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Km 2025-07-07
대구광역시 중구 경상감영길 99
대구 중앙로역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은 조선 선조 때 경상감영이 있던 곳으로 그 터를 보전하기 위해 조성된 공원이다. 1910년부터 1965년까지 이곳에 경상북도 청사가 있었고 도청이 옮겨간 후 1970년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경상감영은 조선시대 경상도의 행정과 군사, 재판 등을 관할하던 행정조직이었다. 옛 경상감영 내에 선화당, 응향당, 제승당, 응수당, 징청각 등 여러 채의 건물이 있었지만, 현재 경상감영공원 내에는 경상도 관찰사 집무실인 선화당(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과 살림채 건물인 징청각(대구광역시 유형문화유산)만이 남아 있다. 선화당은 현재 관아 건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경상감영의 누각 관풍루(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는 1906년 달성토성으로 옮겨졌으며, 관찰사와 대구판관의 선정을 기리는 총 29기의 선정비가 이곳 경상감영공원에 남아 있다. 경상감영공원은 선화당과 징청각이 푸른 숲과 어우러진 도심 속 공원으로 옛 건물의 멋을 살린 정문, 분수, 돌담, 산책로와 조국통일을 기원하는 통일의 종 등이 조성되어 있다. 대구 도심 중앙에 위치하여 중앙공원으로 불리어지기도 하였다.
1.7Km 2024-11-04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42
중구에 있는 봉산 문화의 거리에 위치한 동원화랑은 1982년에 개관 이래 풍부한 작품을 편리하게 만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노력하여 왔다. 동원화랑의 주된 사업은 미술 컨설팅 업무로, 신축건물의 환경미술 컨설팅이며, 유수 작가들의 그림, 미술품 대여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한집에 그림 한 점 걸기 운동을 펼쳐 삭막한 도시의 공간을 아늑한 정서의 공간, 예술의 공간으로 바꾸고자 힘쓰고 있다. 동원화랑은 2022년에 대구광역시 남구 앞산 해넘이전망대 인근에 갤러리동원 앞산점(남구 안지랑로5길 52)을 개관하여 중구에서 주로 근대미술을 조명한 것과 달리 현대미술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1.7Km 2025-01-16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563-1
053-257-1476
대구전통따로식당은 대구시 선정 향토 전통 음식점으로 밥과 국이 따로 나오는 따로국밥 전문점이다. 중앙로역 인근에 자리하였다. 다른 지방의 국과는 달리 사골과 사태를 밤새도록 고은 육수에 고춧가루와 다진 마늘을 듬뿍 넣어 매운듯하면서 깔끔한 맛이 일품이다. 연중무휴 24시간 영업하기 때문에 언제든 방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민들 뿐만 아니라 관광객들도 시간제약 없이 방문하는 곳이다. 인근에 대구근대역사관이 위치하여 함께 관광하기 좋다.
1.7Km 2025-03-18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77
2004년 10월 5일 개관한 봉산문화회관은 도심 재창조의 가치를 문화예술에게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획을 통하여 변화와 성장을 모색하고 있는 곳으로 시민이 자랑하고 싶은 예술 명소가 되도록 힘쓰고 있다.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작품과 관객임을 기억하고 작품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공간을 성장시키고 있다. 전시실과 공연장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들이 소통하는 예술 네트워크의 중심이 되고 있으며 매력적인 예술 콘텐츠를 확보하여 시민의 자랑스러운 공간이 되고 도심에 자리 잡은 쉼터가 되고 관객들이 찾는 문화 예술의 기반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공간이다. 상주하는 단체로 중구여성합창단과 창작플레이가 있으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1.7Km 2025-03-18
대구광역시 중구 진골목길 26
진골목은 중앙대로에서 홍백원에 이르는, 대구 종로 일대에 형성된 골목으로 도심 속에서 옛 역사와 문화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진골목은 긴골목의 경상도 말씨로 길다를 의미하는 질다에서 기원한다. 대구읍성의 남문이 있었던 구 대남한의원 사거리를 통과하여 종로로 50m 정도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길게 뻗어 들어가는 골목이다. 진골목은 경상감영 시대부터 해방 전까지 대구 토착 세력이었던 달성서씨의 집성촌이었다. 진골목을 통하면 당시 군사, 행정로였던 종로를 통하지 않고도 감영, 중영까지 갈 수 있었고, 19세기말부터 화교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였으며 대구 최초로 가구점들이 들어선 곳이다. 현재는 남성로 네거리를 중심으로 전통차, 다기, 한방, 골동품 등 전통 물품 판매점 등이 들어서 있고 대구 중구 골목투어 '제2코스 근대문화골목'에 해당하는 곳으로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곳이다. 한편 진골목 양쪽으로 세련되고 독특한 인테리어의 음식점과 카페 등도 조성되어 있다. 대구에서 가장 오래된 양옥집인 정소아과와 옛 가옥 100칸의 일부인 진골목식당, 영화 사랑비 촬영지인 약전식당 등이 대표적인 명소이다. 또 1982년 문을 연 미도다방은 과거 대구 지역의 유명 정치인, 문인, 유림 등이 자주 드나들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성업 중으로 실제로 가보면 백발의 어르신들이 많이 있다. 진골목은 현대식 고층빌딩으로 가득한 대구 도심에 옛 골목길 풍경이 남아있는 곳으로 근대 대구의 모습을 고스란히 보여주며, 좁은 길을 걷다 보면 100년의 대구 역사를 느껴볼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 약령시한의약박물관, 에코한방웰딩체험관, 근대문화체험관, 뽕나무골목, 계산성당, 이상화 고택, 서상돈 고택, 청라언덕 등이 있다.
