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일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일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구일식당

16.7Km    2025-03-17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35길 28-10
053-567-9826

대구광역시 서구 중리동 곱창골목에 위치한 구일식당은 곱창·대창 전문 음식점이다. 외관은 오랜 전통이 느껴지는 모습이며 내부는 작지만 아늑한 분위기이며 좌석이 넉넉한 편이다. 구일식당에서는 곱창·대창 볶음과 전골, 구이, 주먹시, 차돌박이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이곳의 곱창전골은 여러 매체에 소개될 정도로 맛있다고 소문이 난 곳이다.

중리동 곱창골목

중리동 곱창골목

16.7Km    2024-11-20

대구광역시 서구 평리로35길 28-10

중리동 곱창골목은 대구광역시 여행의 또 다른 즐거움인 맛집들이 밀집해 있는 골목이다. 대구광역시 남구 안지랑곱창골목과 이 곳 중리동곱창골목은 대구를 대표하는 먹거리 중 하나인 곱창요리의 대표 골목이다. 두 골목의 차이점은 안지랑곱창골목은 돼지막창으로 주로 구이로 서비스가 되는 곳이 많은가 하면 중리동곱창골목은 소막창으로 전골로 제공되는 집이 많다. 1980년대 성당못에 있던 도축장이 중리동으로 이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식육점과 식육식당이 생기고 도축장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곱창, 간, 천엽 등을 파는 포창마차 골목이 지금 중리동 곱창골목의 원조인 셈이다. 그 후 도축장이 검단동으로 옮겨가고 그 자리에는 아울렛이 들어오면서 대부분의 식육식당이 이 골목을 떠났지만 곱창집들은 남아 지금까지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이곳은 대구에서는 흔치 않게 소곱창과 막창, 주먹시 등을 맛볼 수 있고, 또 아울렛이 바로 이웃에 있으니 쇼핑하러 왔다 곱창을 맛 보기 위해 방문하기도 한다. 걸어서 5분거리에 의류패션명물거리인 퀸스로드광장과 그린웨이의 수목과 각종 꽃 구경은 중리동 곱창골목이 주는 또 다른 매력이다.

영남식당

영남식당

16.7Km    2025-01-16

대구광역시 서구 와룡로66길 55-1
053-555-0933

영남식당은 대구 서구 중리동 막창골목 내에 위치한 곱창 전문점이다. 1978년 포장마차로 시작하여 2대째 대를 이어 40년 넘은 오랜 전통을 가진 음식점으로 그만큼 쌓인 노하우를 자랑한다. 대표 메뉴는 주먹시+곱·대창전골이다. 주먹시는 흔히 토시살이라고 부르는 부위로, 이 부위와 곱창과 대창이 따뜻하고 칼칼한 국물과 어우러져 고소하고 담백한 맛을 낸다. 이곳은 매장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며, 고객들에게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말

하말

16.7Km    2024-01-08

경상북도 경산시 대한길 13

하말은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에 자리 잡고 있다. 반려견과 동반 입장이 가능한 카페이다. 단, 실내에서는 전용 가방에 넣거나 반려견용 유모차에 태워야 한다. 하말 매장 내에 5대를 보유하고 있어 대여도 가능하다. 주차장 만차 시에는 카페 옆 상원사 주차장이나 청담 면옥 맞은편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말크림라떼를 비롯한 다양한 음료와 크로플을 맛볼 수 있다.

이마트트레이더스 비산

이마트트레이더스 비산

16.7Km    2024-03-24

대구광역시 서구 팔달로 54 (비산동)

-

대동종합시장

16.8Km    2024-07-17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원로 22-24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위치한 대동종합시장은 '동쪽으로 크게 뻗어있는 시장'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름에 담긴 뜻처럼 시장은 2012년 1, 2차 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해 낡은 시장을 현대적인 시설로 탈바꿈하여 높은 천장과 넓은 내부를 자랑한다. 2021년 10월 현재 100여 개 상점이 성업 중이다. 1987년에 개장하여 복합상가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농수산물, 식자재, 잡화 위주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지역 밀착형 시장이다. 동서남북으로 입구가 있으며, 네모 형태의 시장 외곽에도 다양한 점포가 마련되어 있다. 시장 내외부에 다양한 식당이 있어 장을 본 후 허기를 채우기 좋다. 주차는 시장과 월배공원 사이 노상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주변에 앞산, 월광수변공원, 대구수목원 등 대구의 대표 관광지가 모여있어 연계 관광이 수월하다.

