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Km 2025-03-15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도로 2084
남도의 소금강이라 불리는 석문공원은 석문(石門)이라는 이름 그대로 긴 세월과 비바람이 조각한 기암괴석들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만덕산과 석문산의 단절된 등산로를 연결하는 사랑⁺ 구름다리가 있다. 길이는 111m, 폭 1.5m로 산악현수형 출렁다리인 사랑⁺ 구름다리는 만덕산과 석문산의 단절된 등산로를 연결하고, 구름다리 양끝에는 하트모양의 게이트 겸 포토존 조형물이 설치되어 등산객들에게는 만남의 장소로 연인들에게는 사랑이 이뤄지는 장소이다. 구름다리에서 보는 석문산과 만덕산의 빼어난 경관은 보는 이에게 절로 감탄사가 나오게 한다. (출처: 강진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3.1Km 2024-06-17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옥련사길 86
옥련사(玉蓮寺)는 1951년 11월 능화스님과 인근 신도들의 노력으로 백련사 소속이던 송광암터에 초가집 두 칸을 지어 강진 대구면 용운리에 있는 정수사에서 목조여래좌상 1구를 옮겨와 봉안하면서부터 법등을 밝혀오고 있다. 이 불상이 1995년 12월 26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옥련사는 근래에 조성된 사찰이어서 규모가 아담하고 유물이 많지는 않다. 그러나 정수사에서 옮겨온 목조불상에서 1991년 5월 복장이 확인되었다. 복장을 확인한 결과 1684년경의 불상조상기문과 여러 권의 경전류 등 복장물이 나왔다. 옥련사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에 백련사가 위치해 있어, 1월에서 3월 사이에 강진을 방문한다면 백련사 동백나무숲의 동백을 감상할 수 있고, 다산초당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3.1Km 2024-06-12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백도로 2059-7
061-434-6660
강진 회춘탕은 다양한 한약재에 소금을 넣지 않고 푹 고아 담백하게 우려낸 국물에 문어·전복·닭 등을 넣고 끓인 보양식을 말한다. 강진 석문정 회춘탕은 원래 해산물이 풍부한 마량미항 부근에서 전해온 향토음식이라고 한다. 석문정은 강진군으로부터 강진 회춘탕 식당으로 인증 받은 곳으로, 황칠나무 등 6가지 한약재를 추가로 넣어 만들어 대접하고 있다. 직접 키운 닭과 국내산 약오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달걀과 감자가 들어간 닭백숙이 별미이고, 웰빙 오리요리도 손님들의 인기 메뉴 중에 하나이다 석문공원이 주변에 있어 맑고 시원한 물놀이장 시설에서 아이들과 함께 물놀이와 산책을 즐길 수 있으며 차량 이동으로 약 15분 거리에 다산초당과 백련사가 있다.
3.6Km 2024-05-31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해강로 577-36
영모당은 조선 숙종 13년(1687)에 건립된 해남 윤씨 문중 제각으로 해남 윤씨의 묘소가 모여 있는 곳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배치에 있어 유교 건축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일축선기법, 대칭에 의한 정형화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규모가 크고 부재의 결구기법이나 양식적인 면에서 뛰어나다는 점 등으로 높이 평가받아 2022년 11월 25일에 보물 제 28호로 지정되었다. 원래 이곳에 해남 윤씨들의 제실인 영모당이 건립된 배경은 한천처사 유익의 이곳에서의 은둔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진다. 유익은 어초은 윤효정의 증손자이자 행당 윤복의 손자로서 그의 형인 유겸과 함께 성균관유생으로 학문을 연마하였다. 그러던 중에 형인 유겸이 이이첨의 폐비 상소에 가담하자 이를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자 강진 한천동에 낙향하여 은둔생활을 하게 되었다. 유익은 한천동에서 우연히 개간 중에 선대의 묘전지석을 발견하였고 이로서 실전되었던 윤광전과 두 아들 원봉, 원학 3부자의 묘를 찾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유익을 중심으로 한 이곳 해남 윤씨들은 묘소를 새롭게 수축하였다. 이것이 바로 영모당인 것이며 이때부터 윤광전, 윤원봉, 윤원학 3부자를 제향 하기로 하였다고 한다. 영모당은 3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거의 원형이 유지, 보존되고 있으며, 행랑채, 우사 (바깥 행랑채) 등 제례의 기능을 충족시켜 줄 건물들을 고루 갖추고 있다. 이 지방 제각건축연구에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3.9Km 2024-07-11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중앙로 81
백반과 한정식으로 유명한 강진에 있는 우리식당은 푸짐한 백반 정식이 제공된다. 단체 손님이 많기 때문에, 전화로 예약한 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출입구 앞에 있는 한 테이블을 제외하고 모두 룸 형식의 좌식 테이블이다. 메뉴는 백반과 한정식으로 한정식은 4인 기준, 총 4종류로 다양하게 준비돼 있다. 백반 상에는 먼저 따뜻한 보리차가 나오며 15찬이 한 번에 제공된다. 김치 종류로는 배추겉절이, 묵은지, 갓김치, 양파김치가 있으며 가지나물, 고사리무침, 건새우 볶음, 감자조림, 애호박전, 어묵볶음, 오징어 숙회, 생선구이, 생굴과 키조개 관자 광어회, 생선회 등의 밑반찬이 나오고, 마지막으로 국과 밥이 제공되며 백반의 한 상이 완성된다. 한상 가득한 남도의 맛과 시골집에서 먹는 듯한 정겨운 맛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인근에는 석문공원, 백련사, 만덕산 등이 있다.
