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수어문화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수어문화축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인천수어문화축제

인천수어문화축제

12.9Km    2024-10-17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032-882-2776

대한민국에는 국어와 더불어 동등한 자격을 가진 농인의 교유한 언어인 '한국수어'가 존재한다. 2016년 2월 3일 제2언어인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었으며, 농인과의 문화교류로 한국수어의 대중화와 나눔의 장을 확산한다. 시민을 대상으로 제2언어인 한국수어의 필요성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수어공연으로 자연스레 농인 문화와 한국수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킨다. 인천수어문화축제가 단순히 청각장애인들만의 축제가 아닌 인천 지역의 시민들이 함께 즐기고 수어로 소통하며 배울 수 있는 모두의 제2 언어 수어문화축제로 자리매김한다.

수봉공원

수봉공원

12.9Km    2024-12-2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안길 84

수봉공원은 수봉산 자락에 조성된 인천의 대표적 공원이다. 어린이 놀이터와 자연학습장을 비롯해 궁도장, 배드민턴장, 테니스장, 농구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곳곳에 현충탑과 재일학도의용군 참전기념비, 인천지구 전적기념비 등 호국 정신을 담은 기념비들이 세워져 있으며 실향민들을 위한 망배단도 설치되어 있다. 언제나 크고 작은 공연을 감상할 수 있고 민속공연이 열리는 전통 민속놀이마당도 있다. 공원 내의 은율탈춤 전수관에서는 무형문화재 공연이 연중 개최된다. 수봉공원에 자리한 인공폭포는 높이 37m, 폭 122m로 국내 최대 규모이다. 상하 두 개로 이루어진 폭포 앞에는 다양한 공연이 열린다. 폭포 사이에는 두세 명이 걸을 수 있는 회랑이 있는데 폭포와 공원의 경관을 관망하기 좋다. 수봉공원은 특히 야경이 아름답다. 2018년 인천 야간 경관 10대 명소에 이름을 올렸을 만큼 아름다운 야경을 자랑한다.

주인근린공원

12.9Km    2025-03-27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33-18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역과 남인천역 사이에 부설된 철도였던 주인선을 따라 조성된 공원이다. 1985년 11월 15일 주인선이 공식으로 운행이 중단되고 이후 철길만 존재하다가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단계적으로 구간별 폐선 구간을 주인공원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주인근인공원은 숭의동에서 용현동까지 기존의 주인선을 따라 주인공원이 연결되어 조성되어 있다. 간이 운동기구가 있어 주민들의 휴식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부분적으로 숭의동 주인공원, 주인근린공원, 용현동 주인공원의 형태로 차도에 의해 끊어진 구간에 따라 구분되어 있다.

늘솜당

늘솜당

12.9Km    2025-05-29

경기도 시흥시 하우로122번길 50-3 (대야동)

늘솜당은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60여 가지의 베이커리와 여러 종류의 카페 음료가 있다. 대표 메뉴인 솜당 라테는 콜드브루에 크림이 들어간 커피이다. 빵은 당일 제조하여 건강하고 퀄리티가 높은 빵을 맛볼 수 있다. 카페 앞 정원에 큰 잔디밭과 돌길이 있고, 파라솔 좌석이 놓여 있으며 돔형 하우스 안에도 좌석이 있다. 총 3층 건물로 1층에는 여러 좌석이 있고 2층에는 홀과 외부 테라스가 있다. 3층에는 루프탑이 있다. 녹음과 탁 트인 전망이 특징이다. 약 70대 이상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인천내동성공회성당

인천내동성공회성당

12.9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로45번길 21-32

영국 해군 종군 신부 고요한 주교 등 선교 동역자 6명이 1890년 9월 29일 인천항에 첫발을 내디뎌 선교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초대 성당 건물은 1891년 9월 30일 성당을 준공하였다. 1902년에는 한때 러시아 영사관으로, 1904년에는 성공회 신학원으로 1956년까지 운영되었으며, 당초 건물은 6·25 전쟁 시 소실되었으나 1956년 6월 23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형태는 지붕의 목조 트러스를 제외하고, 외벽과 주요 부재는 화강암으로 견고하게 쌓아 올린 중세풍의 석조이나 한국의 전통적인 목구조 처마 양식을 가미하였으며 창호 및 벽체 부분의 처리가 뛰어나다.