금호서원

금호서원

16.8Km    2024-11-11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삼성산길 106-58

금호서원은 동계 이운룡 장군과 향산 백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이운룡(1562∼1610)은 선조 18년(158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많은 공을 세워 경상우수사 겸 3도 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이 서원은 원래 이운룡의 출생지인 매전면 온막리에 상충사를 세우면서 유래되었다. 순조 14년(1814)에 이서면 금촌리로 옮겼으나 고종 5년(184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고 남은 강당을 지금 있는 자리에 이전하면서 효충사라 이름을 바꾸었다. 그 뒤 1947년에는 서원을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인 시덕문을 들어서면 강당과 동재·서재가 있고, 강당의 뒤쪽에 내삼문이 있으며 그 안쪽으로 현충사가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북지장사(대구)

16.9Km    2025-06-27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243

북지장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팔공산 맑은 계곡변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사찰의 전형인 쌍탑 가람으로 팔공산에서 동화사와 더불어 삼국유사에 공산 지장사로 기록된 유서 깊은 사찰이다. 485년(소지왕 7)에 승려 극달화상이 창건했다는 연기설화와 684년(신문왕 4) 승려 양한이 달성군 최정산에 남지장사를 세우자, 동구 도학동 팔공산에 있는 지장사가 대구광역시를 기준으로 볼 때 북쪽에 있어 북지장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1192년(명종 22)에 보조국사 지눌이 중창한 것으로 보이나 중창 이후 이 절의 역사는 전혀 전래되지 않고 있다. 다만 대웅전의 기와 중에 강희 4년(1665)의 명이 있는 것과 1623년의 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절이 1623년(인조 1)에 중창되고 1665년에 중수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1799년(정조 23)에 편찬된 범우고에도, 북지장사가 팔공산에 있다는 내용이 보인다. 또한 1832년(순조 32)에 편찬된 경상도읍지에 북지장사가 청련암·도명암과 함께 동화사에 소속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사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지장전을 비롯하여 극락전(현 대웅전) 삼성각·산신각·천왕문 등이 있으며 특히 대구 북지장사 지장전은 한때 대웅전이 불에 의해 소실되었을 때 대웅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건립 연대는 1623(인조 원년)으로 정면 1칸, 측면에는 퇴칸을 달았다. 공포는 다포계 양식의 내·외 4출목이며 조선시대 중기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다. 내부는 정자의 가구수법과 유사하며 불전의 가구로는 특이한 예이다. 대웅전의 동편에 남쪽을 향하여 나란히 서 있는 탑은 고려시대의 탑으로 추정된다. 원래 이 탑의 뒤쪽은 법당이 있던 곳으로 많은 석재 유물이 산재하여 있다. 이밖에도 지장전 앞에는 지장사유공인영세불망비가 있는데, 이 비문에도 지장사가 신라시대의 고찰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렇게 오랜 세월을 팔공산 자락에서 묵묵히 세월을 지켜온 북지장사는 현재 대구 올레 팔공산 1코스의 종착지로서 대구 동구 방짜유기 박물관에서 도보로 코스를 즐기기에 맞춤하며, 북지장사 가는길은 사철내내 푸른 솔숲을 볼 수 있고 솔 숲에서의 향기는 북지장사 석조 지장보살님을 뵈러 가는 발 길을 가볍게 하여 준다. 더하여 북지장사에는 연못을 두고 있는데 연못 주변에 오래된 노거수 버드나무가 또 한번 세속의 번뇌를 놓고가라 하는 듯하다.

올리브영 대구감삼DI

올리브영 대구감삼DI

16.9Km    2024-03-24

대구광역시 달서구 와룡로 130

-

서구어린이도서관

서구어린이도서관

16.9Km    2025-03-17

대구광역시 서구 문화로 123

대구시 서구의 첫 번째 구립 도서관이 이곳 서구 어린이 도서관이다.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까운 곳에 그린웨이 근린공원도 자리하고 있어 어린이들에게 열린 공간으로서는 더없이 좋은 환경을 자랑한다. 2010년 3월 10일에 개관하였으며 2019년 기능보강공사를 거쳐 12월에 서구 어린이 도서관이 재개관하였다. 특히 재개관 시 새로운 공간으로 2층 어린이 열람실 상상놀이터는 기존 디지털자료실을 보강 공사를 통해 상상 놀이터로 변신하여 신나는 체험 공간이 되었고 다양한 콘텐츠를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