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Km 2025-03-20
경기도 화성시 풀무골로106번길 8
곤드레향기는 경기 화성시 중리지 저수지 인근에 위치한 한정식 전문점이다. 가마솥 곤드레밥을 주메뉴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 어떤 곁들임을 하느냐에 따라 정식 메뉴가 달라진다. 솥밥을 주문하면 그때부터 짓기 때문에 주문 후 10분 이상의 대기가 필요하다. 대표 메뉴는 한상 차림으로 4인 기준이며 솥밥, 10여 가지 제철반찬과 한우 불고기, 황태구이로 구성된다. 간장게장, 된장국, 묵무침 등 반찬들이 곁들여 나온다. 깔끔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고급스러운 한정식을 즐기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12.5Km 2025-07-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삼가동)
용인시문화복지행정타운에 위치한 용인문화원은 용인의 향토문화 역사, 지역문화를 계승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곳으로 향토사료 발굴하고 문화교육, 지방문화 축제 및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사업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1957년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설립되어 개원한 용인문화원은 2017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 문화원은 향토자료실, 강의실, 강당∙극장, 회의실, 자료실, 전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행사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2.5Km 2025-07-04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삼가동)
용인문화복지행정타운 내에 있는 문화예술원 마루홀은 용인 시민의 여가와 문화생활 증진을 위해 2005년 개관하였다. 2011년 출범한 용인문화재단이 운영하고 있다. 문화예술원은 총면적 1,978m²의 지상 4층, 지하 1층 건물로 용인문화재단 및 산하 여러 단체가 입주해 있으며, 공연장, 전시실, 회의실, 용인 디지털정보도서관 등이 있다. 특히 290명(장애인 4석 포함) 수용가능한 소극장 마루홀과 18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국제회의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특히 마루홀은 무대 면적 129.22m²로 공연장 내 반사음은 줄이고 잔향은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음향효과를 극대화해 최상의 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조성되었다. 아동극, 가족극 위주의 다양한 공연이 진행되고 있으며, 온 가족이 편안하게 드나들며 문화생활을 영유하는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서용인IC에서 약 4분, 에버라인 시청∙용인대역에서 도보 9분(462m) 소요된다. 인근에 에버랜드, 한국민속촌, 한국잡월드, 세계문화유산 융건릉, 물향기수목원, 용인농촌테마파크, 덕평공룡수목원 등이 있다.
12.5Km 2025-07-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삼가동)
용인중앙시장 부근에 위치한 [경기옛길 영남길 제5길] 수여선옛길(용인문화복지행정타운~양지면 남곡리)은 옛 수여선길을 따라 걸으며 옛 사람들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역사 문화 탐방로이다. [경기옛길]은 역사적 고증을 토대로 지역의 문화유산을 도보길로 연결한 새로운 형태의 역사 문화 탐방로로 조선시대 한양으로 통하는 주요 6개의 도로망을 트레킹 코스로 복원하였다. 영남길 116km 중 용인시를 통과하는 수여선 옛길은 1930년 개통되어 1972년 폐선될 때까지 사용된 기찻길로 현재도 일반 도로로 사용되고 있으며, 영남대로의 원형과 가장 근접하여 조성된 길이다. 수여선옛길은 총 11.6km 편도 약 4시간 소요되는 코스로 용인문화복지행정타운에서 양지면 남곡리에 이르는 구간이다. 용인행정타운에서 금학천변을 따라 걷다 보면 가장 오래된 오일장 중 하나인 용인장(용인중앙시장)을 만난다. 금학천변의 에버라인은 수여선 옛길의 일부 구간과 닮아있다. 용인장을 지나 금학천에서 합수 지점을 따라 양지천 산책로를 닿는데 계속 걷다 보면 용인 남부의 중심이었던 양지면 남곡리에 도착하게 된다. 본래 양지천 산책로 구간은 고즈넉한 산길이 멋진 봉두산 숲길이었으나 등산로 입구가 사유지로 농작물 훼손에 대한 피해를 사유로 폐쇄되어 더 이상 탐방로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양지면 남곡리 쪽에 임진왜란 때 진주성에서 순절한 유복립의 정려각이 있다.
12.5Km 2025-07-21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석성로888번길 37-14
백년짬뽕은 경기도 용인시 포곡읍에 있는 짬뽕 전문점이다. 가게 이름과 걸맞게 다양한 종류의 짬뽕을 맛볼 수 있는 집이다. 백년짬뽕의 국물은 담백한 한우 육수와 싱싱한 해물, 야채로 완벽한 조화로 요리한다. 특히 사장님이 직접 만든 고추기름이 들어간 요리는 독특한 맛과 향을 낸다.