4.1Km 2024-10-31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효자길 38-24
금강사는 이순신 장군을 추향하고, 강진 출신 증병조판서 김억추 장군을 배향한 사우다. 사우 뒤편으로는 송림이 우거져 있는 등 비교적 경관이 양호하다. 1800년(정조 24년) 도내 유림들의 발의로 강진현 금강촌에 금강사를 창건하고 임진왜란 때 공이 많은 충무공 이순신(1545∼1598)과 현무공 김억추(1548∼1618) 장군을 향사하였다. 이 사우에 이순신 장군을 주정으로 모시고 김억추를 배정한 것은 김억추가 임진왜란 때 전라우수영사가 되어 이순신을 도와 명량대첩을 성공하는 등 인연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당과 강당 그리고 재명당, 동재, 내삼문, 외삼문 등으로 구성된 금강사는 사당과 강당이 약 45m의 거리를 두고 동서 쪽에 별도로 위치하고 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집이며, 이밖에 도유실, 고직사, 내삼문 등의 건물이 있다. 그리고 내삼문 앞 마당에는 좌측 충무공 이순신과 우측 현무공 김억추의 동상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이순신 동상 앞에는 사적비가 있고 그 옆 원사 건립에 관한 내력비가 있다.
4.7Km 2025-01-15
전라남도 강진군 칠량면 칠량로 76-1
청자 식당은 전남 강진군 칠량면 영동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바지락 회 무침이다. 음식을 주문하면 바지락 회 무침을 비롯해 대접에 담은 밥, 각종 반찬이 상에 오른다. 밥에 바지락을 넣고 기호에 맞게 비벼 먹으면 별미다. 바지락 회 무침은 포장이 가능하다. 음식점은 하저마을, 가우도 등 강진의 유명 관광지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5.9Km 2025-06-18
전라남도 강진군 가우도길 2-7
전남 강진군 가우도에 위치한 횟집 가우도 친구집은 자연산 활어 및 회덮밥, 탕 전문점이다. 가우도 출렁다리, 집트렉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가우도 친구집에서 식사를 하면 집라인을 할인된 금액에 이용할 수 있다. 해초비빔밥, 멍게비빔밥, 회덮밥 등의 식사 메뉴가 주를 이루고 간제미탕, 우럭탕 등의 탕 메뉴도 맛볼 수 있다. 또한 해삼, 소라, 개불 등의 싱싱한 해산물을 회로 맛볼 수 있다.
6.0Km 2025-03-19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신기리
전라남도의 ‘가고 싶은 섬’으로 선정된 가우도(駕牛島)는 강진의 8개 섬 가운데 유일한 유인도이다. 가우도는 강진 대구면을 잇는 저두 출렁다리(438m)와 도암면을 잇는 망호 출렁다리(716m)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조성된 생태탐방로 ‘함께해(海) 길‘(2.5km)은 산과 바다를 감상하며 걸을 수 있는 천혜의 트레킹 코스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가우도 함께해(海) 길은 도보로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출처 : 강진군 문화관광)
6.0Km 2024-05-03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강성길 77
추원당은 해남윤씨 덕정동파의 직계 선조인 윤사보와 윤경선생께 제사를 올리기 위해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주축이 되어 건립한 제각이다. 정조 5년(1781)과 1986년 3차례에 걸쳐 수리하였고 현재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앞면 5칸, 옆면 2칸 크기의 건물에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이며, 지붕 네 귀에는 활주를 세웠다. 행랑채는 추원당과 거의 같은 시기에 건립된 건물로 추정되는데, 트인 ㄷ자형 건물로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대청, 방, 부엌을 배치하였다. 옆에 딸린 우사는 앞면 3칸, 옆면 1칸 건물이며 외양간, 부엌, 방을 두었다. 추원당은 제각 건축 연구 자료의 가치와 조선사회 친족 조직이 변모하던 17세기 중반의 변화상을 반영하고 있는 의미있는 건물체이다. 건립 시기가 17세기 중반이 확실하고 같은 기능으로 건립된 강진 해남윤씨 영모당보다 40여 년 앞서 세워졌다. 또한, 이곳은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해남윤씨 족보 목판 93매를 보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