청정바지락칼국수

청정바지락칼국수

12.9Km    2024-12-26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463번길 7
031-912-7676

다시마, 감자, 마늘 등을 끓여 우려낸 육수에 천년초라는 손바닥선인장의 잎과 열매에서 추출한 색소를 섞어 반죽한 들깨수제비는 쫄깃쫄깃하고 담백하며 부드러운 맛이 난다.

인천통일관

12.9Km    2025-07-30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안길 84

수봉공원내에 위치한 인천통일관은 1994년 12월 개관한 인천지역 유일의 실증적 통일교육장으로 분단현실을 올바로 이해하고 통일 미래를 상상하는 문화, 체험, 전시공간이다. 통일관의 스토리구성은 분단의 아픔과 통일염원, 평화로 가는 길, 통일을 향한 노력 (역사, 정치, 문화), 통일의 관문 2030 미래 이음, 통일 향수, 하나된 통일한국, 고향의 봄날, 통일을 기다리며 로 구성되어있다. 시민들에게 북한실상을 있는 그대로 소개함과 동시에 통일에 대한 기대와 남북화해협력시대에 부응하는 통일관련 전시자료와 북한주민 생활필수품 전시, 북한발행 신문·책자의 열람, 북한에서 제작된 영화(극영화, 만화영화) 상영을 통해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하여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인천지역 유일의 실증적인 통일교육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송월동 동화마을

12.9Km    2025-07-28

인천광역시 중구 동화마을길 38

송월동은 소나무가 많아 솔골 또는 송산으로 불리다가 소나무 숲 사이로 보이는 달이 운치가 있어 지금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된 후에는 독일인들을 비롯한 외국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부촌을 형성하였으나, 수십 년 전부터 젊은 사람들이 떠나고 마을에는 연로하신 분들이 살다 보니 활기를 잃고 침체되었으며, 빈집들은 방치되고 있었다. 이런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꽃길을 만들고 세계 명작 동화를 테마로 담벼락에 색칠을 하여 동화마을로 변화하였다.

몽화가락

몽화가락

12.9Km    2025-04-22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394번길 19-9 (정발산동)

몽화가락은 일산 정발산동 밤가시마을에 있는 고깃집이다. 주차장은 따로 없고 가게 앞에 선착순으로 주차가 가능하나 협소하다. 풍산역 1번 출구에서 400여 미터에 있어서 지하철을 이용해도 좋다. 내부는 입식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집 숙성 삼겹살은 10일 동안 숙성한 고기여서 두꺼운데도 고소하고 맛있기로 유명하다. 밑반찬은 장아찌류와 파김치, 갓김치, 무절임, 쌈장, 마늘과 녹두전, 콩나물국이 나온다. 직원이 다니며 구워준다. 식사 메뉴로 애호박 칼국수가 유명한데 얼큰 국물과 맑은 국물 중 선택할 수 있다.

트릭아트스토리

12.9Km    2024-07-04

인천광역시 중구 동화마을길 42 (송월동3가)

송월동 동화마을에 있는 트릭아트스토리는 관객 참여형 놀이공간인 트릭아트 전시관이다. 트릭아트스토리는 2층 규모로 2015년 개관했다. 송월동 동화마을 안에 있어, 동화마을의 인기 관광 코스이다. 이곳에는 45점의 트릭아트 벽화가 전시돼 있다. 트릭아트란 과학적인 화법과 특수 도료를 이용해 그림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도록 입체적으로 그린 그림이다. 관람객들은 단순히 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 그림에 들어가서 포즈를 취하고 사진을 찍는 등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다. 트릭아트 외에도 동작 인식 시스템과 거울미로, 블랙 아트 등 흥미로운 전시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