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 구도[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스테이 구도[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스테이 구도[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스테이 구도[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5.0Km    2023-03-21

전라남도 목포시 마인계터로11번길 4
010-8604-7327

구도는 목포 죽동 끝자락에 자리한 한옥스테이로, 함께한 이들과 온전한 시간을 보내며 편안한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침실, 거실, 부엌, 테라스, 욕실, 족욕탕과 마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집이 앞마당과 뒷마당을 잇는 통로 역할을 하며 자연을 충만하게 담고 있다. 기와는 이웃집만큼 올라와 있고, 담장은 동네를 닮은 색을 띠고 있어, 낯설지만 낯익은 공간으로 다가온다.

스테이 구도

15.0Km    2024-12-18

전라남도 목포시 마인계터로11번길 4 (죽동)
010-8604-7327

목포 죽동은 오래된 세월을 간직하고 있는 동네입니다. 빛바랜 간판, 녹슨 대문, 담장을 넘는 커다란 나무. 흘긋 스치며 다니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죽동 끝자락에 자리한 구도는 고요합니다. 함께한 이들과 온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오래된 동네, 안온한 공간, 평온한 쉼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신안갯벌박물관

15.0Km    2024-06-18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766-15

신안갯벌박물관은 신안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기념하는 공간으로써, 2006년 개관한 신안 갯벌센터·슬로시티센터(구, 증도 갯벌생태전시관)를 리모델링하여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지하 1층, 지상 3층의 규모로 국내 최대이자 최초의 갯벌생태 교육공간이자 박물관이다. 갯벌의 탄생 과정과 우리나라 갯벌의 모습, 갯벌에 사는 여러 생물들에 대한 전시를 볼 수 있다. 영상실에서는 신안군의 아름다운 섬과 갯벌에 대한 홍보영상물도 수시로 상영된다. 밀물 썰물의 관찰과 소리 체험이 가능한 체험 전시관에는 갯벌의 생태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영해공원

15.1Km    2025-04-03

전라남도 무안군 운남면 동암리 1094

무안의 작은 어촌 마을에 자리한 영해공원은 면민과 관광객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나무로 된 정자 두어 개와 피크닉 테이블이 있어 주말이나 공휴일에 피크닉과 낚시를 하러 오는 관광객들에게 좋은 쉼터가 되어준다. 가벼운 취사가 가능해 고기를 구워 먹거나, 공원에 마련된 평상에 텐트를 치고 캠핑을 즐기는 이들도 많다. 해맞이 명소이기도 한 영해공원은 매년 새해가 되면 면에서 주최하는 해맞이 행사가 열려, 군민과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몰리는 곳이기도 하다.

[증도 모실길 4코스] 노을이 아름다운 사색의 길

15.1Km    2024-10-31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061-240-8358

신안군의 증도는 때 묻지 않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섬으로 2007년 12월 1일 아시아에서는 최초의 슬로시티로 지정된 곳이다. ‘증도 모실길’은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거북이처럼 느긋하게 걸으며 증도만의 독특한 매력을 느끼며 해안선을 따라 한 바퀴 도는 일주 코스이다. [증도 모실길 4코스]노을이 아름다운 사색의 길은 증도대교 관광안내소에서 북서쪽 해안 길에서 시작하는, 약 3시간 소요되는 10.3km의 길이다. 고즈넉한 포구와 돌담길이 있는 염산마을과 방축리 해안 곳곳의 낙조 전망대에서 일몰을 감상하기 좋은 코스이다. 옛 고깃배들이 드나들던 나룻구지 ‘몽넹기 파시’가 열렸던 하트해변을 지나면 중국 송·원나라 때 유물 2만여 점을 발굴한 방축리 해안에 이르게 된다. 이곳에서 발굴한 방대한 규모의 신안 해저유물은 당시 교역사와 동양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고, 증도를 보물섬이라고 부르게 된 계기가 되었다. 증도 북서쪽 해안 길로 고즈넉한 포구 풍경과 일몰을 감상하기 좋은 코스로 구간 대부분이 그늘이 없으므로 양산이나 모자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선도

