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차 문화와 갯벌의 보고 무안 [웰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 차 문화와 갯벌의 보고 무안 [웰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우리 차 문화와 갯벌의 보고 무안 [웰촌]

17.7Km    2023-08-09

파도목장은 당시 정부에서 3000평당 한마리씩만 허용했었던 40여 년 전에 5마리의 젖소로 시작했다.

월야88민물장어

월야88민물장어

17.7Km    2022-11-08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월봉길 61-6

무항생제 인증과 HACCP 인증시설에서 직접 양식한 장어만을 사용하는 민물장어 전문점이다. 나비의 고장 함평의 달맞이공원 바로 옆에 있어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하기 좋은 곳이다. 주차장이 넓고 건물이 깔끔하며, 홀과 룸이 마련되어 있어 모임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장어구이는 입구 옆 손질된 장어를 골라 구입한 후 테이블에 앉으면, 각종 반찬과 함께 세팅이 완료된다. 보양식 맛집으로 유명한만큼 어르신들과 함께 찾는 가족 단위 손님들이 눈에 띄게 많다.

모평마을

모평마을

17.7Km    2024-09-02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상모길 80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한 모평(상모)마을은 역사와 전통, 그리고 생생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아주 특별한 농촌마을이다.예쁜 돌담길로 시작되는 모평마을은 함평군의 뿌리가 되는 마을이다. 마을전체가 고풍스런 전통한옥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27종의 역사문화 자원을 간직하고 있다. 마을 주변의 해보천(海保川)을 따라 늘어선 마을숲은 500여 년 전에 조성된 천연보호림으로 느티나무와 팽나무, 왕버들나무가 40여 그루 모여있는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특히 이 마을에서는 80년의 역사를 지닌 모평헌(募平軒), 소풍가(笑豊家), 희소문(喜笑門-영화황토민박집) 등의 한옥민박집에서의 숙박체험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기억을 되살려 복원시킨 물레방아간을 비롯하여 숲속 물놀이 체험장, 전통 찻집운영 및 녹차케익만들기, 장 담그기 체험, 오디따기, 누에 먹이주기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체험거리가 풍성하다. 또한 모평권역은 함평 나비축제, 용천사 꽃무릇(석산화) 축제, 국향대전 등의 축제가 펼쳐지며 자연생태공원, 생활유물 전시관 등 볼거리가 가득하여 매년 함평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모평권역에는 모평(상모)마을 뿐만 아니라 하모, 운곡(雲谷), 원산(元山)마을이 어우러져 있다.원산마을에서는 뽕밭 오디 체험과 농촌 전원체험이 가능하고 빼어난 경관을 자랑하는 마을호수가 있는 운곡마을에는 관광객들을 위한 휴식의 공간과 월양산 등산로를 갖추고 있다.

파도목장

파도목장

17.7Km    2025-03-17

전라남도 무안군 해운로 185-10 파도목장

파도목장은 전남 무안군 현경면 해운리에 위치한 체험목장이다. 넓은 초지와 바다를 배경 삼아 그림처럼 펼쳐진 풍경을 만끽할 수 있다. 우유 짜기, 소 꼴주기, 초지체험, 송아지 우유 먹이기 등 다양한 낙농체험을 할 수 있어 어린이에게 대자연과 교감하는 소중한 추억을 제공한다. 또한 만조시에는 출렁이는 해변가를 볼 수 있고, 간조시에는 뻘에서 갯벌체험을 즐길 수 있다. 수도, 화장실 등 편의시설도 갖춰져 있어 가족단위 캠핑도 가능하다.

달맞이공원

달맞이공원

17.9Km    2025-03-28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용월리 355-4

4,628㎡(1,400평)의 큰 규모를 자랑하는 달맞이공원은 연꽃이 피는 37,000㎡의 저수지와 길이 200m의 조롱박 터널이 자리 잡고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고 너른 잔디밭에선 축구 및 운동을 겸할 수 있다. 봄에는 빨간 철쭉이 가득하고 여름에는 저수지를 가득 메운 연꽃과 수련, 창포 등을 볼 수 있고, 가을에는 형형색색의 낙엽을 볼 수 있는 등 계절마다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하얗고 연분홍색을 띤 수생식물이 석양빛에 물든 풍경은 한 폭의 그림 같다. 연못 위로 놓인 오작교와 원두막도 운치 있으며 공원 곳곳에 조형물이나 벤치, 정자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한적한 나들이를 즐기기엔 안성맞춤인 장소다. 또한, 공원 이름처럼 이곳에서는 달이 뜨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데 매년 정월 대보름을 이틀 앞둔 날에 한 해의 소망을 비는 행사와 추석 전날 달맞이 행사도 열리고 있다.

