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신도시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관신도시시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정관신도시시장

0m    1     2023-06-10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6로 5-20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부산광역시에 편입된 기장군 지역에 새로이 만든 정관 신도시에는 2019년 기준 8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매월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에 정관동원로얄듀크 2차아파트, 정관 우성 스마트시티 인근에서 열리는 정관 신도시 시장은 신도시 주민들에게 사랑 받는 시장이다. 뻥튀기, 족발, 건어물, 어묵, 고기 유부 주머니, 계란, 과일, 각종 화분 그리고 직접 농사지은 채소를 판매하는 어르신들 덕분에 상차림이 더욱더 풍요로워질 것이다.

느루 한정식

느루 한정식

10.0 Km    4     2022-12-06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샘로 478 조은골프연습장

느루한정식은 부산 금정구 남산동에 있다. 단품 메뉴도 있지만 대부분 세트 메뉴인 황토상과 느루상을 주문한다. 음식들은 수수하고 담백한 느낌으로 모든 요리에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주문을 받으면 음식을 바로 만들어 내는데 특히 탕, 수육, 전, 튀김 등은 따뜻하게 먹어야 맛있기 때문이다. 주차는 느루한정식 옆 골프연습장 주차장에 할 수 있고 차량번호를 카운터에 등록하면 1시간 30분 무료 주차가 가능하다. 범어사, 금정산이 인접해 있어 식사 전후에 둘러보기 좋다.

내원암(울산)

내원암(울산)

10.0 Km    23538     2024-06-14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상대길 382

내원암은 울산12경 가운데 하나인 대운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신라시대의 고찰 가운데 하나이다. 석남사, 문수사, 신흥사와 함께 울산 지역의 4대 고찰 가운데 하나로, 신라시대 고봉 선사가 창건하였다는 대원사의 암자로 현재 대원사는 내원암 입구에 터로 남아있다. 주변은 울산12경 가운데 하나로 계곡물이 맑고 깨끗하기로 유명하여 울산과 주변 지역 시민들이 즐겨 찾고 있는 곳이다. 내원암의 자랑인 팽나무 고목은 500여 년의 세월을 온몸으로 버티고 있는 터줏대감인데, 모습이 코끼리를 닮았다고 하여 보는 이의 눈길을 끌기도 한다. 근래 들어서는 종교 간에 얽힌 마음의 장벽을 허물고자 매년 울산지역 성직자들이 함께 참가하는 산사음악회를 개최하고 있어 지역사회에서 호응을 받고 있다.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내원암은 울산지역의 대표적인 기도처이면서, 종교를 초월하여 지역의 모든 이들을 포용하는 문화공간의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고 있다.

내원암 계곡

내원암 계곡

10.0 Km    1     2023-12-04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대운상대길 382

울산 대운산의 내원암 계곡은 깊은 숲에 있는 청량한 계곡이어서 사시사철 맑은 물이 흐르고,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이 곳엔 신라 중기에 세워진 내원암이 있는데 여기에서 원효대사가 마지막으로 수행하였다. 내원암 계곡은 대운산 정상에서 흘러내린 물이 크고 작은 바위를 거쳐 돌면서 만들어 낸 작은 웅덩이가 많아 한 여름 물놀이를 즐기기에 안성맞춤이다. 수만 년의 세월이 빚어놓은 수려한 폭포와 깨끗하고 청량한 물줄기가 계곡 구석구석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어 보기만 해도 시원해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굴참나무를 비롯해 여러 수목들이 어우러지는 풍경도 계곡과 함께 한 여름의 더위를 날려줄 청량감을 선사한다. 이곳 대운산 일대는 매년 5월이면 진분홍 철쭉이 뒤덮여 장관을 이루며, 가을에는 울긋불긋한 단풍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절경을 만들어 낸다. 대운산 철쭉제와 내원암에서 주최하는 가을 산사음악회 등 계절별로 다양한 행사도 진행되니 방문 전에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내원암 계곡을 따라 울산수목원이 조성되었는데 대나무원과 동백원 등 다양한 전시원이 있어 산림과 관련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연계해서 방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미타암(양산)

미타암(양산)

10.2 Km    21246     2023-07-19

경상남도 양산시 주진로 379-61

* 천연 동굴에 조성한 석굴 사원, 미타암 *

미타암은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읍 천성산(千聖山)에 자리 잡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 통도사의 말사이다. 646년(선덕여왕 15)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하며, 원효대사가 창건한 89암자 가운데 하나로 본다. 920년(경명왕 4)에 지공 대사가 중창하였다. 1376년(우왕 2)에 중창했으며, 1888년(조선 고종 25)에 다시 정진(正眞)이 중창하였다. 구한말에 우리나라의 선사상을 부흥시킨 경허(鏡虛)의 제자 혜명(慧明, 1861~1937)이 주석했으며, 현재 그의 비석이 남아 있다. 미타암은 천연 동굴에 인공을 가해 조성한 석굴 사원이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대웅전·산신각·요사채 등이 있으며, 대웅전에는 석조 아미타여래 입상이 모셔져 있다.

* 미타암의 주요 보물, 아미타불 *

『삼국유사(三國遺事)』 「포천산 오비구(布川山 五比丘)」조에는 다섯 비구가 포천산의 석굴에서 아미타불을 염하며 수행한 결과 득도하여 극락으로 갔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이 포천산의 석굴이 지금의 미타굴로 추정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석굴 내부에 봉안된 아미타불(阿彌陀佛)은 신라 문성왕의 왕후가 병을 앓게 되자, 석굴에 부처님을 모시고 불공을 드리면 병을 나을 수 있다 하여 봉안하게 되었다는 일화를 지니고 있다.

