 근현대생활사박물관이다. 7080 추억을 소환하는 레트로 감성이 가득해 가족과 나들이하러 오기 좋은 장흥유원지의 명소 중 한 곳이다. 사립민속박물관으로 개관한 청암민속박물관은 넓은 정원 위에 1만 2,000여 점의 생활·민속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맛집으로 유명한 피자성효인방의 부속시설로 피자 맛이 알려진 전성기 시절 고객들이 길게 줄을 서 기다리는 모습이 안타까워 대기하는 시간에 잠시나마 둘러볼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 것이 시작이었다. 박물관은 총 7개의 전시관으로 제1관 종합관(민속품 전시), 제2관 꼬마 신랑관(옛 결혼식 전시), 제3관 테마관(옛 가게와 교실 등), 제4관 아트홀(전통공예 체험관), 제5관 청계천 거리 모습, 제6관 서각 전시장&세미나 하우스, 제7관 피자 체험 마을&각종 선물 코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에는 대장간, 우물가, 시장거리 풍경 등 우리네 생활상이 고스란히 묻어난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또 널뛰기, 제기차기, 그네 타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도 마련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어른들은 추억의 시간을, 아이들은 우리 조상들의 옛 생활상을 체험하는 시간을 가지며, 함께 운영하는 피자성효인방에 들러 쑥 크러스트 피자를 즐기거나 박물관 옆 카페에서 차를 마시며 힐링할 수 있다. 송추IC에서 차량으로 약 9분 소요된다. 장흥유원지 내에 있어서 가나아트파크, 두리랜드, 장욱진시립미술관, 송암스페이스센터 등이 인접해 있다. 인근에 필룩스조명박물관, 회암사지, 북한산국립공원,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 등이 있다.
17.4Km 2023-08-10
조선의 수도 한양을 방비하는 도호부가 설치되어 있던 양주에는 많은 문화유산이 남아있다. 국가중요무형문화재 2호인 양주별산대놀이와 찬란한 불교문화를 꽃피웠던 회암사지 등이 그것. 옛 것뿐 아니라 양주시립 장욱진미술관, 송암 스페이스센터, 조각공원 등 현대문화시설도 빼곡히 자리하고 있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 여행지다.
17.5Km 2025-06-11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02-540-3274
DMZ에서 평화통일을 향한 희망에 벅찬 질주가 시작된다. 민간인 통제 지역을 들어갈 수 있는 유일한 스포츠 축제 평화 걷기, 평화 마라톤대회이다. 공연과 마켓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란다.
17.5Km 2025-03-24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로 472
장흥유원지의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아세안자연휴양림은 서울을 비롯한 인천 일산 의정부 등에서 1시간 이내의 근거리에 있어 수도권에서 가장 접근성이 좋은 자연휴양림이다. 또한 한·아세안 간의 우호증진과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 화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아세안 전통가옥을 테마로 조성하여 숙박시설로 활용하고 있어 다양한 해외의 문화체험과 숲 체험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휴양림 주변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골짜기 및 능선을 따라 크고 작은 기암이 있고 안고령 유원지로 이어지는 계곡에는 작은 폭포 및 소 등이 펼쳐져 있어 수려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다.
17.5Km 2025-09-18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길 4 (개화동)
제일 한우촌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에 있는 소고기구이 전문점이다. 지하철 9호선 개화역 1번 출구에서 가깝다. 건물 앞마당에 주차장 있어 편리하고 소고기, 쌀, 배추, 고춧가루를 모두 국내산만 고집해 믿음이 간다. 가정집 내부를 그대로 사용해 어떤 메뉴를 주문하든 집밥 느낌이 강하다. 거실 중앙에 긴 테이블을 배치해 단체 회식이 가능하고. 거실을 중심으로 각각의 방이 있어 가족 단위 식사나 모임을 할 수 있다. 대표 메뉴는 황소모둠구이와 간장게장정식, 한우촌정식이 있다. 밑반찬이 푸짐하고 된장찌개도 제공되지만, 인원수에 맞춰 주문해야 한다. 주변에 경인아라뱃길 파크웨이와 강서한강공원이 있어 둘러보기 좋다.
17.5Km 2025-04-2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로 57 (용두동)
갈현냉면집은 서오릉 인근에 위치한 함흥냉면 전문점이다. 이곳은 항상 줄을 서서 먹는 맛집으로, 매장 입구에 대기 손님들이 기다리는 장소가 마련되어 있다. 냉면을 주문하면 고소하고 짭짤한 육수를 따라준다. 물냉면의 면은 아주 얇고 꼬들꼬들한 식감에 육수는 담백한 맛이다. 회 비빔냉면에는 계란 반 개, 무, 회, 오이가 들어가는데, 회의 쫄깃하면서 부드러운 맛과 배의 상큼함이 어우러져 중독성이 있다. 왕만두는 여섯 개가 나오는데 속은 두부와 고기로 이루어져 있고 담백한 맛이다.
17.5Km 2025-09-15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화석정로 152-72
율곡리 임진강가 벼랑 위에 자리 잡은 조선시대 양식의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겹처마의 초익공(初翼工) 형태이다. 정자에 서면 바로 밑을 흐르는 임진강을 굽어볼 수 있고, 난간에 기대어 보면 서울의 삼각산과 개성의 오관산이 아득하게 보인다. 세종 25년(1443) 율곡 이이(李珥)의 5대 조부인 강평공(康平公) 이명신(李明晨)이 세운 것을 성종 9년(1478) 율곡의 증조부 이의석(李宜碩)이 보수하고 몽암(夢庵) 이숙함이 화석정이라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정자에 대한 기록에 의하면 당나라 때 재상 이덕유(李德裕)의 별장인 평천장(平泉莊:경치가 매우 아름다웠다 함)의 기문(記文) 중에 보이는 ‘花石’을 따서 정자 이름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 후 이이(李珥)가 다시 중수하여 여가가 날 때마다 이곳을 찾았고 관직을 물러 난 후에는 이곳에서 제자들과 시와 학문을 논하며 여생을 보냈다고 한다. 당시 그의 학문에 반한 중국의 칙사(勅使) 황홍헌(黃洪憲)이 이곳을 찾아와 시를 읊고 자연을 즐겼다는 이야기도 전해 온다. 또한 왜구의 침공에 대비해 10만 양병설을 주장한 이이의 상소를 받아들이지 않은 선조가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 가던 중 한밤중에 강을 건널 때 이 정자를 태워 불을 밝혔다는 이야기로도 유명하다. 그 후 80여 년간 빈터만 남아 있다가 현종 14년(1673)에 이이의 증손인 이후지(李厚址)·이후방(李厚坊)이 복원하였으나 1950년 6·25전쟁 때 다시 소실되었다. 현재의 정자는 1966년 경기도 파주시 유림들이 다시 복원하고 1973년 정부가 실시한 율곡 선생 및 신사임당 유적 정화사업의 일환으로 단청되고 주위도 정화되었다. 건물의 정면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花石亭’ 현판이 걸려 있고 내부에는 이이가 8세 때 화석정에서 지었다는 ‘팔세부시(八歲賦詩)’가 걸려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