송산목장

18.0Km    2024-11-18

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삼안길 68-100

광주 지평동에 위치한 송산목장은 광주 시내에서도 20분 내에 도착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성이 좋다. 송산목장 안에 송산 승마장, 송산 양떼목장, 송산카페가 한 곳에 있다. 차 한잔 마시며 동물체험과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는 광주 최고의 장소이다. 승마 체험이나 강습이 메인인 곳으로 체험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평일에는 카페 이용시 무료입장이 가능하다.

함평죽암리고분

함평죽암리고분

18.0Km    2025-03-17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죽암리

함평읍의 손불면과 신광면이 교차되는 지점으로 ‘떼등이’라 불리는 낮은 구릉에 있는 무덤들이다. 현재는 넓은 농경지를 바라보고 있지만 바다 쪽에 제방을 쌓기 전에는 바닷물이 무덤 앞까지 들어왔다고 한다. 무덤은 북동쪽이 타원형의 원형부이고 남서쪽이 사다리꼴의 네모형을 하고 있는 앞이 네모나고 뒤가 둥근 전방후원 형태이다. 함평 죽암리무덤은 영산강 유역의 전남지방에서만 발견되는 무덤으로 일본의 전방후원 무덤과 유사한 점이 많아 두 나라의 고대사와 무덤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출처 : 국가유산청)

백련카페

백련카페

18.1Km    2024-12-24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복룡리

백 년 가게를 지향하는 백련카페는 회산 백련지에 위치한 아름다운 카페다. 수상 유리온실을 갖춰 싱그러운 식물들과 함께 신선하고 상쾌한 분위기에서 커피를 즐길 수 있다. 크로플 맛집으로 이름난 이곳은 주문 즉시 크로플을 구워 바삭바삭한 식감을 즐길 수 있고 반려견을 동반할 수 있다. 바로 근처에 회산 백련지 오토캠핑장, 회산 백련지 연꽃 방죽 관광지가 있어 둘러보기 좋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단, 개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허용)

억새밸리존

억새밸리존

18.2Km    2025-07-18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석성리

함평군 주포한옥전원마을 안에 있는 억새밸리존에는 그 이름값을 하는 듯 억새가 가득하다. 억새와 함께 핑크뮬리, 코스모스 등이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며 가을 정취를 물씬 즐길 수 있도록 관광객들의 눈을 즐겁게 해 준다. 서해를 배경으로 펼쳐져 있는 돌머리 해수욕장 인근에 한옥마을이 마련되어 한옥과 바다, 억새가 어우러진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10,000㎡ 규모의 큰 공간을 자랑하기에 가을이 깊어갈수록 인생 사진을 찍으러 오는 사람들로 붐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곳인 만큼 산책로도 잘 마련되어 있으며 음악회 등 각종 행사도 열리곤 한다.

운흥사(나주)

18.2Km    2024-06-11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암정로 398

운흥사는 전통사찰로, 1775년 정문이 쓴 진여문4중창기에 의하면 당 희종년간(846∼887)에 도선국사가 이곳의 지세가 좋아 흥덕으로부터 와서 이곳 도성암에서 첫 강회를 열고 터전을 닦은 후 신라 효공왕 년간(897∼911)에 웅점사로 개칭되었고 웅치사, 운흥사로 바꾸었다. 1775년 당시에는 대웅전 침계루 등 380여 칸의 규모를 갖춘 사찰이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어 규모가 축소되었다가 1998년 혜원스님이 부임하면서 대불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운흥사는 조선 후기 승려인 초의선사가 출가한 곳으로도 유명하다. 운흥사 입구에는 운흥사와 문화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남녀 한 쌍의 돌 장승이 있다. 사찰 앞에 세우는 사찰 장승은 경내의 부정을 금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의 기능을 지닌다. 석장승은 사찰에서 500m쯤 떨어진 밭 가운데 마주 보고 서 있는데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의 모습이다. 남장승은 높이 270㎝, 둘레가 192㎝에 달하는 거대한 체구로 크고 둥근 눈에 뭉툭한 코, 송곳니가 삐져나와 있지만 인자한 할아버지의 얼굴이며 몸체에는 상원주장군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여장승은 웃는 표정으로 소박한 모습이다. 깊은 선으로 둥근 눈이 표시되었고 입언저리의 잔 수염과 주걱턱 표현이 인상적이고 몸체에는 하원당장군이란 이름이 새겨있다. 여장승의 뒷면에 기록된 조선 숙종 45년(1719)이라는 내용을 통해 정확한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다. 사찰의 위치가 '다도면'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지역은 조선시대의 차 문화와 관련이 깊으며, 지금도 사찰 주변에 야생 차나무들이 자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