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향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향식당

9.3Km    2024-06-12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중촌길 20-3
063-563-1326

3대째 맛을 이어오고 있는 전통 장어구이 전문식당으로 현지인이 추천하는 고창의 맛집이다. 풍천장어구이가 주메뉴인 고향식당은 순수 국내산 풍천장어를 엄선하여 30여 가지의 생과일과 한약재로 24시간 동안 정성껏 우려낸 소스를 발라 장어의 특유의 육즙과 맛을 유지하고 있다. 풍천장어는 강물과 바닷물이 어우리는 곳이면 어디서든지 구경할 수 있는 뱀장어의 일종이지만 선운산의 풍천장어는 그 맛이 더욱 담백하고 구수하다. 장어구이뿐만 아니라 산채비빔밥, 도토리묵 등 메뉴가 다양해서 장어를 먹지 않는 사람들도 맛있는 한 끼를 즐길 수 있다. 정갈하고 맛깔스러운 반찬들은 텃밭에서 직접 재배한 재료로 만들어 제공되고 있다.

선운산호텔

선운산호텔

9.3Km    2024-11-0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중촌길 21
063-561-3377 063-561-4801

선운산호텔은 200여 명이 동시에 식사할 수 있는 한식당과 대연회장 및 소연회장을 비롯한 각종 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98년에 세계 고인돌 학술세미나를 저희 호텔에서 개최함으로써 국제 학술세미나의 성공에 일조한 바 있다.

황소식당

9.4Km    2025-07-24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중촌길 15
063-563-4646

선운산 입구에 있는 황소식당은 주 메뉴인 풍천 장어구이가 유명한 집이다. 풍천장어는 물론이고 콩나물국밥도 판매하고 있다.

뭉치네풍천장어전문

뭉치네풍천장어전문

9.4Km    2025-07-2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중촌길 13
063-562-5055

선운사 입구에 위치한 한식당으로 고창의 명물인 장어구이와 산채비빔밥, 도토리묵 등의 메뉴가 있고 직접 채취한 산나물로 만든 산채비빔밥이 인기이다.

숲길 따라 만나는 고색창연한 절집 풍경, 내소사와 개암사

숲길 따라 만나는 고색창연한 절집 풍경, 내소사와 개암사

9.4Km    2024-01-18

내소사와 개암사는 너무도 닮아 있는 사찰이다. 경내로 들어가는 진입로, 단청을 칠하지 않아 고풍스러운 느낌이 강렬한 대웅전과 아름다운 꽃창살까지 비슷하다. 하지만,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천년고찰답게 절집을 둘러보는 느낌은 사뭇 다르다. 내소사의 전나무숲길, 할머니와 할아버지당산, 대웅보전의 꽃창살과 동종, 개암사의 대웅보전과 울금바위가 어우러진 전경은 꼭 찾아봐야할 절집의 명소다.

개암사

개암사

9.4Km    2025-07-21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부안군 우금산에 있는 백제시대 고찰이다. 개암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의 말사로 634년(무왕 35)묘련이 창건하였다. 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의 문왕이 진한과 마한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을 때, 우와 진의 두 장군으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 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676년(문무왕 16) 원효와 의상이 중수하였고, 1276년(충렬왕 2) 원감국사 때는 30여 동의 건물을 세워 대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황금전을 제외한 전 당우가 소실되었고 1636년(인조 14)에 계호스님이 다시 중창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개암사 뒤, 우금암을 포함한 길이 3,960m의 우금산성(주류성)은 백제의 유민들이 왕자 부여풍을 옹립하고, 3년간에 걸쳐 백제부흥운동을 폈던 사적지로도 유명하다.

고창 선운산 유스호스텔

고창 선운산 유스호스텔

9.4Km    2024-05-2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158-36
063-561-3333 063-561-3445 063-561-3446

고창 선운산 유스호스텔은 선운사 입구에 위치하여 사계절 선운산의 관광을 즐길 수 있으며 한적하고 공기가 맑다. 약 250여 명이 숙박이 가능한 53개의 객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식당, 대강당, 세미나실,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어 학생수련활동, 수학여행, 기업연수, 대학교 MT 및 OT로 활용이 가능한 최적의 숙박시설이자 가족 여행의 숙소로도 안성맞춤이다. 선운사 유스호스텔은 리모델링 작업을 통해 오래된 시설을 보완해 가고 있으며, 요즘의 현대적인 세련된 맛은 없지만 외적인 것을 대신하는 유스호스텔 직원들의 친절함이 그 모든 것을 잊게 해 준다. 물론, 시설은 깨끗이 유지되고 있으며 쾌적하고 편리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뛰어난 가성비가 이곳을 선택하게 만든다.

청림리 석불좌상

9.4Km    2024-10-29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부안군 상서면 개암사에 있는 조선 전기 석조 지장보살 좌상이다. 청림리석불좌상은 구 청림사지에서 개암사로 옮겨졌다. 이 석불좌상은 목과 가슴 사이가 깨진 것을 시멘트로 접합하여 원형을 알 수 없고 마멸도 심하여 장신구가 어떠하였는지 알 수 없으나, 목 아래쪽에 돌대가 조각된 것으로 보아 목걸이가 조각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머리에 쓰고 있는 두건은 어깨와 등 부분까지 길게 늘어져 있으며 손은 오른손 위에 왼손을 포갠 뒤 양손의 엄지손가락을 곧게 펴 맞대고 있다. 모은 손바닥으로 구슬을 감싸 쥐고 있는 전형적인 두건 지장보살상이다. 좌불좌상이 있는 개암사 주변에는 복신굴, 우금산성, 울금바위 등이 있다.

선운산 (전북 서해안 국가지질공원)

선운산 (전북 서해안 국가지질공원)

9.4Km    2025-07-17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158-6

일몰이 아름다운 것으로 알려진 선운산의 낙조대와 천마봉 일대는 화산암 중 하나인 유문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문암은 주변의 응회암보다 단단하고 치밀하여 풍화에 강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유문암과 응회암 간의 차별적인 풍화작용에 의해 주로 유문암이 수직에 가까운 암석 절벽을 이루고 이뤄 수려한 자연 경관을 관찰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선운산 일대에서는 수려한 자연경관과 함께 암석의 풍화작용의 특징을 이해하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출처 : 전라북도지질공원>

선운산 생태숲

선운산 생태숲

9.4Km    2025-07-28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로 158-6

선운산 생태숲은 고창군 아산면에 위치한 숲길로 선운산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생태숲에는 생태연못과 자연습지, 야생수목 학습공간, 자연탐방로, 잔디광장 등의 자연학습 및 휴식공간과 전국 8도를 상징하는 ‘팔도숲’도 들어서 있다. 총면적 53만㎡, 시설 면적 8만 6000㎡로 자생 수목 군락지, 소나무 군락지, 서어나무 군락지, 동백나무 군락지 등 선운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고유 보호종들과 야생화를 둘러보고 생태숲 나무 사이에 세워진 조형물들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여름이면 나무데크길이 조성되어 있는 생태연못에 연꽃이 가득 피어나고 가을에는 꽃무릇으로 생태숲은 온통 붉게 물든다. 동백꽃 군락지도 조성되어 있어 겨울에 방문해도 좋다. 선운산 생태숲에는 사람들을 잘 따르는 순한 고양이들이 숲과 꽃그늘 사이에 한가로이 잠을 청하고 그 모습이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 짓게 만든다. 선운산도립공원 내의 선운산 생태숲은 선운사와 산책길로 연결되어 자연을 즐기며 일상에서 휴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장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