이 불상은 719년에 조성된 국보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甘山寺石造阿彌陀佛立像)과 여러모로 닮아 있어 주목되며, 통일신라시대의 뛰어난 석조 예술로 평가되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미타굴은 신라의 불상을 봉안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석굴암의 성립시기인 경덕왕 대에 함께 존재하였다는 점 등에서 ‘양산의 석굴암’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미타암은 미타굴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아미타 도량으로, 후세에 법당과 여러 당우를 지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근세에는 많은 고승들이 수도와 정진으로 이곳을 거쳐 갔고, 오늘날에는 관음 기도 도량으로서 납자와 신도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반송187

반송187

10.2 Km    0     2023-12-07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신반송로182번길 2-15

부산 해운대에서 만나는 특별한 한옥카페이다. 도심 속 좁은 골목을 따라 ‘이런 곳에 한옥카페가 있을까?’ 의심이 들 때쯤 선물처럼 기와지붕이 눈에 들어온다. 정갈하게 쌓아 올린 돌담과 마당 곳곳에 아름답게 피어난 꽃들이 한순간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준다. 돌담을 따라 심어진 멋스러운 소나무가 번잡한 도심 풍경을 잊게 만든다. 한옥카페의 매력을 돋보이게 하는 좌식 공간부터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이 마련돼 취향에 따라 골라 앉을 수 있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수제 전통차다. 십전대보차를 비롯해 대추차와 계피 생강차, 수정과, 호박식혜 등 한옥 분위기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메뉴들이 준비돼 있다. 물론 커피와 티, 맥주와 가벼운 베이커리 종류도 선택이 가능하다.

롯데마트

롯데마트

10.3 Km    0     2024-04-23

경상남도 양산시 삼호1길34

-

기장문화원

기장문화원

10.3 Km    16488     2023-11-06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로74번길 35-6

기장문화원은 1997년 개관한 곳으로 기장의 전통과 문화를 현재 우리의 삶에 맞게 재조명하고 후손들에게 올바르게 물려주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문화원이다. 이를 위해 기장문화원에서는 기장의 역사, 문화를 연구하고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문화대학, 향토사연구소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지역 청소년들을 위한 온라인 역사, 문화 강의를 준비해 세대 간 올바른 교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범어사(부산)

10.4 Km    63342     2024-05-10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는 부산광역시 금정산 동쪽 기슭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더불어 영남의 3대 사찰로 불린다. 2012년 11월 사부대중의 수행정진과 화합을 바탕으로 지유대종사를 초대 방장으로 모시고 총림으로 지정되었다. 신라 문무왕 18년(678년), 의상대사가 해동의 화엄십찰 중 하나로 창건하였다. 국보 [삼국유사]를 소장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판본 중 하나로 권4의 5편에 들어 있는 [의상전교]에는 의상대사가 열 곳의 절에 교를 전하게 해 화엄십찰을 창건하는 내용이 나오고, 이 가운데 [금정지범어] 즉, 금정산 범어사가 들어 있음이 언급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금빛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해서 산 이름이 금정산이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를 건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화엄경의 이상향인 맑고 청정하여 서로 돕고 이해하고 행복이 충만한 아름다운 삶을 지상에 실현하고자 설립된 사찰로 범어사에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해 원효대사, 만해 한용운선사 등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명실상부한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1950년대 동산스님이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한국근대불교를 이끌었으며, 총림지정 이후 조사스님들의 뜻을 받들어 수행공간을 지속적으로 확충하였다. 2019년 범어사의 오랜 숙원사업인 선문화교육관과 2021년 전국 사찰 최대 규모의 범어사 성보박물관의 대작불사를 완료하였다.

범어사 성보박물관

범어사 성보박물관

10.4 Km    271     2023-10-26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

영남 3대 사찰 중 하나인 선찰대본산 범어사(禪刹大本山梵魚寺)는 유구한 역사만큼이나 다양하고 수많은 불교 문화재가 산재되어 있다. 범어사 내에 산재된 불교 문화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종합적으로 연구, 전시하기 위하여 1999년 12월 박물관 건립을 시작하여 2003년 3월 개관하였다. 박물관에는 조선 후기 불화 70여 점 및 40여 점의 진영, 1000여 종의 전적과 책판 16종, 편액 23종을 비롯하여 3만점에 이르는 다양한 불교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불교전문박물관이다. 지정문화재도 100점 이상 소장하고 있으며, 이는 부산시 문화재의 1/3을 차지한다. 대표적 소장 문화재로는 14세기 본 삼국유사가 있으며, 원효대사, 의상대사의 진영과 전국 최대 규모의 사천왕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고전적만 660종 가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 [삼국유사(三國遺事)], [불조삼경(佛祖三經)], [금강요집경(金藏要集經)], [주범망경(注梵網經)]과 같은 보물과 [대전화상주심경(大顚和尙注心經)], [함허어록(涵虛語錄)],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 등과 부산광역시 유형 문화재도 전시되어 있다. 17~19세기에 제작된 불상 20여 구와 영정 40여 점, 범어사 주석 등이 전시되어 있고, 불교 공예와 불교 미술품들도 전시되어 있다. 전시 공예 미술품으로는 사찰 의식에 주로 사용되었던 금고와 요발, 연 등의 의식 법구, 향로와 향완 및 유제 대발 등의 공양 법구, 불전 내의 불단에 안치되었던 원패와 소통 및 불감, 사찰 외부를 장엄하는 기능을 지닌 기와류, 인통과 등잔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