15.1Km    2024-05-09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선도길 74-2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에 딸린 선도(蟬島)는 섬의 생김새가 매미 같이 생겼다 하여 맵재, 선치도, 선도라 불렸다고 전해 오고 있다. 해안은 사질해안이 많으며, 섬 주위에는 간석지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 만입부를 방조제로 막아 농경지와 염전으로 사용하고 있다. 남쪽의 일정도와 청도도 방조제로 연결되어 선도와 합쳐져 있다. 퍼플섬과 같이 섬내 모든 건물 지붕이 노란색이다. 마을 곳곳 마다 아름다운 노란 수선화 벽화가 그러져 있고 바람에 흩날리는 수선화 향이 가득한 곳이다. 선도가 '수선화의 섬' 이 된 것은 서울생활을 접고 남편의 고향인 선도로 귀촌하신 '현복순' 할머니가 자신의 집 마당과 주위에 애지중지 키운 수선화 덕분이다. 수선화는 어느새 꽃동산으로 변모했고, 주민들이 이를 따라 하나 둘씩 심기 시작했다. 신안군에서는 집집마다 수선화가 피어 있는 모습에서 착안해 작은 섬 선도를 수선화의 섬으로 변모시켰다. 그로 인해 2019년부터 매년 4월 초 10일간 수선화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수선화 카페 주변으로는 트릭아트 포토존도 있으며 선도 전지역은 드론 촬영 가능 구역으로 사진촬영 장소로도 유명하다.

세월호목포신항만거치

15.1Km    2025-03-19

전라남도 목포시 신항로294번길 45

2014년 4월 16일 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는 승객 304명이 사망ᆞ실종된 최악의 인재로, 침몰 3년 만인 2017년 3월 인양 후, 목포 신항만으로 옮겨와 4월 육상 거치되었다. 이후 2020년, 세월호 희생자 가족 단체 의견과 목포시민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목포 신항만이 거치 배후부지로 최종 확정되었다. 거치된 세월호는 선체 보존 처리를 마친 후 보존되며, 주변 일원엔 대형 참사를 추모ᆞ기억하는 공간 겸 국민의 안전의식 고취 및 재난 대처 능력 향상을 위한 안전교육 체험 복합관이 건립될 예정이다.

엘도라도리조트 [우수숙박시설 굿스테이]

엘도라도리조트 [우수숙박시설 굿스테이]

15.1Km    2025-07-18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지도증도로 1766-15

엘도라도리조트는 전라남도 서남해안의 대표리조트로 국제 슬로시티로 지정된 럭셔리 오션 빌라형 리조트이다.(2011년 국토해양부 장관상 수상) 크고 작은 신비의 섬들이 가득한 서해안 다도해, 신안군 증도에 위치하여 섬과 바다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시간조차 쉬어 가는 꿈의 휴양지이다. 끝없이 펼쳐진 리아스식 해안과 흰모래사장, 눈부신 햇빛과 바다, 맑은 바람과 자연으로 둘러싸여 시간이 멈춘듯한 정적과 여유를 선사한다. 최고의 바다전망을 내려다볼 수 있는 오션뷰 형태의 빌라형 숙박시설, 모래사장과 직접 연결된 야외수영장과 인피니티 풀, 레스토랑, 편의점, 해수 테라피 등 부대시설은 여행객의 피로를 말끔히 씻어준다. 엘도라도리조트는 환상적인 낙조와 4㎞의 우전해수욕장과 해송숲, 그리고 천연 게르마늄 갯벌과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태평염전으로 풍부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변의 관광지로는 태평염전, 소금 박물관, 드라마 촬영지, 소금밭 전망대 등이 있다.

삼광모텔

15.1Km    2024-12-04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로 38
061-242-5856

삼광모텔 사우나는 목포 유달산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8층 높이의 조망과, 대형 모텔과 더불어 사우나를 운영하고 있다. 저렴한 숙박료로 운영하며 숙박 이용 시 사우나는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대형룸과 더블 침대도 완비되어 있고 넓은 주차장을 두고 있어서 관광손님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 (정보제공자: 목포시청)

가톨릭 목포 성지

15.2Km    2024-05-22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동

1987년 광주 대교구 최초의 본당이 세워졌던 가톨릭 목포 성지에 순교자와 레지오 마리애 첫 도입을 기념하여 2020년 성당 700석, 소성당 200석 규모의 성당을 건립하였다. 산정동 성당은 우리나라의 첫 번째 준대성전으로, 준대성전이란 역사적, 예술적, 신앙적인 면에서 중요성을 인정받아 교황에 의해 특전이 부여되는 곳을 말한다. 이곳에는 3대 보물이 있다. 성녀 소화 데레사 유해와 성녀 소화 데레사 부모님 유해, 성 십자가 보목이 그것이다. 메모리얼 타워의 원형 통로를 내려가면 가톨릭 역사 박물관으로 갈 수 있다. 가톨릭 목포 성지 역사 박물관은 천주교 광주 대교구 구교구청으로 사용되었고, 성골롬반외방선교수녀회, 성심 간호전문대학, 샬트로 성 바오로 수녀회에서 사용하다가 2017년 역사 박물관으로 꾸며 광주 대교구의 역사와 한국 레지오 마리애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장으로 개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