1.7Km 2025-08-12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 51 (침산동)
010-2892-3792
메이커페스타는 대구에서 열리는 시민 참여형 메이커 축제로, 시민 누구나 만드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함께 창작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대구 최대 규모의 메이커 문화 행사이다. ‘누구나 뭐든지 맘대로’라는 슬로건처럼, 누구든 자유롭게 메이커 문화를 접하고, 뭐든지 즐기며, 맘대로 만들어볼 수 있는 체험형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초중고 학생부터 일반 시민, 전문기관과 기업까지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며, 시민이 직접 만들고 함께 즐기는 창의적인 축제이다.
1.7Km 2025-07-11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14길 79 (대안동)
FACTORY09는 공구를 만드는 공장이란 뜻이며 ‘한강 이남 최대 공구거리 도면만 있으면 탱크도 만든다.’할 정도로 기술력을 가진 대구 북성로를 모티브로 제작한 로컬브랜드이다. 북성로 유일의 주물공장인 선일포금에서 제작한 주물빵틀에 몽키스패너, 볼트, 너트 세 가지 형태의 마들렌인 북성로공구빵을 제작해 북성로의 가치를 굽고 있다.
1.7Km 2024-06-19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81길 22
053-424-0001
대구광역시 동성로 중심에 자리한 에오스호텔은 대구 시내와 인접하여 여행객과 비즈니스 출장객이 묵기에 좋다. 객실은 넓고 깨끗하고 조용하며, 일부 객실에는 스타일러와 안마의자, 욕조가 비치되어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중앙로역 1번 출구에서 가까워 교통 접근성이 좋고, 근처에 맛집이 많고 도보 5분 거리에 대구 백화점도 있어 편리하게 여행할 수 있다.
1.7Km 2025-03-31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38
봉산문화거리는 대구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 9번 출구 앞에 있는 ‘미디어 스카이(Media Sky)-봉산하늘’ 조형물부터 봉산오거리까지 길이 600m에 조성된 문화 예술 거리이다. 화랑, 고미술, 고서적점, 화방 등 미술 관련 가게들이 밀집하여 있어 대구의 인사동으로 비유된다. 미술 관련 문화 예술 거리로 조성되기 시작한 1980년대 중반에는 작품 판매 및 미술 재료 판매, 표구 제작 위주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작품이 전시 및 판매되고 있다. 여러 갤러리가 들어서면서 대구를 대표하는 지역 화가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자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외 다양한 미술 작품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거리에 조성된 조형물은 포토존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2004년 건립된 봉산문화회관은 다양한 전시회와 공연을 개최하여 대구 시민의 문화 예술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매년 4월에는 봉산공예디자인전이 개최되고 있으며, 10월에는 봉산미술제가 개최되고 있다. 주변 볼거리로는 중구 골목투어, 동성로,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등이 있다. 봉산문화거리의 시작과 끝 지점에 설치물과 대형 사람 조형물이 있어 멀리서도 쉽게 찾을 수 있다.
1.7Km 2025-08-19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문화길 34 (봉산동)
시민의 미술 소양 향상을 꾀하는 신미화랑은 1984년 개관하였다. 30여 평의 규모로 기획초대 및 대관, 전시 및 문화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개관 이래 대관전과 다수의 초대전, 기획전을 병행함과 아울러 다양한 예술 활동을 폭넓게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것을 기반으로 미술인의 창작활동 신장 및 시민들의 미술 소양 향상과 즐거움을 더해줄 아늑한 미술 전문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미화랑이 위치한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은 예술거리라고 칭할 수 있다. 주변에 다수의 화랑과 갤러리들리 들어서 있어 대구의 문화예술 환경을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봉산동에 있는 화랑으로는 예송갤러리, 신미화랑, MJ 갤러리, 중앙갤러리, 동원화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