12.5Km 2025-06-26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112
천은정사(天恩精舍)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천왕산 자락에 자리를 잡고 있다. 1980년 2월 27일 혜보당 우향대종사에 의해 창건된 절로 대한불교 조계종 선학원 사찰이다. 천은정사가 있는 자리는 본래 유명한 약수터로 많은 사람이 치병과 기원을 위해 찾던 곳이라는 유래가 있다. 이 도량은 천막 법당으로 시작하여 현재 주지이신 현우 스님의 중창 불사로 대법당(극락전)과 삼성각을 건립하였고, 그 외에도 현재 천불전과 설법전등을 불사 중이다. 천은정사는 매월 초하루 법회, 보름 법회, 지장 재일, 관음재일에 기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가족 법회와 어린이 법회가 열리고 있다. 주지 스님께서는 경내에 있는 상락원과 보리회합창단, 만덕당에서 모이는 기금으로 미얀마 학교설립 후원을 하며 매년 성남시 노인 경로잔치와 점심 무료급식 등 나눔 봉사를 실천하고 도심 포교에 힘쓰고 있다.
12.5Km 2025-07-22
경기도 의왕시 벌모루길 1 (포일동)
은미정은 경기도 의왕시 포일동에 있는 한식당이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본점이 있다. 시래기 전문점으로 전통의 맛을 중요시하고, 건강을 위한 음식을 개발한다. 1년에 한 번 서리맞은 배추와 최상급 한우 등 최상의 식재료로 음식을 만든다. 대표 메뉴는 한우 우거지 해장국이다. 답답한 속을 확 풀어주는 진한 육수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이외에도 식사류, 반상 메뉴, 여름 특선 메뉴 등 다양한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각종 밑반찬이 함께 제공된다. 매장 내부에는 입식 테이블과 좌식 테이블이 모두 있다. 단체석도 많아 모임하기 좋다. 매장 앞에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가까이에 백운호수가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12.5Km 2024-05-30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흥안대로 313
031-8045-2631
안양 농수산물도매시장은 뛰어난 접근성과 연계성으로 수도권 남부지역의 유통을 담당하는 공영도매시장이다. 도매상인 뿐아니라 일반 소비자도 즐겨 찾아 항상 활기를 띠는 곳으로 1997년 9월 개장하였다. 청과(과일동), 청과(채소동), 수산동이 있으며, 관련 상가 및 직판상가, 냉동 제빙도, 보관창고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새벽에는 과일, 야채, 수산물의 경매를 통한 도매거래가 이루어지고, 주간에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매거래도 한다. 산지 직송의 품질 좋은 농수산물을 제철에 만나볼 수 있어 많은 소비자가 방문하며, 특히 회센터가 있어 횟감을 직접 보고 구매한 뒤 회센터로 이동해 신선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다. 점포별 물량 및 사정에 따라 공지된 영업 종료 시각보다 일찍 문을 닫기도 하므로 영업 종료 최소 1시간 전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평촌IC에서 차량으로 약 1분, 4호선 평촌역에서 차량으로 약 5분 소요되며, 지하철역에서 한 번에 오는 버스가 있다. 인근에 관악산, 안양예술공원, 평촌중앙공원, 서울랜드, 서울대공원, 렛츠런파크 서울, 백운호수 등이 있다.
12.5Km 2025-07-03
경기도 오산시 양산로 186 (양산동)
세마오리농원은 독산성 세마지대가 있는 서오산 IC 근처 아래에 있다. 주변이 자연으로 둘러싸여 공기 좋고, 나들이하기에 좋은 장소다. 식당 내부로 들어서면 양쪽으로 홀이 나뉘어 있는데, 내부가 넓고 좌석도 많이 있어 단체 모임 장소로 좋다. 메뉴는 생오리 한 마리 또는 반 마리로 단일 메뉴이다. 기본 반찬이 제공되며 부족한 반찬은 셀프바에서 가져다 먹을 수 있다. 생오리 한 마리는 숯불로 구워 먹을 수 있는 생오리와 동절기에는 오리 뼈 탕과 가마솥 밥이 나오고, 하절기에는 흑임자 깨죽과 냉면이 제공된다. 샐러드로 양배추 겨자소스가 나와 맛을 돋워준다. 음식점 주변에는 작은 연못 둘레길이 있어 식사 후 산책하기 좋다.
12.5Km 2025-03-17
경기도 광주시 문형산길 76 (신현동)
풀짚공예박물관은 풀과 짚을 이용해서 만든 민속 생활 도구와 공예품을 수집하고 연구, 전시와 교육을 하는 곳으로 2006년 6월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에 설립되었다. 고대 농경 사회부터 생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하던 초고[草藁] 공예 기능은 구전(입)으로만 전해져왔으며, 이러한 상황을 안타깝게 여긴 설립자 전성임 관장은 풀과 짚을 이용한 공예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전국의 장인들을 찾아다니며 그 기술을 습득하고 재료의 특성과 지리적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전통 문화유산이 급속히 사라져가는 오늘날, 풀·짚공예가 더 이상 잊혀가는 옛 것이 아니고 교육적이고 환경적이며, 예술적인 가치가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임을 인식시키기 위해 본 박물관에서는 풀·짚공예의 전통적 가치를 계승하는 교육의 장으로서 과거에서 현재와 미래로 이어지는 창조적인 공예 예술 분야가 되도록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